-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사가(事可), 호는 고분옹(孤憤翁). 아버지는 김정창(金鼎昌)이며, 형조참의 김진표(金震標)에게 입양되었다. 김노득은 1645년(인조 23)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태어났다. 안산 지역을 중심으로 문인 활동을 하였으며 여산군수를 역임하였다.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 광덕산 아래 묘가 있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경(士卿). 아버지는 판관 한성일(韓聖一)이며, 어머니는 함양여씨(咸陽呂氏)로 장령 여회제(呂會齊)의 딸이다. 한배두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10년(숙종 36) 생원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갔다. 이때 성균관의 재임(齋任)으로 있으면서 삼일제(三日製)에서 수석을 차지한 이광보(李匡輔)가 윤증(尹拯)이 죽...
-
조선 전기 경기도 안산 지역에 초지량영이 설치되었던 곳.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사곶이에 초지량만호가 설치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때 수군만호가 주둔하던 초지량만호는 다른 곳에 있던 것을 사곶이로 옮긴 것이다. 문종 연간에는 본래 있던 곳으로 다시 영을 옮겼다. 사곶이에 영이 있을 때는 사곶영(沙串營)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영이 설치된 시기는 짧은 시간에 한...
-
조선 전기 경기도 안산 지역에 초지량영이 설치되었던 곳.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사곶이에 초지량만호가 설치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때 수군만호가 주둔하던 초지량만호는 다른 곳에 있던 것을 사곶이로 옮긴 것이다. 문종 연간에는 본래 있던 곳으로 다시 영을 옮겼다. 사곶이에 영이 있을 때는 사곶영(沙串營)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영이 설치된 시기는 짧은 시간에 한...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사능(士能). 아버지는 공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公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 이담(李湛)이다. 이현행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1727년(영조 3) 진사시에 합격하고 청도군수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본오동 각골 상봉에 있다가 도시화로 경기도 화성군 남양면 북양리로 이장되었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사능(士能)·함장(含章), 호는 단원(檀園)·단로(檀老)·단옹(檀翁)·단구(丹邱, 丹丘)·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취화사(醉畵士, 醉畵史, 醉畵師)·첩취옹(輒醉翁)·농한(農漢)·농사옹(農社翁)·대우암(對右庵)·오수당(午睡堂). 증조부는 만호를 지낸 김진창(金震昌), 할아버지는 김수성(金壽星), 아버지는 김석무(金錫武)...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속하는 법정동. 조선시대 이 지역에 다섯 마을이 있었는데 광주 읍치(邑治)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견아상입지(犬牙相入地)였기 때문에 일리·이리·삼리·사리·오리 등으로 편의적으로 부른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에 광주군 성곶면 삼리와 사리였다가 1906년 안산군 성곶면 삼리와 사리가 되었다. 1914년 수원군 반월면 사리가 되었고, 1949년 화성...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자연마을. 주더리는 구슬 ‘주(珠)’자와 다리 ‘교(橋)’자를 써 주교(珠橋)가 있는 마을이라는 뜻과 옛날 바닷가에 뱃줄을 매는 닻줄을 놓고 다녔다고 하여 주더리라 하였다는 설이 있다.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기숙사 앞까지 배가 들어 왔었을 때의 이야기이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 관련 기록이 나온다.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 삼리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공공 체육 시설. 사리운동장은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위하여 1994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968번지에 건립되었다. 운동장 부지 면적은 12,953㎡이며, 축구장, 농구장 및 기타 체육 시설과 주차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설의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2007년 6월 1일에 설립된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던 자연마을. 사질이는 사사리(沙士里)의 옛 이름으로 지역에 반짝이는 모래[운모]가 많고, 선비들이 많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질이는 1860년경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월곡면 사사리라 했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49호에 따라 안산군 월곡면 사사리가 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의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속하는 법정동. 아름다운 모래가 많고 선비들이 많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 선비가 모래처럼 많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며, 산 사이에 자리 잡고 있어 사시골·사사골이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광주군 북방면 사사리(沙士里)였다가 1906년 안산군 북방면 사사리가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수원군 반월면 사사리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묻치배미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사동 묻치배미」는 상록구 사사동 산78번지에 있는 이흥상(李興商)[?~1465]의 묘와 연관된 지명유래담이다. 배미는 논배미를 지칭하므로 묻치배미는 ‘묘비를 묻은 논배미’를 의미한다. 2004년 10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배호순[남, 66]으로부터 이현우가 채록하였는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던 자연마을. 사질이는 사사리(沙士里)의 옛 이름으로 지역에 반짝이는 모래[운모]가 많고, 선비들이 많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질이는 1860년경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월곡면 사사리라 했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49호에 따라 안산군 월곡면 사사리가 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의거...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사서(士舒), 호는 건암(健庵). 증조부는 김익겸(金益兼), 할아버지는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김만기(金萬基), 아버지는 판서 김진규(金鎭圭), 어머니는 정소하(鄭昭河)의 딸이다. 할아버지와 아버지에 이어 3대가 대제학을 역임하여 당대에 이름을 떨쳤다. 김양택은 1741년(영조 17) 생원이 되었으며, 1743년 알성문과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문. 정문(旌門)은 국가에서 풍속을 권장하기 위하여 충신·효자·열녀가 사는 마을 입구나 집 문 앞에 세우는 붉은 문을 일컫는다. 사세충렬문은 조선시대 김여물(金汝岉)[1548~1592]과 그 집안의 4대에 걸친 여인들을 기리는 정문이다. 임진왜란 당시 순국한 김여물과, 병자호란 때 청군에게 패하고 죽음으로써 열녀 정신을 지킨 이 집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사세충렬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세충렬문 이야기」는 병자호란 때 4대 시어머니와 며느리 등이 피난을 갔으나 오랑캐에게 욕을 당할 수 없다 하여 바다에 몸을 던져 자살한 열녀투신담이다. 와동에는 사세충렬문이라는 정문(旌門)[충신·효자·열녀 등을 기리기 위하여 그의 집 앞이나 마을 앞에 세운 붉은 문]을 모신 건물이 있다. 1989년 경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사세충렬문공원은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건강 증진과 여가 선용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14,459㎡이고, 잔디밭 면적은 730㎡이다. 교목 100본과 관목 50본 등 총 150본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체력 단련 시설로 평행봉 1개, 윗몸 일으키기 기구 2개, 철봉대 3개, 몸통 돌리기 기구 2개를 갖추...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사수(士秀)이며, 호는 피구자(披裘子)·외암(畏庵). 증조부는 선공감정(繕工監正)을 지낸 김약균(金若鈞), 할아버지는 목사(牧使) 김수렴(金粹濂)이고, 아버지는 찰방(察訪) 김훈(金壎)이며, 어머니는 신천강씨(信川康氏)로 부사 강의(康顗)의 딸이다. 아들은 영의정 김류(金瑬)이다. 김여물의 가문은 무신 집안이어서 어려서부터 병서(兵書)...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이자 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사숙(思叔), 호는 송암(松巖, 松庵). 증조부는 윤승유(尹承柳), 할아버지는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 아버지는 윤지함(尹之諴)이다. 윤엄은 1564년(명종 19) 진사시에 합격하고, 1572년(선조 5)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정자와 승문원저작을 거쳐 봉상시직장이 되고, 호조좌랑을 거쳐 장수현감...
-
조선 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경순(景醇), 호는 사숙재(私淑齋)·운송거사(雲松居士)·국오(菊塢)·만송강(萬松岡). 할아버지는 동북면순무사(東北面巡撫使)를 역임한 강회백(姜淮伯), 아버지는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로 영의정 심온(沈溫)의 딸, 처는 순흥안씨(順興安氏)로 안숭효(安崇孝)의 딸이다. 형은 인순부윤(仁順...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군에서 거주한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을 역임한 정유성(鄭維城)이고, 아버지는 진사 정상징(鄭尙徵)이다.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호조판서를 지낸 이기조(李基祚)의 딸이다. 정제두(鄭齊斗)[1649~1736]는 한성부 반석방(盤石坊)에서 출생하였으며, 어려서는 이상익...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숭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약 80㎝이다. 몸은 긴 방추형으로 머리 앞쪽은 위아래로 납작한 형태이고, 주둥이는 짧고 끝이 둥글다. 위턱은 아래턱보다 약간 길며, 양 턱에는 가느다란 솜털 모양의 이빨이 1줄로 나 있다. 눈은 크고 투명한 지방질이 잘 발달되어 눈 전체를 덮고 있는 기름눈까풀이 발달하는 점이 가숭어와 다르다. 꼬리지느러미 안쪽은...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초명은 이조휴(李祖休)·이심휴(李心休), 자는 사엄(士儼), 호는 담촌(澹村)·한남옹(漢南翁)·평천옹(坪川翁). 아버지는 이속(李涑)이고,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이복휴(李福休)[1729~1800]는 1752년(영조 28) 진사가 되고, 1762년(영조 38)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주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별검으로 임명되었다. 그...
-
조선 전기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사옹원의 분원. 사옹원(司饔院)은 조선시대 임금의 식사와 대궐 안의 식사 공급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이다. 계절에 따라 생산되는 과일이나 농산물을 신주를 모신 사당이나 제단에 올려 먼저 차례를 지내거나 지방 특산물을 왕에게 올리는 것을 관장하여 온 사옹방(司饔房)이 1467년(세조 13)에 사옹원으로 개편되어 비로소 녹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사완(士完). 아버지는 사성(司成) 유영(柳潁),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며, 처는 청주한씨(淸州韓氏) 한강(韓崗)의 딸과 초계정씨(草溪鄭氏) 정원첨(鄭元詹)의 딸이다. 동생은 이조참판을 지낸 유명견(柳命堅), 이조판서를 지낸 유명천(柳命天)과 유명현(柳命賢)이다. 백부는 유적(柳頔), 백모는 전주이씨(全州李...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사원(士元), 호는 퇴당(退堂)·청헌(菁軒). 아버지는 사성(司成) 유영(柳潁),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며, 처는 고령신씨(高靈申氏) 신기한(申起漢)의 딸과 한양조씨(漢陽趙氏) 조송년(趙松年)의 딸이다. 양부는 강원도관찰사 유석(柳碩), 양모는 광주이씨(廣州李氏)로 이정겸(李廷謙)의 딸이...
-
화정동 너빌 지역의 입향조 김충주는 조선 전기 단종복위운동과 관련하여 죽음을 당한 김문기의 손자이다. 김충주가 안산 화정동 너빌 지역에 오게 된 사연도 단종복위운동과 깊은 연관이 있다. 김문기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처음 이름은 효기(孝起)였으나 빙장, 곧 장인어른의 휘(諱)가 효정(孝貞)이므로 ‘효(孝)’자를 피하여 문기(文起)로 개명하였다. 자는...
-
경기도 안산시에서 재배되는 특산식물. 사자 발바닥 모양처럼 생긴 쑥이라는 뜻에서 사자족애(獅子足艾)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산쑥, 빙대(氷臺), 의초(醫草), 애호(艾蒿), 사재발쑥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70㎝로 자라며 줄기가 다소 굵고 곧게 자란다. 잎 모양은 사자 발바닥 모양으로 단순하게 갈라져 있으며 잎 끝이 뾰족하고 약간 위로 오므라진 형태이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
-
경기도 안산시에서 재배되는 특산식물. 사자 발바닥 모양처럼 생긴 쑥이라는 뜻에서 사자족애(獅子足艾)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산쑥, 빙대(氷臺), 의초(醫草), 애호(艾蒿), 사재발쑥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70㎝로 자라며 줄기가 다소 굵고 곧게 자란다. 잎 모양은 사자 발바닥 모양으로 단순하게 갈라져 있으며 잎 끝이 뾰족하고 약간 위로 오므라진 형태이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농·수·축산물 가공 생산업체인 (주)사조대림의 제조 공장. (주)사조대림은 부산과 안산에 공장을 두고 어묵과 맛살을 비롯한 연육제품, 육가공제품, 냉동식품 등 다양한 식품을 생산하여 국내외에 판매하고 있는 종합식품회사이다. 안산공장에서는 찐어묵, 튀긴어묵, 구운어묵, 게맛살, 일반 가공 식품류 등을 생산하고 있다. 1964년 6월 설립되어 연근해...
-
조선 후기의 문신. 안산김씨(安山金氏)로 자는 사중(士重)이며, 아버지는 교리 김취의(金就義)이다. 1624년(인조 2) 사마시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고 단성현감 등을 역임했으며, 인조조에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녹훈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던 자연마을. 사질이는 사사리(沙士里)의 옛 이름으로 지역에 반짝이는 모래[운모]가 많고, 선비들이 많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질이는 1860년경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월곡면 사사리라 했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49호에 따라 안산군 월곡면 사사리가 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의거...
-
경기도 안산시에서 불상을 모셔 놓고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사찰은 본래 불교가 발생한 인도에서 수행자들이 우기를 피해 한 곳에 모여 생활하는 일종의 공동 주거지였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종교 의례를 행하는 성스러운 장소로 변모하였으며 절, 사원(寺院), 정사(精舍), 가람(伽藍)이라고도 한다. 사찰은 규모에 따라 사(寺)와 암(庵)으로 대별된다. 사(寺)는 여러 대중이...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무신. 본관은 풍양(豐壤). 자는 사척(士惕). 아버지는 병마절도사를 지낸 조안국(趙安國)이며, 어머니는 생원 권세임(權世任)의 딸이다. 조경(趙儆)[1541~1609]은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제주목사를 거쳐, 1591년(선조 24) 강계부사로 있을 때 그곳에 유배되어 온 정철(鄭澈)을 우대하였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우도...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사청(士淸). 아버지는 단양군수를 지낸 이충길(李忠吉), 어머니는 용인이씨(龍仁李氏)이다. 이상하는 1621년(광해군 13)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냈다. 1644년(인조 22) 좌의정 심기원(沈器遠)이 이일원(李一元) 등과 모의하여 회은군(懷恩君) 이덕인(李德仁)을 임금으로 추대하려 했을 때 이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화가. 본관은 탐진(耽津). 자는 사청(思淸)·여청(汝淸), 호는 근재(謹齋). 아버지는 안산군 출신 염부(鹽夫)였다. 최경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그림에 뛰어난 소질을 보여, 아이들과 함께 놀면서 소 채찍으로 땅을 그어 인물과 여마(驢馬)의 형상을 그렸는데, 매우 생기가 있어 촌부들이 모두 말하기를 “이 아이는 그림으로 출세할 것이...
-
사할린 동포들은 일제강점기 후반 일본의 강제징용에 의해 남사할린에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사할린 동포들의 공식적인 모국 방문은 1989년 한국과 일본 양 국가 적십자간에 결성한 ‘사할린 거주 한국인 재회지원 공동사업체’가 실시한 일시방문 및 영주귀국사업을 통해 시작되었다.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던 영주귀국은 한·일정부의 영주귀국 시범사업인 고향마을 임대아파트 활용정책에 따라 2000년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사할린 영주 귀국 동포 지원 기관. 안산시 사회복지과 사할린동포복지담당은 일제에 의해 강제 징용되었던 사할린 거주 한인 동포의 영주 귀국과 주거 관련 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2000년 2월 2일 설립되었다.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생계비 지급, 병의원 통원치료 및 입원자 지원, 물리치료실 운영, 자원 봉사 활동 지원, 체력단련실 운영, 민간단체...
-
경기도 안산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사회복지는 사회[social]와 복지[welfare]의 합성어이다. 즉 불만이 없이 평안하고 만족할 만한 상태라고 풀이할 수 있다. 한자어 복지(福祉) 역시 복 ‘복(福)’과 복 ‘지(祉)’의 합성어로 물질적·신체적·정신적으로 편안하고 만족한 상태와 그에 따른 기쁨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사회의 변혁과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집단적으로 전개되는 일체의 행동. 1970년대 이후 안산 지역에서 일어났던 사회운동의 흐름은 크게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 1980년대의 노동운동, 1990년대 이후의 시민운동 등으로 대표된다. 이중 새마을운동은 공단과 신도시가 건설되기 전 1970년대 안산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사회운동이었다. 새마을운동은 지역 생활환...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사희(士希), 호는 정재(靜齋). 아버지는 사성(司成) 유영(柳潁),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며, 처는 평산신씨(平山申氏) 신명유(申命儒)의 딸과 양천허씨(陽川許氏) 허우(許遇)의 딸이다. 유명현은 1675년(현종 14)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후 부수찬, 사인, 부제학을 지냈고...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을 산지라 하며, 보통 해발고도 300m 이상 되는 경우를 말한다. 안산 지역에서는 수리산[해발고도 475m]과 수암봉[해발고도 395m]이 이에 해당한다. 그 외의 산지는 300m 이하로 구릉지 또는 저산성 산지라고 표현한다. 산지가 연속된 것을 산맥이라고 하는데, 안산시는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경기 지역 총괄 본부. 반월공업단지는 1978년에 조성사업을 시작하여 1987년에 준공되었으며, 시화공업단지는 1986년에 조성사업을 시작하여 2002년에 준공되었다. 반월·시화공업단지의 총면적은 31.942㎢이며, 입주 대상 업종은 제조업, 첨단기술산업, 지식산업, 정보통신산업, 보관창고업, 운송업 등이다...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던 시장.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에 의하면 대월면(大月面)에 산대장시(山垈場市)가 있으며 읍으로부터 서남쪽으로 8㎞ 떨어진 곳에 있었다. 산대장은 안산·군자·소래로 갈라지는 세 갈래의 동쪽 산기슭으로 전해진다. 바다가 가까워 어류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지리적 여건 때문에 장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대장은 구석진 장소에 있어 특별히...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아이의 점지와 출산, 수명과 질병 등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삼신은 집안에 모시는 가신의 한 대상신으로 자손의 출산 및 성장, 산모의 건강까지 담당하는 신이다. 일반적으로 산신(産神) 또는 삼신할머니·불사주머니·제석주머니·삼신주머니 등으로 불린다. 안방에 단지나 바가지 혹은 흰색의 창호지나 한지로 삼각형 또는 고깔 모양의 주머니, 쌀을 넣은 작은 주머니 등의...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제는 전승되는 마을 공동체 신앙으로, 마을을 지켜 주는 마을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하는 제의로서 동신제(洞神祭)라고도 한다. 특히 안산 지역에서는 산신제, 산제, 도당제, 당제, 정제 등으로도 불린다. 동제를 지내는 것은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고, 나아가 풍농과 풍어를...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마을의 주신인 산신에게 지내는 제사인 산신제는 마을신앙에서 가장 중시되는 의례의 하나이다. 각 마을마다 수호신으로 믿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데, 진산(鎭山)을 공유하는 마을에서는 함께 지내는 것이 관례이다. 따라서 마을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는 마을 뒷산의 정상이...
-
경기도 안산시에서 재배되는 특산식물. 사자 발바닥 모양처럼 생긴 쑥이라는 뜻에서 사자족애(獅子足艾)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산쑥, 빙대(氷臺), 의초(醫草), 애호(艾蒿), 사재발쑥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70㎝로 자라며 줄기가 다소 굵고 곧게 자란다. 잎 모양은 사자 발바닥 모양으로 단순하게 갈라져 있으며 잎 끝이 뾰족하고 약간 위로 오므라진 형태이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전보건공단 산하 경기 서부 지역 관할 지사. 안전보건공단 경기서부지사는 근로자의 안전 유지 및 보건 증진과 사업주의 재해 예방 활동을 유도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7년 4월 8일 안산산업안전기술지도원[4개 부서]으로 개원하였고, 1998년 12월 6개 부서로 조직을 확대하였다. 2001년 11월 인원을 늘리고 팀제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과 고잔동에 있는 산업지원사업소. 안산시 산업지원사업소는 산업 중심 도시인 경기도 안산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기업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1월 5일 안산시 산업지원사업소로 신설되었다. 2008년 2월 22일 「안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의 일부 개정에 따라 외국인 주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던 자연마을.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마을 형상이 우물과 같다 하여 산우물[山井]이라 하였다. 본오동에 속하기 전에는 사동에 속한 마을로 막고지 북쪽에 있었다. 광산김씨, 전주이씨, 풍양조씨, 김해김씨, 의령남씨 등이 세거하였고 특히 전주이씨가 번성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서당(書堂)이 있었을 만큼 교육열이 높은 곳이었다. 1987년 신도시 건설 때 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던 자연마을.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마을 형상이 우물과 같다 하여 산우물[山井]이라 하였다. 본오동에 속하기 전에는 사동에 속한 마을로 막고지 북쪽에 있었다. 광산김씨, 전주이씨, 풍양조씨, 김해김씨, 의령남씨 등이 세거하였고 특히 전주이씨가 번성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서당(書堂)이 있었을 만큼 교육열이 높은 곳이었다. 1987년 신도시 건설 때 2...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제는 전승되는 마을 공동체 신앙으로, 마을을 지켜 주는 마을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하는 제의로서 동신제(洞神祭)라고도 한다. 특히 안산 지역에서는 산신제, 산제, 도당제, 당제, 정제 등으로도 불린다. 동제를 지내는 것은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고, 나아가 풍농과 풍어를...
-
화정동 너빌 마을 사람들은 지금도 산제사를 올린다. 산제사는 일 년에 두 번 지내는데, 곧 정월 초3일 산제와 음력 7월 1일 제사가 바로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신제를 지내는 시기는 마을마다 일정하지 않지만 새해를 맞이해 초3일에서 보름 사이에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너빌 마을 에서는 음력 7월 초하루에 산 중턱에 있는 샘에서 제(祭)를 지낸다. 아무리...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순일(醇一), 호는 산초(山樵). 증조할아버지는 정육(鄭稑)이고, 할아버지는 정성흠(鄭星欽)이다. 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역임한 정홍경(鄭鴻慶)이며, 어머니는 황필(黃泌)의 딸이다. 정덕화(鄭德和)[1789~?]는 1814년(순조 14) 진사시, 181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강화부사 등 여러 관직을 거치고 호조참판에 이르렀다....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자 서화가 및 서화평론가.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광지(光之), 호는 첨재(忝齋)·노죽(露竹)·산향재(山響齋)·표암(豹庵)·표옹(豹翁). 할아버지는 강백년(姜柏年), 아버지는 강현(姜鋧),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 처는 진주유씨(晉州柳氏)와 나주나씨(羅州羅氏)이다. 아들로 진주유씨 소생인 강인(姜[人+寅])·강흔(姜俒)·강관(姜[人寬]...
-
조선시대 물고기 저장소가 있던 곳의 옛지명. 살막이란 조선시대 임금에게 진상할 조기를 어부살[살막재에서 서쪽으로 약 3~4㎞ 지점]에서 잡아 이곳 빙고(氷庫)에 저장했던 곳이란 뜻으로, 마을에서는 보통 ‘핑고구뎅이[氷庫구뎅이]’라 하였는데, 본래의 이름은 사옹원 분원(司饔院分院)이다. 사옹원 분원 건물은 1910년대에 헐려 없어지고[당시 군자면사무소를 짓는 데 사옹원 분원의 목재가...
-
조선시대 물고기 저장소가 있던 곳의 옛지명. 살막이란 조선시대 임금에게 진상할 조기를 어부살[살막재에서 서쪽으로 약 3~4㎞ 지점]에서 잡아 이곳 빙고(氷庫)에 저장했던 곳이란 뜻으로, 마을에서는 보통 ‘핑고구뎅이[氷庫구뎅이]’라 하였는데, 본래의 이름은 사옹원 분원(司饔院分院)이다. 사옹원 분원 건물은 1910년대에 헐려 없어지고[당시 군자면사무소를 짓는 데 사옹원 분원의 목재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한 해의 첫 명절.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이라 하고, 설은 세수(歲首)·세초(歲初)·정초(正初)라고 한다. 새해의 첫날이니만큼 행동을 함부로 경망하게 하지 말자는 뜻에서 ‘삼가는 날’이라고도 한다. 우리 고유의 명절 중 가장 큰 명절이다. 설날은...
-
삼천리 북쪽에 자리잡고 있는 산이 터미산이다. 간혹 테미산으로도 불리지만 마을 사람들은 주로 재밋산이라고 한다. 산 정상이 움푹 파여 마치 사람 머리의 둘레[테미]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그런데 조희찬 옹에 따르면, 터의 끝에 위치하고 있는 산이라고 해서 터미산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이 터미산의 정상에 세워진 삼국시대 산성이 터미산성이다. 안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자연마을. 이리(二里)와 사리(四里) 사이에 있는 마을이므로 삼리(三里)라 하였다. 마을 북쪽은 아랫말, 남쪽은 웃말, 동쪽은 한우물이라 불렀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샘골로 표기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밀양박씨가 정착한 이래 양주최씨, 김해김씨 등이 세거하였다. 조선시대에 광주군(廣州郡) 성곶면(聲串面) 삼리(三里)라 하였고, 1906년 9월 24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었던 자동차용 스프링 전문 제조업체. 1959년 서울 동대문구에서 삼목스프링제작소로 설립되었다. 1967년 서울 구로동으로 이전하였다. 1974년 미국 자동차 조립공장 A.M.C 시험을 합격하여 대미 수출을 개시하였고 1987년 안산시 반월공업단지로 시설을 이전하였다. 2003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다. 2005년 분체도장 공정을 증설하였다. 200...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아이의 점지와 출산, 수명과 질병 등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삼신은 집안에 모시는 가신의 한 대상신으로 자손의 출산 및 성장, 산모의 건강까지 담당하는 신이다. 일반적으로 산신(産神) 또는 삼신할머니·불사주머니·제석주머니·삼신주머니 등으로 불린다. 안방에 단지나 바가지 혹은 흰색의 창호지나 한지로 삼각형 또는 고깔 모양의 주머니, 쌀을 넣은 작은 주머니 등의...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아이의 점지와 출산, 수명과 질병 등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삼신은 집안에 모시는 가신의 한 대상신으로 자손의 출산 및 성장, 산모의 건강까지 담당하는 신이다. 일반적으로 산신(産神) 또는 삼신할머니·불사주머니·제석주머니·삼신주머니 등으로 불린다. 안방에 단지나 바가지 혹은 흰색의 창호지나 한지로 삼각형 또는 고깔 모양의 주머니, 쌀을 넣은 작은 주머니 등의...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아이의 점지와 출산, 수명과 질병 등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삼신은 집안에 모시는 가신의 한 대상신으로 자손의 출산 및 성장, 산모의 건강까지 담당하는 신이다. 일반적으로 산신(産神) 또는 삼신할머니·불사주머니·제석주머니·삼신주머니 등으로 불린다. 안방에 단지나 바가지 혹은 흰색의 창호지나 한지로 삼각형 또는 고깔 모양의 주머니, 쌀을 넣은 작은 주머니 등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던 냉장, 냉동설비, 공조냉동 관련 장비 제조업체. 2003년 삼영엔지니어링으로 설립하여 2005년 (주)삼영엔지니어링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2006년 (주)삼영이엔지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7년 본사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68-10번지 반월공업단지 23B-1L[동산로27번길 91]로 이전하였고, 2010년 4월 경기도 화성시 북양동...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과 단원구 신길동을 연결하는 도로. 삼일로는 수인산업도로에서 분기되어 단원구 신길동 중앙로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안산시 북쪽의 동서 구간 주요 간선도로이며, 선부광장과 성포공원을 관통한다. 삼일로의 전체 길이는 6.03㎞이며, 6차선의 도로 폭은 35m이다. 삼일로의 주요 통과지는 수인산업도로에서 성포고가, 안산시 청소년수련관, 성포예술광장, 강서고등학...
-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시작되어 경기도 안산 지역까지 확산된 독립만세시위.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시작된 3·1운동은 그해 5월에 이르기까지 전국적인 독립운동으로 확산·전개되었다. 3·1운동의 목적은 민족 자주와 국권 회복에 있었다. 비록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성공하지는 못하였으나, 민족사적으로 우리의 독립 의사를 국내외에 평화적으로 알렸다는 점에 커다란 의의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의약품 제조업체인 삼일제약주식회사의 제조 공장. 삼일제약주식회사는 끊임없는 연구 개발을 통한 우수한 의약품 생산으로 인류의 건강을 위해 헌신하는 것을 경영 이념으로 하고 있는 기업이다. 1947년 삼일제약주식회사가 설립되어 국내 최초의 효모제제인 에비오제 300정을 생산 시판하였다. 1956년 서울 용산구 한강로 2가 166-1번지에 공장을 건립...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초·기본이 충실한 어린이, 더불어 함께 사는 정직한 어린이, 슬기롭게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1990년 2월 6일 수암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5월 6일 26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2년 4월 28일 삼일국민학교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 주변으로 세 개의 골짜기[막골, 소[우]물골, 텃골]가 내 ‘천(川)’자 모양으로 뻗어 있어 삼천리(三川里)라 하였다고 한다. 막골, 텃골, 메골 등 세 개의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물이 하나의 하천으로 모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우물이 세 군데 있어 샘 ‘천(泉)’자를 써서 삼천리(三泉里)라는 설, 언젠가는 삼천 가구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 주변으로 세 개의 골짜기[막골, 소[우]물골, 텃골]가 내 ‘천(川)’자 모양으로 뻗어 있어 삼천리(三川里)라 하였다고 한다. 막골, 텃골, 메골 등 세 개의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물이 하나의 하천으로 모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우물이 세 군데 있어 샘 ‘천(泉)’자를 써서 삼천리(三泉里)라는 설, 언젠가는 삼천 가구의...
-
아랫삼천리 에 사는 장동호 씨는 반월초등학교 졸업생이다. 장동호 씨의 아버지는 반월초등학교의 전신인 반월보통학교를 다녔다. 장동호 씨의 아들과 손자 손녀가 모두 반월초등학교 졸업생이다. 윗삼천리에 사는 조희복 옹도 반월초등학교를 졸업했고, 아들과 손자 손녀들도 모두 반월초등학교 졸업생이다. 예로 든 위의 두 사람뿐만 아니라 삼천리에 사는 사람들은 외지...
-
건건동 삼천리 마을은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마을 사람 대부분이 농업을 생업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논농사보다는 밭농사의 비중이 커서, 논농사는 집에서 먹고 가까운 친척들에게 보낼 정도만 짓는다. 쌀농사를 열심히 지어도 실제로 들이는 비용과 노력에 비해 이익이 없기 때문이다. 마을 사람들이 힘을 기울이는 농사는 밭농사, 특히 채소 재배에 집중되어 있다. 삼천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삼천리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삼천리마을 지경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삼천리마을 지경 소리」와 같이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조희...
-
삼천리의 「지경다지기 소리」는 집터를 다질 때 부르는 노동요이다. 지경다지기는 ‘지경닺이’라고도 하여 집을 지을 때 집터를 고르고 기둥을 세울 자리의 땅을 단단하게 다지는 것을 말한다. 지금은 새 집을 지을 때 기초 공사로 시멘트를 사용하여 집의 바닥을 다지지만, 시멘트가 개발되어 들어오기 전에는 그런 방법이 있다는 것조차 몰랐기에 집터를 단단히 다지기 위해 생각해 낸...
-
「회다지 소리」는 사자(死者)를 장례지내는 장례 의식 중 분묘(墳墓)를 완성할 때에 부르는 노래로서 지방에 따라 「달구 소리」, 「달구질요」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회다지’는 땅 속에 매장한 시신에 물이 스며들지 않고, 장사를 지낸 후 많은 시간이 흐르더라도 분묘의 형태가 변하거나 뭉개지지 말라고 차곡차곡 다져주는 작업이다. 또는 산짐승에 의해 시신이 훼손되는 것을 방...
-
삼천리 마을 사람들의 주업은 농사이다. 하지만 남부 지방처럼 대규모의 농업이 이루어질 만큼 농토가 넓지 않아 지역의 입지를 최대한 이용하는 근교농업이 발달했다. 삼천리는 1970년대까지만 해도 고추, 콩, 고구마 순을 많이 재배하였으나 1980년대 들어와 마을 주변에 대도시들이 하나 둘씩 건설되면서 이곳 시민들에게 필요한 채소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농사가 이루어졌다. 인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 주변으로 세 개의 골짜기[막골, 소[우]물골, 텃골]가 내 ‘천(川)’자 모양으로 뻗어 있어 삼천리(三川里)라 하였다고 한다. 막골, 텃골, 메골 등 세 개의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물이 하나의 하천으로 모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우물이 세 군데 있어 샘 ‘천(泉)’자를 써서 삼천리(三泉里)라는 설, 언젠가는 삼천 가구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삼화왕관의 제조 공장. 삼화왕관은 경영은 인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경영 이념을 바탕으로 Customer[고객]·Quality[품질]·Innovation[혁신]·Person[인재]을 최우선 경영 목표로 하고 있는 종합 병마개 제조업체이다. 즉 모든 판단의 기준이 고객이어야 하고, 과감한 기술 투자와 품질관리를 통해 최고의 품질을 보장하며, 끊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페인트 전문 제조업체. 고객만족 제일주의 정신을 바탕으로 좋은 제품 생산에 열성을 다하고 기술 개발에 정진하여 페인트 산업 발전과 고객 만족 실현에 최선을 다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46년 4월 동화산업[도료제조업]으로 발족하여 1947년 미군정청 지정 공장으로 선정되었으며 1956년 국내 최초로 주한미군 군납을 개시하였다. 1964년 7월 삼...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인간의 4대 통과의례의 하나이다. 사람이 운명한 후 시신을 수습하고, 묘지를 만들어 매장하며, 유족들이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며, 상복을 입고 근신하는 기간에 치러지는 여러 가지 과정인 상중에 행하는 모든 예절을 의미한다. 사람이 태어나서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예부...
-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행정구역. 상록구는 2002년 11월 1일자로 안산시에 구(區)가 설치되면서 생긴 행정구역으로 단원구(檀園區)와 함께 안산시를 양분하고 있다. 최용신(崔容信)[1909~1935]의 삶을 소재로 한 심훈(沈熏)[1901~1936]의 소설 『상록수』[1935]에서 따 온 이름이다. 최용신은 1930년대에 본오동 지역에서 교육을 중심으로 농촌 계몽 운동을 펼친 인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상록구 관할 행정 기관. 상록구청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6년 안산시 승격 이후 인구 및 지역 규모의 확대에 따라 2002년 11월 1일 상록구와 단원구로 분구되면서 11개 동을 관할 구역으로 하는 상록구청이 개청하였다. 2004년 7월 1일 상록구 일동이 일동과...
-
1935년 심훈이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샘골을 배경으로 하여 지은 소설. 「상록수」는 『동아일보』 창간 15주년 기념 소설현상공모에 당선된 심훈(沈熏)[1901~1936]의 장편소설로, 농촌계몽운동을 시대적 배경으로 깔고 있다. 농촌계몽운동은 일제의 식민지 수탈에 맞서 1920년대 중반부터 적극적으로 전개되어 왔는데, 1931년 동아일보사가 창간 10주년을 맞아 대대적인 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상록수공원은 심훈의 장편 소설 「상록수」의 여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인 최용신(崔容信)을 기리기 위해 1994년 그가 활동했던 샘골마을[현 안산시 본오동]에 조성되었다. 2007년 7월 16일부터 10월 13일까지 4억8천8백만 원을 투입하여 123㎡의 소나무 동산을 조성하고, 1,722㎡의 광장 및 산책로 포장 공사를 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보건 의료 행정 기관. 상록수보건소는 시민들의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4년 1월 1일 안산시 행정기구 설치조례에 의해 상록수보건소가 신설되었다. 2007년 7월 30일 상록수보건소 신청사를 준공하여 8월 20일 진료를 개시하였으며, 9월 20일 신청사 개소식을 하였다. 1차 내과진료·치과진료·물리치료·한방치료·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1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상록수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2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성 바오로이다. 매년 6월 29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상록수성당은 1995년 1월 20일 대학동성당에서 분당되어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구역 조정 작업을 거친 후 반월 지역을 분리하여 반월동성당을 분당시켰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수도권 광역 지하철 과천-안산선의 역.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이 개통됨에 따라 설치된 금정~안산 구간의 중간 역으로서 영업을 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의 문학가 심훈의 소설「상록수」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지역이며, 주인공 채영신의 모델인 최용신 선생의 묘가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역명으로 제정되었다. 인근에 안산대학교이 있어 부역명은 안산대학...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공공 체육 시설. 상록수운동장은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위하여 1990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1111번지에 건립되었다. 총면적은 8,125㎡이며, 체육 시설로는 축구장, 배드민턴장, 배구장, 게이트볼장, 농구장 및 화장실 등을 갖추고 있다. 시설의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2007년 6월 1일에 설립된 안산도시공사에 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인간을 존중하며 규범에 따라 행동하는 도덕인, 학력 증진에 힘쓰고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탐구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을 튼튼히 관리하고 자율과 책임을 존중하는 건강인, 공익을 앞세우고 더불어 사는 지혜를 기르는 협동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 사랑, 봉사’이다. 상록중학교는 1993년 1월 11일 12학급 설립...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변화와 발전하는 학교[학교상], 기초·기본이 튼튼한 학생[학생상], 전문성과 사랑이 있는 교원[교원상] 아래 바르게 행동하고 조화로운 어린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지혜로운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행동하며 스스로 공부하며 몸과 마음이...
-
경기도 안산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리를 목적으로 한 물품 매매업. 안산시는 과거 시흥군 군자면, 수암면 화성군 반월면에 속해 인근 인천과 수원, 안양 상권과 맞물려 성장하였다. 반월공업단지가 들어서기까지는 농업과 어업이 주된 기반 산업이었던 반면 공업단지가 들어서면서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상업이 활발하게 성장하는 추세에 있다. 1. 고려~조선시대 고려시대 안산 지역의 상업은 문헌...
-
조선 후기 허목이 경기도 안산의 청문당에서 매화를 감상하고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상초당매」는 허목(許穆)[1595~1682]이 지기인 유석(柳碩)[1595~1655]을 찾아가서, 진주유씨 대종가 재실인 청문당(淸聞堂)의 매화를 보고 그 느낌을 표현한 시이다. 청문당의 자랑은 ‘매화와 서책들’이란 말대로 당시 유석은 분매를 잘 길러 허목 등 친지들에게 종종 선물하여 매화음(梅花吟...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는 자연마을. 칠보산 아래 양지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양짓말[陽村]이라 하였다. 마을 가장 위쪽에 있고 예전에는 양반들이 많이 살아서 상촌(上村)이라고도 하였다. 현재 양짓말은 수인산업도로로 양분되어 있으며 현대아파트와 연립 주택이 들어서 있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백합과에 속하는 조개. 백합은 이매패강 백합목 백합과의 조개로 서해안에서 많이 양식한다. 한자어로 합(蛤)이라고도 하며, 대합·상합·생합·피합·참조개라고도 한다. 껍데기는 길이 9㎝, 높이 7.2㎝, 너비 4.3㎝ 정도이며 둥근 삼각형으로 두껍고 견고하다. 껍데기 표면은 암갈색에서 회백갈색까지 다양하며, 매끈하고 광택이 난다. 그리고 흑갈색의 넓은 띠...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 아버지는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낸 안극(安極),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익령(李益齡)의 딸, 처는 창녕성씨(昌寧成氏)로 성순(成純)의 딸이다. 안정복은 1712년(숙종 38) 12월 25일 충청도 제천에서 출생하였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청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약 25㎝이다. 몸은 긴 타원 모양이고 매우 납작하며, 등은 푸른색 배는 은백색을 띤다. 아가미 뒤에 크고 검은 점이 1개 있으며, 배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모비늘이 발달하여 있다. 몸 위쪽에 작고 검은 점들이 줄지어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진한 노란색을 띤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가 실린 1530년 간행...
-
삼천리는 원래부터 안산의 끝에 숨겨진 한적한 마을이 아니었다. 예전에는 마을 앞 장고개를 넘어 반월장터로 바로 갈 수 있었고, 학이 내려앉았다는 학좌고개를 넘으면 지금은 군포시에 포함된 둔대리를 지나 과천으로, 또 서울로도 갈 수 있었다. 수원으로 가는 길도 편해서 안산 지역에서는 교통의 요지였다. 그런데 지금은 왜 외부와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고 안산의 다른...
-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새마을금고법」에 의거하여 운영되는 금융 기관. 새마을금고는 향토개발사업의 하나로서 1963년에 경상남도에 설립된 신용조합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재건국민운동본부 경상남도지회 요원들이 각자 자기 마을을 중심으로 조합 운동을 전개한데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초기의 마을금고 운동은 뚜렷한 이념과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지 못한 상태였으나 이후 급속히 퍼져 나가 1963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1970년부터 지역 사회 개발운동의 일환으로 전개된 마을문고사업. 1970년 4월 22일 “우리 스스로가 우리 마을은 우리 손으로 가꾸어 나간다는 자조·자립정신을 불러 일으켜 땀 흘려 일한다면 모든 마을들이 머잖아 잘 사는 아담한 마을로 그 모습이 바뀌어지리라 확신한다.”라는 박정희 대통령의 메시지에 이어 같은 해 10월부터 전국 33,000여 개 마을에서 일...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1970년부터 시작된 지역 사회 개발운동. 1970년 4월 22일 “우리 스스로가 우리 마을은 우리 손으로 가꾸어 나간다는 자조·자립정신을 불러 일으켜 땀 흘려 일한다면 모든 마을들이 머잖아 잘 사는 아담한 마을로 그 모습이 바뀌어지리라 확신한다.”라는 박정희 대통령의 메시지에 이어 같은 해 10월부터 전국 33,000여 개 마을에서 일제히 새마을가꾸기운동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꿈의 교회는 삶에 희망을 주는 교회를 모토로 하여 ‘불신자가 좋아하는 교회, 남성들이 더 좋아하는 교회, 젊은이들이 더욱더 좋아하는 교회’가 되고자 설립되었다. 꿈의 교회는 1993년 12월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888-11번지에 김학중 전도사가 처음 문을 열었다. 1996년 6월 500석 규모의 제2성전을 마련하였고,...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꿈의 교회는 삶에 희망을 주는 교회를 모토로 하여 ‘불신자가 좋아하는 교회, 남성들이 더 좋아하는 교회, 젊은이들이 더욱더 좋아하는 교회’가 되고자 설립되었다. 꿈의 교회는 1993년 12월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888-11번지에 김학중 전도사가 처음 문을 열었다. 1996년 6월 500석 규모의 제2성전을 마련하였고,...
-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하는, 북한을 이탈하여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 새터민은 경제적이나 정치적 이유 등으로 국경을 넘어 북한을 탈출한 사람들, 즉 북한이탈주민(北韓離脫住民)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그동안 남한 일각에서 탈북자라는 용어가 어감이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다른 용어로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게 됨에 따라 2005년 1월 9일 통일부가 한국 거주 탈북자를 ‘새로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던 자연마을. 바닷가가 가까우면서도 샘이 많이 나고 물맛이 짜지 않고 아주 좋아서 샘골[泉谷]이라 하였다. 일제강점기에 화성군 반월면에서 수질 검사를 한 결과 이 마을 우물의 수질이 가장 뛰어났다고 한다. 조선 말엽 남양홍씨 문희공파(文僖公派) 23세손인 홍의경(洪義卿)이 처음으로 정착한 이래 후손이 대대로 살아 온 곳이다. 폐동 당시 남아 있던 4...
-
일제강점기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던 강습소. 샘골강습소는 일제강점기 소설 『상록수』의 모델로 유명한 최용신이 1931년부터 본격적으로 농촌운동에 투신하기 위해 YWCA의 파견교사가 되어 책임을 맡고 한글·역사·산수와 재봉·수예·창가·성경 등을 가르쳤던 강습소로, 당시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샘골[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위치하였다. 오래 전부터 농촌운동에 뜻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샘골교회는 사리[샘골마을] 지역에 새로운 종교적 정신문화를 싹틔우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07년 7월 3일 반월면 사리 샘골마을에 사는 홍원삼과 홍순호 형제가 사리[샘골]의 한 가정집에서 예배를 보면서 시작되었다. 1911년 반월면 사리 63번지 김정태(金正泰)의 땅을 빌려 예배당을 지으면서 신도 수가 점차 증가하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자연마을. 풍수로 보아 마을 형상이 소의 뿔처럼 생겼다 하여 샛뿔[新角]이라 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정길섭(丁吉燮)[정봉진 전 안산문화원장 조부]이 이곳에 신흥학교(新興學校)를 설립하면서 새 학문을 익혀 깨달아야 잘살 수 있다는 의미로 ‘깨달을 각(覺)’자를 써서 ‘샛뿔[新覺]’로 개명하였다고 한다. 샛뿔은 능길과 시흥시 거모동 도일 사이에 있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샛터공원은 1999년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건강 증진과 여가 선용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136,717㎡이고, 잔디밭 면적은 5,000㎡이다. 교목 450본과 관목 4,426본 등 총 4,876본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산책로 곳곳에 어린이 놀이터와 체력 단련 시설, 배드민턴장과 휴게소가 갖춰져 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하 연구 기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안산연구센터는 생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용화 기술 개발·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설립되었다. 「중소기업의 경영안정 및 구조조정 촉진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1989년 10월 12일 산업계 생산 기술의 종합적 연구 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한국생...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백합과에 속하는 조개. 백합은 이매패강 백합목 백합과의 조개로 서해안에서 많이 양식한다. 한자어로 합(蛤)이라고도 하며, 대합·상합·생합·피합·참조개라고도 한다. 껍데기는 길이 9㎝, 높이 7.2㎝, 너비 4.3㎝ 정도이며 둥근 삼각형으로 두껍고 견고하다. 껍데기 표면은 암갈색에서 회백갈색까지 다양하며, 매끈하고 광택이 난다. 그리고 흑갈색의 넓은 띠...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안산시 농업기술센터 소속 농업인 단체. 생활개선회는 농촌 여성 지도자로서 건전한 농촌 가정을 육성하고 회원 간의 친목 도모와 밝은 지역 사회를 만들며, 지속적인 농촌 발전과 농촌 여성의 지위 및 권익 향상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58년 생활개선구락부로 출발하였다. 1977년 새마을부녀회에 통합되어 생활개선부로 활동하였고, 1994년 사단법인...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생활 분야에 대한 세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신문. 생활정보신문이라고도 하는 지역생활정보지는 생활 분야에 대한 세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신문으로, 1988년 ‘지역 정보 공유’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등장했던 『교차로』 이후 다종다양한 형태로 급속하게 발전했다. 1990년대 기존 매체가 충족시키지 못하는 지역적 정보 수요를 만족시키며 크게 성장한 생활정보신문은 한때...
-
경기도 안산시에서 일반인들이 건강과 여가 선용을 위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즐기는 운동. 생활체육은 생활의 일부분으로 행해지는 자발적인 체육활동을 말하며 생활체육이란 용어는 서구에서 등장한 평생체육[Sport for Lifetime] 또는 모든 사람을 위한 체육[Sport for All]의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즉 모든 사람이 성, 연령, 계층, 인종, 종교에 구애됨이 없이 체육활...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셔 놓은 제당. 성황당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서낭을 모셔 놓은 신당이다. ‘서낭당’, ‘서낭’이라고도 한다.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 놓은 돌무더기 형태로, 그 곁에는 보통 신목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이곳을 지날 때는 그 위에 돌 세 개를 얹고 세 번 절을 한 다음 침을 세 번 뱉으면 재수가 좋다는...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셔 놓은 제당. 성황당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서낭을 모셔 놓은 신당이다. ‘서낭당’, ‘서낭’이라고도 한다.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 놓은 돌무더기 형태로, 그 곁에는 보통 신목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이곳을 지날 때는 그 위에 돌 세 개를 얹고 세 번 절을 한 다음 침을 세 번 뱉으면 재수가 좋다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 창말에 있는 고개. 매년 정월 초이틀에 소를 잡아 놓고 당제를 지내던 서낭당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안동장씨 종중 땅으로 서낭당 앞으로 반월동과 군포시를 연결하는 도로가 확장되고 반월장에서 삼천리로 가는 길이 생기면서 지금은 삼거리 한쪽에 치우쳐 있게 되었다. 서낭당 당목은 엄나무이며 당제를 지낸 후에는 웃말, 가운뎃말, 아랫말의 우물에다 엄나무 가지...
-
예로부터 내려오던 경기도 안산 지역의 사설 기초 한문 교육 기관. 서당은 사족(士族)과 일반 사람들이 주체가 되어 향촌 사회에 생활 근거를 두고 면(面)·동(洞)·이(里)를 기본 단위로 하여 설립한 초·중등 교육기관이다. 학당(學堂)·사숙(私塾)·학방(學房) 등이라고도 한다. 서당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나 삼국시대 고구려에 경당(扃堂)이라는 마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참서대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참서대는 설어(舌魚) 또는 혜저어(鞋底魚), 우설어(牛舌魚), 설대어, 서대, 서대기라고도 한다. 종류로는 참서대, 개서대, 각시서대 등이 있다. 몸길이는 약 27㎝이다. 긴 타원 모양이며, 옆으로 납작하고 눈은 작고 왼쪽에 치우쳐 있다. 주둥이 끝은 둥글고 입은 눈 아래에서 배지느러미 쪽으로 심하게 굽어 있다. 등지느러...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참서대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참서대는 설어(舌魚) 또는 혜저어(鞋底魚), 우설어(牛舌魚), 설대어, 서대, 서대기라고도 한다. 종류로는 참서대, 개서대, 각시서대 등이 있다. 몸길이는 약 27㎝이다. 긴 타원 모양이며, 옆으로 납작하고 눈은 작고 왼쪽에 치우쳐 있다. 주둥이 끝은 둥글고 입은 눈 아래에서 배지느러미 쪽으로 심하게 굽어 있다. 등지느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과 시흥시 군자동에 걸쳐 있는 산. 본래의 산명은 군자산(君子山)인데 조선 말엽에 군자봉으로 바뀌었다. 서촌(西村)[옛 군자면]을 묵묵히 지켜 온 수호산으로 봉우리가 하나라 하여 일봉산(一峰山), 또는 산의 내령이 서쪽으로만 뻗었다 하여 서령산(西嶺山)이란 별칭이 붙었다. 산의 유래에 대하여는 설이 구구하다. 군자동 구지정 출신인 풍수지리 연구가 지창룡(...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중연(仲淵), 호는 섬계(剡溪)·서산(西山). 아버지는 이하진(李夏鎭), 어머니는 용인이씨(龍仁李氏)로 이후산(李後山)의 딸, 처는 동복오씨(同福吳氏)로 오시복(吳始復)의 딸이다. 동생이 성호(星湖) 이익(李瀷)이다. 이잠은 한양 소정동(小貞洞)에서 출생하였으며 안산 첨성촌[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서 우거했다. 1...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소릉(少陵)·오호(五湖)·서산(西山)·파릉(巴陵).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형은 응교 이상홍(李尙弘)이며, 동생은 예조참판을 지낸 이상신(李尙信)이고, 아들은 이지안(李志安)이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원지(元之), 호는 현석(玄石)·서석(瑞石). 할아버지는 부사직 한경남(韓敬男), 아버지는 우의정 한응인(韓應寅)이다. 사위로 선조의 열째 아들 흥안군(興安君) 이제(李瑅)가 있었으나 이괄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한인급은 경기도 안산 월곡면 사사리(沙士里)[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정지(淨之), 호는 두곡(杜谷)·서엄(西崦). 증조부는 장일(張逸), 할아버지는 판서 장운익(張雲翼), 아버지는 우의정 장유(張維), 어머니는 안동김씨(安東金氏)로 김상용(金尙容)의 딸이다. 여동생이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장선징은 경기도 안산군 마유면 응곡리[현 시흥시 장곡동 안골]에서 태어났다. 인조 때 공신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과 단원구 원곡동을 연결하는 전철. 안산선은 경기도 군포시의 금정역과 시흥시의 오이도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군포시와 안산시, 시흥시의 주요 지역을 관통한다. 2000년 이후로 일반 안내에는 ‘안산선’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으며, 수도권 전철 4호선[일반적으로 서울 지하철 4호선이라고 한다.]의 일부로서 안내된다. 그러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사립 예술 전문대학. 서울예술대학교는 안산캠퍼스와 남산캠퍼스로 이원화되어 있다. 서울예술대학교은 안산캠퍼스에 대학본부를 두고, 예술 교육 전문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3가에 있는 남산캠퍼스는 예술 체험 전문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 활동은 안산캠퍼스를 통해서 이루어 지고 있다. 우리 고유의 민족 정서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낙농업체인 서울우유협동조합의 제조 공장.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액상시유 및 기타 낙농제품을 제조하고 있는 기업으로 안산공장, 양주공장, 용인공장, 거창공장 등 4개의 공장을 두고 있다. 1937년 7월 11일 경성우유동업조합으로 설립되었으나 1945년에는 서울우유동업조합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62년에는 서울우유협동조합으로 상호가 변경되었으며 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동합금 계열 비철금속 제조업체. 정직(正直)이라는 사훈을 바탕으로 한 투자자와 고객을 위한 이익 경영 체제의 확립, 신뢰를 자산으로하는 책임 경영을 통한 내부 관리 체계의 확립, 지식 정보를 바탕으로 한 지식 경영 체제의 확립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는 기업이다. 1988년 9월 (주)서원으로 설립되었으며 1989년 안산 반월공장...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던 옛 지명. 독수리는 안산읍성의 망해정(望海亭) 터가 있던 곳을 가리킨다. 망해정 터는 안산군 관아 서쪽에 있었으며, 안산군 군내면 서정리(西亭里)[독수리] 지역이었다. 지금은 터만 남아 있고 기와 조각 등이 수습되고 있다.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 승지고적(勝地古跡)조의 “읍치서고유망해정구지관사후유토체형지차즉고연성군김정경지서식처야(邑治西皐有望海...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익지(益之), 호는 유천(柳川). 증조부는 정선군수 한승원(韓承元), 할아버지는 한여필(韓汝弼), 아버지는 경성판관(鏡城判官) 한효윤(韓孝胤), 어머니는 예빈시정(禮賓寺正) 신건(申健)의 딸이다. 인조의 장인이다. 한준겸은 1579년(선조 12) 생원과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585년에 태릉참봉에 천거되었으며, 이듬해에 별시문과에 병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사능(士能)·함장(含章), 호는 단원(檀園)·단로(檀老)·단옹(檀翁)·단구(丹邱, 丹丘)·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취화사(醉畵士, 醉畵史, 醉畵師)·첩취옹(輒醉翁)·농한(農漢)·농사옹(農社翁)·대우암(對右庵)·오수당(午睡堂). 증조부는 만호를 지낸 김진창(金震昌), 할아버지는 김수성(金壽星), 아버지는 김석무(金錫武)...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호는 동파(東坡) 또는 서호(西湖). 아버지는 지제교 이만근(李萬根)이고, 동생이 안동부사를 지낸 이중화(李重華)이다. 이중창은 오도일(吳道一)한테 배웠으며, 진사에 오른 후 호조정랑을 지냈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었으나 현존 여부는 알 수 없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문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 낙지는 두족강 문어목 문어과에 속하며, 한자어로는 낙제(絡蹄)·석거(石距)·소팔초어(小八梢魚)·장거(章擧)·장어(章魚)·초어(梢魚)라고도 한다. 서식 해역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많으며 , 부화 시기 및 환경에 따라서 크기도 다양하다. 주로 식용하는데, 낙지백숙·낙지볶음·낙지어채·낙지적·낙지젓을 만들거나 낙지회로 요리하...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히드로충류와 해파리류와 유즐동물의 총칭. 해파리는 수모(水母), 해차, 저포어(樗蒲魚), 석경(石鏡), 해타(海鮀)라고도 한다. 해파리강은 십자해파리·입방해파리·관해파리·기구해파리·근구해파리의 5목으로 나누어지며, 세계에 현서종 약 200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해역에 흔한 종은 물해파리이다. 주로 해파리냉채 요리를 해서 먹는다. 몸은 보통 우산...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교통 통신 기관. 석곡역(石谷驛)은 원활한 공문서의 전달, 관리(官吏)와 외국 사신의 왕래 및 숙박, 말을 공급하여 관물(官物)의 수송 등을 돕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조선 중종 때 완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영조 때 완성된 『여지도서(輿地圖書)』 등에 기록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 육상 교통의 중요 기관으로 역과 원(院)이 있었...
-
1690년 신후재가 경기도 안산의 석곡역을 다녀온 감흥을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1690년 2월 신후재(申厚載)[1636~1699]는 평소에 깊은 우의를 나누던 유명천을 찾아 현재의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던 진주유씨 대종가 재실인 청문당(淸聞堂)을 방문했던 것 같다. 유명천의 『퇴당선생시집(退堂先生詩集)』권1에 원운(元韻)으로 실려 있고, ‘경오년에 사원에게 준다[寄士元庚午]’...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 조기는 흔히 참조기, 보구치, 수조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1.5㎝가량의 것은 물강다리, 9㎝가량의 것은 강다리, 15㎝가량의 것은 세레니, 15㎝ 이상의 것은 조기 등 크기에 따라 다르게 부른다. 또한 소금에 절여서 말린 것을 굴비라고 한다. 석수어(石首魚), 참조기, 보구치, 수조기, 석두어(石頭魚), 강어, 황...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자연마을.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초입에서 구라 사이에 있는 산에 흰 차돌[일명 쉰돌박이]이 많이 박혀 있고 6·25전쟁 이전까지만 해도 바닷물이 이곳까지 들어왔다고 하여, 차돌에서 ‘석(石)’자를 취하고 바다에서 ‘호(湖)’자를 취하여 석호(石湖)라 불렀다고 한다. 뒷골 서쪽에 있던 마을로 양주최씨와 김해김씨 등의 세거지였다. 1979년 폐동...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연(聖淵), 호는 석북(石北)·오악산인(五嶽山人).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신호(申澔), 어머니는 이휘(李徽)의 딸, 처는 해남윤씨(海南尹氏)로 윤두서(尹斗緖)의 딸이다. 신광수는 문장으로 뛰어난 강박(姜樸)과 학행과 시문으로 잘 알려진 이덕주(李德冑)의 문하에 출입하였다. 가문이 남인인 때문에 초년부터 관직 진출이...
-
풍도는 경기도 서해 도서 지방의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섬이다. 그러나 풍도와 육도는 현재 불법 건축물과 석재 채굴 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기도 하다. 현재 풍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불법 건축물은 풍도동 301번지와 301-1번지 일대의 건물 4곳과 가건물 2곳이다. 관할 단원구청 관계자는 거리상, 행정상 ‘관리하기가 쉽지 않은 곳’이라고만 밝...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에 있던 큰 돌 하나가 멀리서 보면 마치 세 개의 바위가 나란히 있는 것처럼 보여 석삼말[石三村]이라 하였다. 호동초등학교와 수인산업도로 사이에 있던 마을로, 1977년 폐동 때 모두 7가구가 있었는데 4가구는 일동에, 3가구는 이동에 속해 있었다. 지금은 호동초등학교 앞을 지나는 4차선 도로와 성호공원이 들어서 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에 있던 큰 돌 하나가 멀리서 보면 마치 세 개의 바위가 나란히 있는 것처럼 보여 석삼말[石三村]이라 하였다. 호동초등학교와 수인산업도로 사이에 있던 마을로, 1977년 폐동 때 모두 7가구가 있었는데 4가구는 일동에, 3가구는 이동에 속해 있었다. 지금은 호동초등학교 앞을 지나는 4차선 도로와 성호공원이 들어서 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던 자연마을. 조선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으로 연성군(蓮城君)에 봉해진 김정경(金定卿)[1345~1419]의 손자인 김맹전(金孟銓)의 묘를 만들면서 묘 앞에 세울 빗돌[碑石]을 배편으로 옮겨 와 이곳에서 직접 석수장이들이 돌을 깎아 세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거미울 동쪽 마을로 안산김씨[또는 연성김씨]의 세거지이다. 김맹전의 묘를 쓴 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던 자연마을. 조선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으로 연성군(蓮城君)에 봉해진 김정경(金定卿)[1345~1419]의 손자인 김맹전(金孟銓)의 묘를 만들면서 묘 앞에 세울 빗돌[碑石]을 배편으로 옮겨 와 이곳에서 직접 석수장이들이 돌을 깎아 세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거미울 동쪽 마을로 안산김씨[또는 연성김씨]의 세거지이다. 김맹전의 묘를 쓴 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공공 체육 시설. 석수골운동장은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위하여 1991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1068번지에 건립되었다. 총면적은 13,102㎡이며, 체육 시설로는 축구장, 농구장, 배구장, 족구장과 주차장 및 화장실 등을 갖추고 있다. 시설의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2007년 6월 1일에 설립된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 조기는 흔히 참조기, 보구치, 수조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1.5㎝가량의 것은 물강다리, 9㎝가량의 것은 강다리, 15㎝가량의 것은 세레니, 15㎝ 이상의 것은 조기 등 크기에 따라 다르게 부른다. 또한 소금에 절여서 말린 것을 굴비라고 한다. 석수어(石首魚), 참조기, 보구치, 수조기, 석두어(石頭魚), 강어, 황...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예절이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공동체 의식을 지닌 도덕인, 근검·절약하며 협동 봉사하는 자기 주도적인 자주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심미적인 사람인 건강인, 합리적인 사고로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창조하는 창조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근면, 진실, 창의’이다. 석수중학교는 2005년 12월 16일 8학급 설립 인가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자연마을.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초입에서 구라 사이에 있는 산에 흰 차돌[일명 쉰돌박이]이 많이 박혀 있고 6·25전쟁 이전까지만 해도 바닷물이 이곳까지 들어왔다고 하여, 차돌에서 ‘석(石)’자를 취하고 바다에서 ‘호(湖)’자를 취하여 석호(石湖)라 불렀다고 한다. 뒷골 서쪽에 있던 마을로 양주최씨와 김해김씨 등의 세거지였다. 1979년 폐동...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세계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고 예절 바르며 교양 있는 사람, 합리적으로 사고하여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사람,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고 바른 인성을 갖춘 도덕적인 사람,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흙처럼 정직하게, 꽃처럼 아름답게, 벌처럼 성실하게’이다. 석호중...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석호공원은 2003년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건강 증진과 여가 선용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53,240㎡이다. 교목 892본과 관목 8,000본 등 총 8,892본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운동 시설로 농구장 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타 휴양 및 편의 시설로 음수대 1개, 등의자 22개, 평의자 44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서 석호마을 서낭님과 호랑이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8년 11월 25일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서 이덕봉[남]이 구연한 것을 이한기가 채록하여 1990년 내고장안산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내고장안산』에 수록하였다. 이후 1997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서 김완태[남, 70]가 구연한 것을 이정태가 채록하여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실천 중심의 바른생활 교육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기초·기본 교육을 바탕으로 슬기롭게 생각하는 어린이, 다양한 체험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력이 높은 어린이, 전인적 발달을 바탕으로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사랑·근면·협동’이다. 1966년 5월 2일 본오국민학교 석호분실로 개교하였다. 1967년 3...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굴과에 속하는 조개. 굴은 발이 퇴화하였으며, 왼쪽 겉껍데기는 크고 깊으며 바위 등에 붙어 서식한다. 오른쪽 겉껍데기는 뚜껑처럼 왼쪽 겉껍데기를 덮고 있으며 좀 작고 볼록한 정도로 작다. 두 겉껍데기 연결부에 이빨은 없으며, 검은 인대로 받혀 있다. 표면에 성장맥이 판 모양으로 발달하고 돌기나 방사륵이 생기기도 한다. 안산시 대부도의 선사시대 패총에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섬. 선감도는 고려시대부터 선감미도(仙甘彌島)로 표기되어 왔으며, 옛날에 속세를 떠나 선경에 살던 신선이 내려와 맑은 물로 목욕을 했다 하여 선감도(仙甘島)라 한다. 선감도는 불도와 탄도를 지나 화성군 서신면과 방조제로 연결되어 있으며, 대부도의 시화방조제를 통해 연륙되어 있다. 육지의 일부가 섬으로 분리된 육도(陸島)로, 지형은 동쪽이 높고 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서 사공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선감도 나룻배 사공」은 일제강점기에 선감도 나룻배 사공 박신태[곰보사공]와 관련된 민담이다. 즉 창씨개명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갈등을 김완수·윤기은·박신태 등의 의견을 중심으로 서사 형태로 진행하는 애국담이다. 1997년 이현우가 선감도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김동열[남, 69]로부터 채록하였는데, 이는 20...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선감도(仙甘島)에서 따온 이름으로, 선감도의 유래에 대해서는 신선이 이곳에 내려와 맑은 물로 목욕을 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 섬의 높은 산 위에 정결한 바위가 있어 이 바위에 신선이 내려와 노닐었다 하여 선암도(仙岩島)라 하였는데 후에 선감도로 바뀌었다는 설이 있다. 한편, 고려인으로 중국 원나라에 귀화하여 일본 정벌에 참여했던 홍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불도마을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마을의 공동 제사. 선감동 불도 당제는 3년마다 한 번씩 정월 보름 전에 날을 잡아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제사이다. 이를 ‘당제’, ‘당굿을 지낸다.’고 한다. 당주는 부부 1집을 선정하며, 바로 금기에 들어가 음식도 비린 것을 먹지 않고 소금장 정도만 먹는다. 당주는 당산날 하루...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도립 청소년 수련 시설. 경기도 청소년수련원은 경기도에서 설립한 청소년 수련시설로 지덕체를 겸비한 조화로운 인격체 형성과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각종 프로그램과 다양한 지원 체계를 갖추고 있다. 경기도는 공공성 및 국제적 특성화 사업의 추진을 목적으로 기존 수련원의 관행과 부정적 요소를 과감히 제거하여 질적 내실을 기하고 참여하는 즐거움, 신선한...
-
일제강점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었던 소년 감화원. 일본은 1923년 감화령(感化令)을 발표하고 1924년 10월 1일 함경남도 영흥에 조선총독부 직속의 감화원(感化院)으로 영흥학교(永興學校)를 설치하였다. 영흥학교의 설립 목적은 8세에서 18세의 소년으로 불량 행위를 하거나, 불량 행위를 할 우려가 있는 자를 감화시킨다는 것이었다. 불량 행위에는 가벼운 절도뿐만 아니라...
-
경기도 안산시에서 지역 주민이 공직에 임용될 사람을 직접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행위. 선거는 ‘일정한 조직이나 집단에 있어서 특정 지위에 취임할 사람을 그 조직이나 집단 구성원들이 집합적인 의사 표시를 통하여 선정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즉 다수인이 일정한 직에 취임할 사람을 선출하는 행위인 것이다. 따라서 선거는 반드시 국가 기관의 선임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노동조합, 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던 자연마을. 조선시대에 바닷물이 큰뱅골[船谷]까지 이르러 배가 닿았다 하여 배 ‘선(船)’자를 따서 배골[船谷]이라 하였는데, 후대에 이르러 뱅골이 되었다. 『전의이씨족보』에는 이골[梨谷]로 기록되어 있다. 큰뱅골에서 마을 북쪽 지역은 웃말, 동남쪽 지역은 건넌말, 서쪽 지역은 아랫말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와리면 선곡리라 하였다. 조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던 자연마을. 옛날 선녀가 하강한 마을이라 하여 선녀마을이라고 하다가, 선부리[선부동]로 바뀌었다. 선부동은 달미(達美)라고도 하였는데, 선녀들이 목욕한 석수골 우물물에서 목욕을 하면 미인이 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대월면 선부리와 달산리이었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군자면 선부리가 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서 선녀들이 놀다 간 선부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6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김순봉[남, 70]이 구연한 것을 이한기가 채록하여 1990년 내고장안산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내고장안산』에 수록하였다. 이후 1997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서 윤용현[남, 72]이 구연한 것을 이정태가 채록하여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
-
화정동에 있는 꽃우물에는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화정동 터줏대감 김연권, 김광권 두 어른이 들려주는 화정동 고주물마을의 꽃우물[花井]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어느 날, 갑자기 하늘이 캄캄해지면서 안산시 선부동 뒤에 있는 골짜기에서 오색찬란한 무지개가 솟아올랐다. 그러고는 다음 순간 하늘이 밝아지며 무지개가 서려 있던 자리에 옥수(玉水)같이 맑...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배전반 및 전기자동제어반 제조업체. 1972년 1월 22일 선도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79년 반월공업단지 신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으며, 1987년 선도전기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3년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99년 삼천전기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다. 2005년 충청남도 연기군에 제3공장 부지를 취득하였으며, 제1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배전반 및 전기자동제어반 제조업체. 1972년 1월 22일 선도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79년 반월공업단지 신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으며, 1987년 선도전기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3년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99년 삼천전기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다. 2005년 충청남도 연기군에 제3공장 부지를 취득하였으며, 제1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배전반 및 전기자동제어반 제조업체. 1972년 1월 22일 선도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79년 반월공업단지 신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으며, 1987년 선도전기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3년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99년 삼천전기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다. 2005년 충청남도 연기군에 제3공장 부지를 취득하였으며, 제1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서 배의 안전과 풍어를 위해 배에서 지내는 제사. 뱃고사는 수신(水神)·선신(船神)에게 배의 안전과 뱃길의 수호 그리고 선원들의 무탈과 풍어를 축원하는 제의이다. 선주나 선장이 배의 안전과 풍어를 배서낭에게 비는 제사로 뱃굿·행선고사·도장굿·선망굿·배선왕굿이라고도 부른다. 바다에서 배를 부리는 뱃사람들의 불안을 없애고 풍어와 무사안전을 위해 선사시대부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던 자연마을. 옛날 선녀가 하강한 마을이라 하여 선녀마을이라고 하다가, 선부리[선부동]로 바뀌었다. 선부동은 달미(達美)라고도 하였는데, 선녀들이 목욕한 석수골 우물물에서 목욕을 하면 미인이 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대월면 선부리와 달산리이었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군자면 선부리가 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다이아몬드 모양의 광장. 1991년 다이아몬드광장으로 조성되었다. 이후 군자광장, 선부광장, 미관광장 등으로 명칭이 혼용됨에 따라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단일 명칭을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2009년 6월 선부광장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는 광장 가운데로는 삼일로가 지나가고 있고 도로 북쪽에는 운동장, 남쪽에는 연못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선녀가 내려와 목욕하던 마을이라는 뜻으로 선부(仙府)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대월면 선부리와 달산리(達山里) 지역이었다. 1914년 시흥군 군자면 선부리가 되었고, 1986년 안산시가 설치되면서 안산시 선부동이 되어 행정동인 선부동 관할이 되었다. 1991년 행정동 선부동이 선부1동과 선부2동으로 분동되었고, 1993년 선부2동이 선부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수령 260년의 보호수. 은행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암수딴그루이다. 학명 가운데 종명 ‘biloba’는 두 갈래로 갈라진 잎을 뜻한다. 은행나무의 수꽃가루는 유일하게 편모를 달고 있어서 스스로 몸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를 정충이라고 부른다. 열매가 살구[肉杏]와 비슷하고 은빛이 난다 하여 은행(銀杏)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문헌에 따르면 방화·방...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고인돌 유적지. 1991년 1월 5일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시화지구 정수장 건설지에 대한 지표 조사를 경기도에 의뢰하여 조사 작업을 벌였는데, 같은 해 2월 25일 선부동 지석묘군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4월 23일부터 5월 30일까지 조사·발굴를 실시하여 시흥시 관내(가)지구 4기, 안산시 관내(나)지구 7기 등 총 11기의 지석묘를 발굴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2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선부동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1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이다. 매년 5월 1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선부동성당은 1997년 2월 14일 원곡성당에서 분당되었다. 1997년 10월 단원구 선부2동 현 위치에 성전을 건축하고 봉헌미사를 올린 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2동에 있는 수령 330년의 보호수. 측백나무는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는 구과식물의 상록 침엽 교목이다. 중국 북부가 원산지이다. 측백이라는 이름은 작고 납작한 비늘 모양의 잎이 나란히 포개져 있어 마치 옆으로 자라는 것처럼 보여 붙여졌다. 잎의 앞면과 뒷면이 거의 같고 흰색 점이 약간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암수한그루이다. 열매는 구과(毬果)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착한 마음, 바른 예절, 알찬 실력이라는 교훈 아래 목표 지향적 교육과정 운영의 충실, 바른 심성을 기르는 교육의 충실, 교원의 전문성 신장 및 책무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선부중학교는 1994년 2월 28일 14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1일 초대 홍창후 교장이 취임하였다. 1997년 2월 14일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바르게 생활하고 스스로 실천하는 어린이’이다. 1988년 12월 27일 선부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90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초대 여인석 교장이 부임하였다. 1991년 2월 12일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1992년 3월 1일 화랑국민학교가 분리되었다. 1993년 3월 1일 선일국민학교가 분리되었다. 19...
-
경기도 안산시에서 발견된 역사 기록이 존재하지 않은 시대의 유적과 유물. 안산은 한반도의 중부 서해안 지역이자 한강 하류 지역으로 이른 선사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하여 왔으며 그 흔적들이 여럿 발견되었다. 안산에서 인간의 거주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알 수 있는 명확한 유적이나 유물은 없다. 신석기시대부터는 분명히 선사시대 사람의 흔적이 남아 있으나 구석기시대의 유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서 배에 모시는 신의 신체. 배서낭은 배를 관장하여 바다에서 배의 사고를 막아주고, 선원들의 생명을 지켜주며, 풍어를 주는 신으로 신앙한다. 이를 ‘배선왕’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배를 처음 구입하면 어느 배든지 배서낭[船王]을 모신다. 그 형태는 여러 가지인데, 근래에는 가정신앙의 신체(神體)가 건궁의 형태로 바뀐 것처럼 배에도 별도의 신체를 모시지 않...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선응(善應). 할아버지는 김여물(金汝岉), 아버지는 영의정 김류(金瑬), 어머니는 진주유씨(晋州柳氏)로 유근(柳根)의 딸, 처는 고령박씨(高靈朴氏)로 박효성(朴孝誠)의 딸이다. 김경징은 1621년(광해군 13)에 치러진 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파방(罷榜)되었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때 세운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2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민주적이며 예의바른 도덕인, 사려 깊고 합리적인 지혜인, 자애심을 갖고 봉사하는 봉사인, 정서적이며 강인한 건강인, 미래사회 변화에 대비한 기능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과 창조’이다. 2003년 1월 13일 10학급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3월 1일 개교를 하고 초대 조중벽 교장이 취임하였다. 200...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살아가는 예절 바른 예절인, 스스로 노력하는 실력 있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며 탐구하는 창조인, 즐겁게 생활하는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른 마음, 열린 생각으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1993년 1월 7일 선일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일 29학급으로 개교하였다. 초...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선중(宣仲), 호는 죽계(竹溪). 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 김엽(金曄)이며, 어머니는 단양우씨이다.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김취의(金就義)[1548~?]는 1585년(선조 18) 식년시 병과에 급제하여 홍문관교리와 형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다. 승정원승지에 추증되었다....
-
우리나라 대부분의 섬에는 선착장(船着場)이나 방파제(防波堤), 물양장(物揚場)이 들어서 있다. 선착장은 대형 선박을 접안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 항만 부두가 대표적이다. 방파제는 바닷가 항만이나 어항, 포구에 설치하는 인공 구조물로서, 말 그대로 파도를 막기 위한 시설물로서, 항내 수역 및 육지에 있는 모든 항만 시설물을 파랑(波浪)과 표사(漂砂)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항...
-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선칠(璿七)이다. 아버지는 오학영(吳學泳)이고, 어머니는 우봉이씨이다. 1874년(고종 11) 출생하여 1922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다. 오형근은 진사시에 합격한 후 1891년(고종 28)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쳐 비서원승(秘書院丞)에 이르렀다....
-
조선 전기 안산에 살았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선택(宣澤). 아버지는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연성군(蓮城君)에 봉해진 김정경(金定卿)이며, 아내는 송환(宋奐)의 딸이다. 김개는 1422년(세종 4) 음직(蔭職)으로 남부녹사(南部錄事)에 임명된 뒤 세자우시직(世子右侍直)을 거쳐 전농시주부, 대호군 겸 판통례문사(大護軍兼判通禮門事), 상서원소윤 등을 역임하였다. 1455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에 있는 자연마을. 지형이 풍수지리상 선학혈(仙鶴穴)에 해당하고, 1940년대 말까지만 해도 마을 노송 지대에 백로 떼가 모여들어 신선과 학들의 서식처와 같았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선학골저수지가 낚시터로 바뀌고 전원 음식점이 몇 개 들어섰을 뿐 지금도 전형적인 농촌 마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마을 진입로도 여전히 농로 수준이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에 있는 자연마을. 지형이 풍수지리상 선학혈(仙鶴穴)에 해당하고, 1940년대 말까지만 해도 마을 노송 지대에 백로 떼가 모여들어 신선과 학들의 서식처와 같았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선학골저수지가 낚시터로 바뀌고 전원 음식점이 몇 개 들어섰을 뿐 지금도 전형적인 농촌 마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마을 진입로도 여전히 농로 수준이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한 해의 첫 명절.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이라 하고, 설은 세수(歲首)·세초(歲初)·정초(正初)라고 한다. 새해의 첫날이니만큼 행동을 함부로 경망하게 하지 말자는 뜻에서 ‘삼가는 날’이라고도 한다. 우리 고유의 명절 중 가장 큰 명절이다. 설날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참서대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참서대는 설어(舌魚) 또는 혜저어(鞋底魚), 우설어(牛舌魚), 설대어, 서대, 서대기라고도 한다. 종류로는 참서대, 개서대, 각시서대 등이 있다. 몸길이는 약 27㎝이다. 긴 타원 모양이며, 옆으로 납작하고 눈은 작고 왼쪽에 치우쳐 있다. 주둥이 끝은 둥글고 입은 눈 아래에서 배지느러미 쪽으로 심하게 굽어 있다. 등지느러...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참서대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참서대는 설어(舌魚) 또는 혜저어(鞋底魚), 우설어(牛舌魚), 설대어, 서대, 서대기라고도 한다. 종류로는 참서대, 개서대, 각시서대 등이 있다. 몸길이는 약 27㎝이다. 긴 타원 모양이며, 옆으로 납작하고 눈은 작고 왼쪽에 치우쳐 있다. 주둥이 끝은 둥글고 입은 눈 아래에서 배지느러미 쪽으로 심하게 굽어 있다. 등지느러...
-
조선 후기 안산의 입향조이자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춘보(春甫), 호는 설호(雪湖). 외할아버지는 부제학을 지낸 홍경신(洪慶臣)이며, 아버지는 참봉을 역임한 이관(李灌)이다. 이동식(李東植)[1629~1705]은 1675년(숙종 1)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문장이 훌륭하여 명망이 높았으나, 허목(許穆)의 비위에 거슬려 제주교수로 좌천되었다. 제주에서 돌아온 뒤 성균관전적에...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옛날부터 구비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 설화는 옛날이야기로서 구비문학·민속문학의 범주에 속하며 전설과 신화, 민담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 중에서 지역성이 제대로 드러나는 설화는 전설이라고 할 수 있다. 신화는 보다 넓은 지역을 단위로 하여 전해 내려오며, 민담은 지역성보다 흥미나 교훈을 위주로 하는 일반담이 중심이 된다. 현재 안산 지역에서 전해 오는 설화들은...
-
경기도 안산시에서 주위가 수역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육지의 일부. 주위가 수역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육지의 일부를 섬이라고 할 때, 지구상에서 일반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이상의 크기의 육지를 대륙이라 하고, 그린란드와 그보다 작은 육지를 섬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크고 작은 섬이 무려 3,418개나 되는데, 이 가운데 사람이 살고 있는 섬이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경...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중연(仲淵), 호는 섬계(剡溪)·서산(西山). 아버지는 이하진(李夏鎭), 어머니는 용인이씨(龍仁李氏)로 이후산(李後山)의 딸, 처는 동복오씨(同福吳氏)로 오시복(吳始復)의 딸이다. 동생이 성호(星湖) 이익(李瀷)이다. 이잠은 한양 소정동(小貞洞)에서 출생하였으며 안산 첨성촌[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서 우거했다. 1...
-
18세기 이현환이 지은 문집. 이현환(李玄煥)[1713~1772]은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성수(星叟), 호는 학서(鶴西)· 섬와(蟾窩)이며, 초명은 이수환(李壽煥)이다. 행장이나 비지(碑誌)의 기록이 없어 정확한 생애를 파악하는데 어려운 면이 있는데 『섬와잡저』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현환은 소릉(少陵) 이상의(李尙毅)의 후손으로, 이학휴(李學休)와 남양홍씨 사이에서 장남...
-
이재덕이 중심이 되어 안산의 성호가문에서 이루어졌던 시회(詩會)를 통해 수창(酬唱)한 시를 모아 놓은 시집. 성고(聲皐) 이재덕(李載德)[1711~1768]은 성호 이익(李瀷)의 족손(族孫)으로 자는 여후(汝厚), 호는 의추재(依楸齋)·성고(聲皐)·치헌(梔軒)이다. 부친 이이환(李頤煥)이 일찍 세상을 뜨자 서울에 살던 재종숙 이현환(李玄煥)의 집에 기거하며 과거를 준비하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1914년 안산군 와리면(瓦里面) 성두리(城頭里)와 무곡리(茂谷里)를 합칠 때 성두리의 ‘성’자와 무곡리의 ‘곡’자를 따서 성곡리(城谷里)라 하였다. 1914년 안산군 와리면 성두리와 무곡리를 통합하여 시흥군 군자면(君子面) 성곡리가 되었다. 1986년 안산시가 설치되면서 안산시 성곡동이 되어 행정동인 군자동 관할이 되었다. 1988년 공단동...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곡동에 있는 수령 410년의 보호수 두 그루. 은행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암수딴그루이다. 학명 가운데 종명 ‘biloba’는 두 갈래로 갈라진 잎을 뜻한다. 은행나무의 수꽃가루는 유일하게 편모를 달고 있어서 스스로 몸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를 정충이라고 부른다. 열매가 살구[肉杏]와 비슷하고 은빛이 난다 하여 은행(銀杏)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문헌에 따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잿머리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마을의 공동 제사. 성곡동 잿머리 성황제는 잿머리마을 주민들이 마을 수호신에게 안녕과 무병·풍년을 빌기 위하여 올리는 마을 제사이다. 예전에는 신곡맞이 성황제라고 불렀다. 고려 성종 때부터 내려오는 마을신앙으로 제당에는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의 비(妃) 홍씨와 장모인 안씨를 모시고 있다. 마을굿 형태로 전승되고 있으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서 잿머리 성황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성곡동 잿머리 성황제」는 단원구 성곡동의 잿머리에서 매년 행해지고 있는 성황제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유래담이다. 경순왕에게 소박맞고 죽은 홍씨 부인과 안씨 부인의 혼령을 위로한 서희에게 무사히 송나라에 다녀올 수 있도록 했다는 보은담이기도 하다. 1988년 5월 25일 안산시 선부동으로 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삼국시대 성 터. 해봉산은 바다에 접해 있는 해발 48m의 낮은 야산으로 생김새가 게의 발 모양이라 하여 해봉산(蟹峯山)이라고도 하며, 혹은 성두산(城頭山), 해운산(海雲山)이라고도 불렸다. 『안산읍지』[1895]에는 “성두봉 정상에는 성의 보루의 터가 남아 있다”라는 기록이 전하며,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1942]에도 “성두산에 둘레가 약 2...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성곶면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 조선 후기 영조 때 완성된 『여지도서(輿地圖書)』이다. 하지만 이때는 안산군 관할이 아닌 광주군 관할이었다. 이후 1906년(고종 43) 반포된 칙령 제49호 「지방 구역 조정 건」에 따라 처음으로 안산군 소속으로 등장하였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성곶면의 호적에 편입된 호(戶)는 328호로 나타난다....
-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적의 습격을 막기 위해 흙이나 돌로 쌓았던 구조물. 안산시의 성곽은 읍성과 산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안산읍성은 고려 후기에 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성벽의 일부만 남아 있다. 안산은 서해안의 요지였기 때문에 외적 방어를 위한 산성이 많이 축조되었다. 현재 조사된 것으로는 성곡산성, 목내산성, 성태산성, 테미산성, 별망성 등이 있다. 해안가를 따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1906년 하진태, 홍창억 등의 성도가 모여 신앙생활을 시작한 것이 동기가 되었으며 1909년 4월 15일 예배당을 짓고 원시리교회라고 명명하였다. 1956년 10월 예배당을 증축했으며, 1968년에는 원시리 407번지에 예배당을 신축·이전하였다. 1979년 1월 7일 군자주택단지 3블록 121에 예배당을 신축하고 입...
-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성균관유도회 산하 안산 지역 지부. 성균관유도회 안산지부는 문선왕 공자의 도덕을 근간으로 윤리 정신을 함양하고 수제치평(修齊治平)의 대도를 선양하며 사회 질서를 순화할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성균관유도회는 1945년 10월 전국 유림 2,500여 명이 성균관 명륜당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심산 김창숙(金昌淑)을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안산 지역은 안산시 승...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던 자연마을. 목내산성(木內山城) 안에 있는 마을이므로 성안[城內]이라 하였다. 본래 풍전에 속했던 마을로 처음 안동권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1979년 반월공업단지가 조성되면서 폐동될 때에는 20여 호 남짓한 민가가 있었다. 현재 한국전력변전소 등이 들어서 있다....
-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천주교 신자들의 종교 의식 및 집회를 위한 교회당. 교회법상의 성당은 하느님에 대한 경배를 위해 지정된 거룩한 건물을 의미하지만 본당[parish, 신부가 상주하는 지역 신자들의 공동체] 혹은 천주교[Catholic church]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성당은 천주교의 교회 건물을 지칭하거나 천주교 자체를 뜻하기도 한다. 천주교 전래 초기에는...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원주. 자는 성대(盛大). 할아버지는 부호군 이중검(李重儉)이고, 아버지는 부호군 이명진(李命鎭)이다. 이종해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진사를 거쳐 장연현감겸절제도위(長淵縣監兼節制都尉)를 지낸 뒤 태안군수를 역임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던 자연마을. 지금의 스타프라자에서 서남쪽으로 약 300m, 남쪽으로 약 400m에 이르는 곳이 마을의 나루터[성머리나루터]였는데, 풍수로 보아 성포리[지금의 성포동] 머리 부분에 해당하므로 성머리[聲頭]라고 하였다고 한다. 성포리는 어업의 전진 기지로, 만선의 기쁨을 안고 돌아오는 어부들의 소리가 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고잔동 태봉과 독주골...
-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성황당. 고려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안산의 대표적인 성황당으로, 안산시에서 매년 10월 1일에 ‘잿머리 성황제’를 올리고 있는 곳이다.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산 76번지이며, 해봉산의 홍명원 선생 묘 건너편에 있다. 『동국여지승람』「사묘」조에 의하면 ‘성황사가 2개 있는데, 하나는 군의 서쪽 21리에 있고, 하나는 군의 서쪽 32리에 있다.’고 되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던 자연마을. 잿머리는 성두리(城頭里)라고도 하였는데, 도란말, 안말, 골우물의 세 마을을 아울러 이르는 명칭이다. 성두리는 도란말에 있는 성황당을 신성시하여 주변에 성(城)을 쌓고 마을 주민들이 대대로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성곡동은 성두리[잿머리]의 ‘성(城)’자와 무곡리[무들]의 ‘곡(谷)’자에서 한 자씩 따 온 이름이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천주교인.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성륜(聖倫), 호는 중암(重庵). 할아버지는 예조판서를 역임하였으며 회화로 유명한 강세황(姜世晃), 아버지는 우승지를 역임한 강흔(姜俒), 어머니는 동래정씨(東萊鄭氏)로 진사 정광서(鄭光瑞)의 딸, 처는 여산송씨(礪山宋氏)로 진사 송책(宋策)의 딸이다. 강이천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0세의 어린 나이로 남...
-
경기도 안산시 고잔1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안산성마리아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2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바다의 별이신 성마리아이다. 매년 9월 8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안산성마리아성당은 2001년 1월 30일 대학동성당에서 분당되었다. 2001년 9월 단원구 고잔1동 현 위치에 성전을 건축하여 봉헌미사를 올린 후 본당...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던 자연마을. 지금의 스타프라자에서 서남쪽으로 약 300m, 남쪽으로 약 400m에 이르는 곳이 마을의 나루터[성머리나루터]였는데, 풍수로 보아 성포리[지금의 성포동] 머리 부분에 해당하므로 성머리[聲頭]라고 하였다고 한다. 성포리는 어업의 전진 기지로, 만선의 기쁨을 안고 돌아오는 어부들의 소리가 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고잔동 태봉과 독주골...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성보(誠甫). 증조부는 민근(閔瑾), 할아버지는 민중립(閔中立), 아버지는 중추부사 민대생(閔大生),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전리판서 허금(許錦)의 딸이다. 민효열은 1429년(세종 11) 생원시에 합격하고, 그해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종부시직장(宗簿寺直長)이 되었다. 그후 1431년 이조좌랑, 이듬해 예조좌랑, 1433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중장비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성보P&T주식회사는 정밀 가공 제품과 내마모 특수강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성보공업사로 창업하였다. 1983년 성보공업주식회사를 법인 설립하고, 1987년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기계사업부를 분리 이전하였다. 1988년 성보공업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1994년 금속사업부 제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중장비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성보P&T주식회사는 정밀 가공 제품과 내마모 특수강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성보공업사로 창업하였다. 1983년 성보공업주식회사를 법인 설립하고, 1987년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기계사업부를 분리 이전하였다. 1988년 성보공업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1994년 금속사업부 제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중장비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성보P&T주식회사는 정밀 가공 제품과 내마모 특수강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성보공업사로 창업하였다. 1983년 성보공업주식회사를 법인 설립하고, 1987년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기계사업부를 분리 이전하였다. 1988년 성보공업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1994년 금속사업부 제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중장비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성보P&T주식회사는 정밀 가공 제품과 내마모 특수강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성보공업사로 창업하였다. 1983년 성보공업주식회사를 법인 설립하고, 1987년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기계사업부를 분리 이전하였다. 1988년 성보공업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1994년 금속사업부 제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중장비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성보P&T주식회사는 정밀 가공 제품과 내마모 특수강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성보공업사로 창업하였다. 1983년 성보공업주식회사를 법인 설립하고, 1987년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기계사업부를 분리 이전하였다. 1988년 성보공업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1994년 금속사업부 제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무료 의료 기관. 안산빈센트의원은 의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는 극빈자, 노숙자, 행려자,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 등을 무료로 진료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4년 7월 10일 재단법인 성빈센트 드뽈 자비의 수녀회 유지재단이 일반 외과 전문의 1명과 간호사, 방사선기사 등의 의료진을 갖추어 안산빈센트의원을 개원하였다. 예산은 모두 자체 후원금으로 충...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중가(仲嘉), 호는 수촌(水村)·성산(星山). 아버지는 유격(柳格),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희천(李希天)의 딸이다. 유시회는 1589년(선조 22)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00년 용천군수를 역임하였으며 이후 호조정랑, 회양부사, 중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612년(광해군 4) 평산부사를 지냈으며, 1620년에는 선산부사를...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의료인.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성수(性壽), 호는 운암(雲巖)이다. 1891년(고종 28)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서 아버지 김준성(金駿聲)과 어머니 순흥안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나 안산문묘(安山文廟) 직원 김교성(金敎聲)에게 양자로 갔다. 효자 김충주(金忠柱)의 13세손이며 오정각을 건립한 김처일(金處一)의 증손이다. 부인 송수려(宋水麗)와의...
-
개항기 안산 출신의 정치가.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성숙(聲肅)이며, 호는 우정(羽亭)이다. 남양홍씨 남양군파 32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치섭(洪致燮)이고, 아버지는 홍재원(洪在源)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외아들로 태어났다. 홍종우(洪鍾宇)[1850~1913]는 몰락한 양반 가문에서 출생하여 어린 시절 경제적으로 빈곤한 생활을 하였으며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전라남도 고금도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던 자연마을. 목내산성(木內山城) 안에 있는 마을이므로 성안[城內]이라 하였다. 본래 풍전에 속했던 마을로 처음 안동권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1979년 반월공업단지가 조성되면서 폐동될 때에는 20여 호 남짓한 민가가 있었다. 현재 한국전력변전소 등이 들어서 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용신로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질서를 생활화하고 근검절약하며 더불어 살 줄 아는 도덕인, 전인적 성장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창의력을 갖춘 창조인, 주체의식을 갖고 자신을 성찰하며 바르게 행동하는 자주인, 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체력을 튼튼히 하여 심신이 건전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1999년 1월 15일 39학급으로 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1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사랑과 배려로 더불어 함께 사는 도덕인, 소질과 적성을 꾸준히 계발하는 실력인,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여 탐구하는 창조인, 심신이 조화롭고 아름다운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1999년 10월 20일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초대 정무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00년 3월 2일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자주적인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9년 1월 15일 설립인가를 받아 1999년 10월 20일 6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9년 10월 22일 교실 40실[일반 27실, 열린 13실]을 준공하였다. 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성어공원은 1992년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건강 증진과 여가 선용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 26,250㎡ 부지에 광장, 노인회관, 다목적 운동장, 숲동산, 산책로 등이 갖춰져 있다. 교목 892본과 관목 3,000본 등 총 3,892본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운동 시설로 운동장 1개소, 농구장 1개소,...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성여(聖與), 호는 척재(惕齋). 증조할아버지는 신영석(申永錫)이고, 할아버지는 신원(申援)이다. 아버지는 신정미(申廷美)이며, 어머니는 이장배(李長培)의 딸이고, 부인은 박자봉(朴自芃)의 딸이다. 큰아버지 신순미(申順美)에게 입양되었다. 신점(申點)[1530~1601]은 1564년(명종 19)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식...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연(聖淵), 호는 석북(石北)·오악산인(五嶽山人).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신호(申澔), 어머니는 이휘(李徽)의 딸, 처는 해남윤씨(海南尹氏)로 윤두서(尹斗緖)의 딸이다. 신광수는 문장으로 뛰어난 강박(姜樸)과 학행과 시문으로 잘 알려진 이덕주(李德冑)의 문하에 출입하였다. 가문이 남인인 때문에 초년부터 관직 진출이...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성륜(省倫). 아버지는 지제교 이만근(李萬根)이고, 형이 호조정랑 이중창(李重昌)이다. 이중화는 안동부사를 역임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었으나 현존 여부는 알 수 없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성인(聖寅). 동지중추부사 민효열(閔孝悅)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민치중(閔致中)이다. 민수언은 1723년(경종 3) 생원시에 합격하고,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42년 사헌부장령, 사간원정언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의 창달을 주장하였다. 1744년 다시 사헌부장령이 되어 관리 기강의 쇄신을 상소하다가, 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양상동과 시흥시 산현동에 걸쳐 있는 산. 수리산의 줄기가 마하산으로 연결되어 광덕산까지 이른다. 동쪽으로는 수리산과 수암봉이 바라보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광덕산, 서쪽으로는 군자봉이 마주하고, 북쪽으로는 운흥산이 호종하고 있다. 높이는 246m이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양상동과 시흥시 산현동에 걸쳐 있는 산. 수리산의 줄기가 마하산으로 연결되어 광덕산까지 이른다. 동쪽으로는 수리산과 수암봉이 바라보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광덕산, 서쪽으로는 군자봉이 마주하고, 북쪽으로는 운흥산이 호종하고 있다. 높이는 246m이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아이가 태어나서 만 한 살이 될 때까지 치르는 모든 의례. 육아의례는 출산 후부터 이루어지는 수유·목욕·첫 외출·작명·백일·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이를 ‘출생의례’, ‘성장의례(成長儀禮)’라고도 한다. 이러한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백일·돌 등을 들 수 있다. 아이가 태어나서...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집안 대주의 운수와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성주는 집안에서 위하는 가신신앙의 한 대상신으로 특히 대주(垈主)[家長]를 위해 대청마루에 모시는 신이다. 성주는 성주(城主, 星主)·성조(成造) 등으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가택신(家宅神) 혹은 그 집 대주의 수호신으로 여긴다. 차남 이하의 집에서도 모시기 때문에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신격으로 남아 있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집안 대주의 운수와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가신(家神). 성주는 집안에서 위하는 가신신앙의 한 대상신으로 특히 대주(垈主)[家長]를 위해 대청마루에 모시는 신이다. 성주는 성주(城主, 星主)·성조(成造) 등으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가택신(家宅神) 혹은 그 집 대주의 수호신으로 여긴다. 차남 이하의 집에서도 모시기 때문에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신격으로 남아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성중(聖中), 호는 지포(芝浦). 증조부는 한성부판관을 지낸 이의규(李宜揆), 할아버지는 호조좌랑 이보순(李普淳), 아버지는 형조판서 이숭호(李崇祜)이다. 이재학은 1770년(영조 46) 문과에 급제한 뒤 정자, 수찬을 거쳐 교리가 되었다. 1776년 시독관(侍讀官)으로 있으면서 신분 질서의 문란함을 지적하며 명분을 바르게 하고 기강을...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성중(誠仲). 할아버지는 예조참판을 지낸 박유(朴瑜)이고, 아버지는 찰방을 역임한 박여헌(朴黎獻)이다. 어머니는 한림감정(翰林監正) 한산이씨 이희백(李希伯)의 딸이다. 박효생(朴孝生)[1556~?]은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서 태어났다. 봉사로 일하다가 1595년(선조 2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지제교와 사헌부장...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성지(成之). 아버지는 성주목사 이사필(李士弼),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부사직을 지낸 권계(權啓)의 딸, 처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슬하에 이상홍(李尙弘), 이상의(李尙毅), 이상관(李尙寬), 이상신(李尙信), 이상근(李尙謹), 이상충(李尙忠), 이상달(李尙達) 등의 아들과 5녀를 두었다. 이우인은 15...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장로(章老), 호는 성지당(姓支堂). 단종대 충신인 백촌 김문기의 5세손으로, 증조부는 충신 김현석이고, 할아버지는 효자 김충주이다. 아버지는 효자 김경남(金慶男)이며, 어머니는 염광염씨이다. 김약전은 1523년(중종 18)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너빌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가 병이 나자 매일 종기를 빨아내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과 팔곡일동 일대에 걸쳐 있는 신라시대 석축 산성. 성태산성은 신라가 한강 하류까지 세력을 넓히던 6세기 중반에서 후반경에 축조되어 통일신라 때까지사용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안가의 주요 지점과 주요 교통로에 산성들이 주로 위치해 있는데, 경기도 안산 일대는 중국과의 무역을 위한 교통의 요지이자 고구려·백제·신라가 서로 인접하여 접전을 치른 곳으로 전략...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애국인, 예절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도덕인, 사고하고 탐구하여 미래를 이끌어갈 실력인, 건강한 신체와 건전한 정신을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진리, 창의, 자유’이다. 2005년 12월 26일 36학급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초대 이종영 교장이 취임하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성포공원은 성포동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하고자 1992년에 조성되었다. 전체 면적은 19,416㎡이다. 진입광장, 관리사, 화장실, 다목적운동장, 숲동산, 산책로가 갖춰져 있다. 성포공원은 공동주택지역과 인접하고 도심 속에 자리 잡고 있는 근린공원으로 곳곳에 조각 등 여러 조형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소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성포도서관은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고품질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제공하는 여건을 조성하여 정보 및 문화교육센터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시민의 정서를 함양하며 문화 수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4년 12월 7일 도서관 건물을 착공하여 1997년 1월 7일 안산시 관산도서관 성포분관으로 직제 승인을 받았다. 1997...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성포동(聲浦洞)은 어업의 전진 기지로 만선의 기쁨을 안고 돌아오는 어부들의 소리가 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군내면 성포리와 점성리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성포리가 되었다.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따라 안산시 성포동으로 개칭되었다. 1988년 10월 1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수령 210년의 보호수. 느티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를 맺으며 10월에 익는다. 잎은 계유(鷄油)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수령 130년의 보호수. 엄나무는 높이 30m, 가슴높이 둘레 1.8m에 달하는 두릅나무과의 낙엽 교목이다. 굵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크면서 편평한 가시가 달린다. 잎은 어긋나고 거의 둥글며 가장자리가 단풍잎처럼 5~9개로 갈라진다. 황록색 꽃이 7~8월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둥글며 10월에 검게 익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성포동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1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수호성인은 성요한 사도이다. 성포동성당은 그리스도의 정통 교리를 믿으며 이를 실천하고, 나아가 가톨릭교를 선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30일 월피동성당에서 분당되어 현 위치에 성전을 건축하여 봉헌 미사를 올린 후 본당 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서 지네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성포동의 지네당터」는 성포동의 노적봉 성황당과 관련된 동물설화로 두꺼비가 자신을 돌봐준 주인을 위해 목숨을 걸고 지네를 퇴치한다는 보은담이다. 1988년 경기도 안산시 성포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노희성[남, 54]으로부터 이한기가 채록하였는데, 이는 1990년 내고장안산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내고장 안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민주적 신념과 주체 의식이 강한 자주인, 열심히 배우고 스스로 탐구하는 실력인, 서로 믿고 도우며 봉사하는 협동인, 튼튼한 몸과 건전한 정신을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성포중학교는 1989년 12월 22일 33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1990년 3월 1일 초대 이중섭 교장이 취임하였다. 199...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고 꿈을 키우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밝은 생각, 맑은 마음, 높은 뜻’이다. 1990년 3월 1일 성포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2, 3학년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다. 초대 전동목 교장이 부임하였...
-
조선 후기 강준흠이 경기도 안산 지역에 있던 성호 이익의 옛 집을 지나며 지은 한시. 강준흠(姜浚欽)[1768~?]이 태어난 곳은 충청도 서천(舒川)에 있는 외가의 장원(庄園)이었으나, 성장한 곳은 시흥의 난곡(蘭谷)과 안산이었다. 이익(李瀷) 또한 평안북도 벽동군(碧潼郡)에서 태어났으나 안산 지역에서 주로 생활하였다. 강준흠은 안산 15학사 중 하나로 안산 지역과 관련한 많은 시...
-
조선 후기 안산에서 활동한 유생이자 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자신(子新), 호는 성호(星湖). 아버지는 이하진(李夏鎭),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권대후(權大後)의 딸, 처는 고령신씨(高靈申氏) 신필청(申必淸)의 딸과 사천목씨(泗川睦氏) 목천건(睦天健)의 딸이다. 이익은 1681년(숙종 7) 10월 18일 아버지 이하진의 유배지인 평안북도 운산에서 태어났다. 168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성포동, 이동에 걸쳐 있는 도시근린공원. 성호공원은 부곡동, 성포동, 이동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하고자 1997년에 조성되었다. 전체 면적 507,625㎡로 소나무 등 29종의 다양한 수종과 자산홍 등 16종의 관목이 식재되어 있다. 넓은 공원 면적과 주차장을 갖추고 있으며, 축구장·롤러스케이트장·놀이터 등 누구나 즐길 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성호 이익 박물관. 이익(李瀷)[1681~1763]은 영조(英祖)[1694~1776] 때의 학자로 자는 자신(子新), 호는 성호(星湖)이다. 유형원(柳馨遠)[1622~1673]의 학풍을 이어받아 실학의 대가가 되었으며 특히 천문·지리·의학·율산(律算)·경사(經史)에 업적을 남겼다. 저서에 『성호사설(星湖僿說)』, 『성호선생문집(星湖先生文集)』이 있...
-
1990년 한국문인협회 안산지부에서 성호 이익의 학문적 뜻을 기리기 위해 제정한 문학상. 성호문학상은 한국문인협회 안산지부 회원들을 대상으로 매년 시상하는 문학상이다. ‘성호’라는 뜻은 실학의 대가인 성호 이익의 호를 따서 지었다. 1989년 한국문인협회 안산지부 결성 이후 문인 내부에서 회원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하고, 우수 작품에 대한 격려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제정되었다. 제정...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년 5월 성호 이익을 추모하기 위해 열리는 문화제. 성호문화제는 평생 동안 안산에 거주한 성호 이익(李瀷)의 정신과 학문의 업적을 기리고 아울러 안산 지역의 자랑스러운 문화 인물임을 널리 알려 시민들에게 자긍심과 애향심을 심어주고자 1996년 5월 안산시 승격 10주년을 기념하여 전통과 현대의 문화가 한데 어우러진 다양한 종합 문화행사로 개최되었다. 행사에서는...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년 5월 성호 이익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열리는 백일장. 성호백일장은 성호문화제 행사의 일환으로 초·중·고교생 및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글짓기대회이다. 1996년 5월 18일부터 23일까지 5일 동안 개최된 제1회 성호문화제에서 이익(李瀷)의 학덕을 기리고 애향심 고취와 청소년들의 문학적 소양을 향상시킬 것을 목적으로 제1회 성호백일장을 시작한 이래 매년 5월 개...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에서 활동한 이익의 문집. 경기도 안산 첨성리에서 성장한 이익(李瀷)[1681~1763]은 조선 후기 실학의 거두로 일생 동안 벼슬을 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성호사설(星湖僿說)』은 이익이 평소 독서를 통해 습득한 지식들을 가지고 83세로 생애를 마칠 때까지 논설로 정리 두었던 것을 제자와 후손이 정리한 것이다. 현전하는 저술의 규모는 30책이지만 저...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에서 활동한 이익의 시문집. 이익(李瀷)[1681~1763]이 죽은 지 11년 뒤인 1774년(영조 50) 조카 이병휴(李秉休) 등에 의해 필사본으로 초고 편집이 일단 70권 규모로 완성되었다. 1795년 채제공에 의해 목판본 간행을 추진한다는 통문까지 돌렸으나 간행되지는 못하였고, 이후 42년 뒤인 1827년에 안정복의 문인 황덕길(黃德吉)과 이익의 증손 이...
-
경기도 안산에서 활동한 성호 이익과 그 제자들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하는 학술 단체. 성호학회는 성호 이익(李瀷)[1681~1763]과 그 제자들의 학문과 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연구자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자 설립되었다. 2003년 12월 26일 성호학회 창립을 위한 준비 모임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가졌으며, 2004년 2월 9일 한국역사문화연구원에서 발기인 33명이 참여하여 모...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셔 놓은 제당. 성황당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서낭을 모셔 놓은 신당이다. ‘서낭당’, ‘서낭’이라고도 한다.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 놓은 돌무더기 형태로, 그 곁에는 보통 신목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이곳을 지날 때는 그 위에 돌 세 개를 얹고 세 번 절을 한 다음 침을 세 번 뱉으면 재수가 좋다는...
-
삼천리 마을이 속해 있는 건건동의 행정동은 반월동으로, 안산시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한 지역이다. 인천에서 수원으로 가는 국도 42호선을 타고 안산 외곽을 돌아 지나면 용담뿌리를 거쳐 반월동으로 가는 길을 만날 수 있다. 반월농업협동조합 건물 앞에서 옆으로 난 좁은 도로를 500m 정도 가다 보면 위로는 반월저수지로 가는 길, 오른쪽으로 삼천리마을로 들어가는 길을 표시한...
-
경기도 안산 지역에 오랜 기간 집단을 이루며 살아온 성씨. 안산 지역은 1970년대 후반부터 공업 단지를 조성하며 기존의 마을이 소멸되었다.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세거하는 가문은 그리 많지 않다. 조선시대 안산 지역에 사패지를 받아 오랫동안 세거한 성씨로는 진주유씨, 파평윤씨, 전주이씨, 해주오씨 등과, 순천김씨, 양주최씨, 남양홍씨, 김해김씨, 단성이씨 등이 집성촌을 이루고...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선명이 창설한 기독교계 신종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지상천국과 영계(靈界) 완성을 지향하는 종교로 통일교회 또는 통일교라고도 불린다. 문선명에 의해 1954년 5월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가 창립되고 1994년에는 한국에서 ‘세계평화가정연합회’가, 1996년에는 미국에서 ‘세계평화가정연합’이 각각 창설된 후인 1997년 기존의 ‘세계기독교통일신령...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주방용품 제조업체. PN풍년은 주방용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4년 5월 1일 세광알미늄공업사로 설립하여 1973년 세광알미늄공업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87년 반월사택 및 반월공장을 준공하고, 세광알미늄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같은 해 본사 및 공장을 반월공장으로 이전 완료하여 가동하였다. 2004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주기적·전승적·반복적·의례적으로 거행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행위.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세상 세상”으로 시작하는 아이 어르는 소리. 「세상 세상」은 노래의 주체가 성인이나 그 객체가 어린이인 동요이다. 이를 「아기 어르는 소리」라고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 시작하는 말이 세상세상, 달강달강, 들깡달깡, 들꿍들꿍, 알강달강 등 매우 다양하다. 1988년 6월 28일 안산시 본오동을 방문하여 주민 이인표[남, 63]로부터 채록하였는데, 이...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한 해의 첫 명절.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이라 하고, 설은 세수(歲首)·세초(歲初)·정초(正初)라고 한다. 새해의 첫날이니만큼 행동을 함부로 경망하게 하지 말자는 뜻에서 ‘삼가는 날’이라고도 한다. 우리 고유의 명절 중 가장 큰 명절이다. 설날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주기적·전승적·반복적·의례적으로 거행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행위.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주기적·전승적·반복적·의례적으로 거행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행위.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던 강관 제조업체인 세아제강의 제조 공장. 세아제강은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기술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종합철강회사로 포항, 군산, 안산 등에 공장을 두고 있다. 이 중 안산공장은 일반구조용, 기계구조용, 배관용, 압력배관용, 비닐하우스용 및 특수구조용 강관을 생산하는 강관 전문 공장이었으나 보다 효율적인 생산 체제를...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세이(洗耳), 호는 유항(柳巷). 아버지는 교리(校理) 유시행(柳時行),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이대화(李大禾)의 딸, 처는 진주강씨(晋州姜氏) 강홍적(姜弘勣)의 딸과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다. 유영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밑에서 교육을 받았는데 글재주가 비상하여 9세에 세인들의 칭송을 받을 만한 시...
-
경기도 안산시 반월구 신길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1991년 4월 25일 독일 이나(INA)베어링(주) 한국법인인 안산공장을 설립하였다. 2006년 1월 1일 FAG한화베어링(주)을 흡수·합병하면서 회사 이름을 셰플러안산유한회사로 변경하였다. 이후 합병하는 과정에서 규모가 컸던 한화베어링으로 본사가 이전되어 모든 조직과 업무가 통합되었다. 베어링뿐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의...
-
경기도 안산시 반월구 신길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1991년 4월 25일 독일 이나(INA)베어링(주) 한국법인인 안산공장을 설립하였다. 2006년 1월 1일 FAG한화베어링(주)을 흡수·합병하면서 회사 이름을 셰플러안산유한회사로 변경하였다. 이후 합병하는 과정에서 규모가 컸던 한화베어링으로 본사가 이전되어 모든 조직과 업무가 통합되었다. 베어링뿐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의...
-
경기도 안산시 반월구 신길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1991년 4월 25일 독일 이나(INA)베어링(주) 한국법인인 안산공장을 설립하였다. 2006년 1월 1일 FAG한화베어링(주)을 흡수·합병하면서 회사 이름을 셰플러안산유한회사로 변경하였다. 이후 합병하는 과정에서 규모가 컸던 한화베어링으로 본사가 이전되어 모든 조직과 업무가 통합되었다. 베어링뿐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의...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돗대기새우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몸길이는 약 7~8㎝이다. 좌우로 편평하며, 약간 붉은빛을 띠나 무색투명하다. 마르면 흰색으로 변한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가 실린 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1760년경의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백하(白蝦)라고 기록되어 있다. 1842~1843년 간행된 『경기지(京畿誌)』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의료 기관. 세화병원은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의료 서비스를 통하여 주민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경기도 안산 지역의 서민적·친화적이고 대중적인 의료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9년 11월 준공식을 가지고 2000년 7월 27일 6개 과로 개원하였다. 2004년 5월 건강증진센터를 개설하였고, 2006년 1월 사업...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특수 고압고무호스 제조업체. 1976년 1월 25일 동양상사로 설립되었다. 1982년 동양고압고무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반월공장을 준공하고, 1987년 (주)동양고압고무로 법인 전환하였다. 1989년 본사 및 제1공장을 완공하였다. 1990년 (주)천지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같은 해 12월 예산공장을 준공하였다. 2003년 (주)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특수 고압고무호스 제조업체. 1976년 1월 25일 동양상사로 설립되었다. 1982년 동양고압고무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반월공장을 준공하고, 1987년 (주)동양고압고무로 법인 전환하였다. 1989년 본사 및 제1공장을 완공하였다. 1990년 (주)천지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같은 해 12월 예산공장을 준공하였다. 2003년 (주)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특수 고압고무호스 제조업체. 1976년 1월 25일 동양상사로 설립되었다. 1982년 동양고압고무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반월공장을 준공하고, 1987년 (주)동양고압고무로 법인 전환하였다. 1989년 본사 및 제1공장을 완공하였다. 1990년 (주)천지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같은 해 12월 예산공장을 준공하였다. 2003년 (주)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특수 고압고무호스 제조업체. 1976년 1월 25일 동양상사로 설립되었다. 1982년 동양고압고무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반월공장을 준공하고, 1987년 (주)동양고압고무로 법인 전환하였다. 1989년 본사 및 제1공장을 완공하였다. 1990년 (주)천지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같은 해 12월 예산공장을 준공하였다. 2003년 (주)센...
-
경기도 안산시 반월구 신길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1991년 4월 25일 독일 이나(INA)베어링(주) 한국법인인 안산공장을 설립하였다. 2006년 1월 1일 FAG한화베어링(주)을 흡수·합병하면서 회사 이름을 셰플러안산유한회사로 변경하였다. 이후 합병하는 과정에서 규모가 컸던 한화베어링으로 본사가 이전되어 모든 조직과 업무가 통합되었다. 베어링뿐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의...
-
경기도 안산시 반월구 신길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1991년 4월 25일 독일 이나(INA)베어링(주) 한국법인인 안산공장을 설립하였다. 2006년 1월 1일 FAG한화베어링(주)을 흡수·합병하면서 회사 이름을 셰플러안산유한회사로 변경하였다. 이후 합병하는 과정에서 규모가 컸던 한화베어링으로 본사가 이전되어 모든 조직과 업무가 통합되었다. 베어링뿐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의...
-
경기도 안산시 반월구 신길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1991년 4월 25일 독일 이나(INA)베어링(주) 한국법인인 안산공장을 설립하였다. 2006년 1월 1일 FAG한화베어링(주)을 흡수·합병하면서 회사 이름을 셰플러안산유한회사로 변경하였다. 이후 합병하는 과정에서 규모가 컸던 한화베어링으로 본사가 이전되어 모든 조직과 업무가 통합되었다. 베어링뿐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여온(汝溫), 호는 소곡(巢谷). 아버지는 군수 한배후(韓配厚)이며 한배연(韓配淵)에게 입양되었다. 한사직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으며 이재(李縡)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21년(경종 1)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하다가 벼슬길로 나아가 1740년(영조 16) 정선군수, 의금부도사, 정랑 등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서 소금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소금등거리 소금장수」는 날씨를 예견하는 능력을 지닌 소금장수가 호랑이에게 은혜를 베풀고, 그 보은의 대가로 천자의 병을 고쳐 부귀영화를 누렸다는 보은담이다. 1989년 5월 29일 경기도 안산시 사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박영태[남, 89]로부터 최내옥·김용덕 등이 채록하였는데, 이는 1989년 한양대학...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소라과에 속하는 조개. 방추형인 껍데기는 높이 10㎝, 지름 8㎝ 정도이다. 껍데기는 두껍고 견고하다. 나탑(螺塔)[체층 위에 있는 층 전체]은 원뿔 모양이고, 나층(螺層)[나선 모양으로 감겨져 있는 한 층]은 7층이며 각 층은 부풀어 있다. 체층(體層)[껍데기 주둥이에서 한 바퀴 돌아왔을 때의 가장 큰 한 층]에는 5줄 내외의 굵고 낮은 나륵(螺肋)...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조선 전기 현덕왕후의 능 터. 현덕왕후는 1441년(세종 23) 7월 단종(端宗)[1441~1457]을 낳은 다음 날 세상을 떠나 안산에 안장되었다. 이후 문종(文宗)[1414~1452]이 왕위에 오른 후 현덕왕후로 추봉하고, 능을 소릉(昭陵)이라 칭하였다. 세조(世祖)[1417~1468]가 왕위를 찬탈한 뒤, 결국 조카인 단종을 죽이자 현덕왕후...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소릉(少陵)·오호(五湖)·서산(西山)·파릉(巴陵).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형은 응교 이상홍(李尙弘)이며, 동생은 예조참판을 지낸 이상신(李尙信)이고, 아들은 이지안(李志安)이다....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정조(庭藻), 호는 정헌(貞軒)·금옹(錦翁)·금대관(錦帶館)·소릉(少陵). 아버지는 이용휴(李用休), 어머니는 진주유씨(晋州柳氏)로 유헌장(柳憲章)의 딸, 처는 해주정씨(海州鄭氏)로 정운유(鄭運維)의 딸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 성호 이익(李瀷)의 종손(從孫)이며, 우리나라 사람으로 최초의 천주교 영세교인인 이승훈(李...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조선 전기 현덕왕후의 능 터. 현덕왕후는 1441년(세종 23) 7월 단종(端宗)[1441~1457]을 낳은 다음 날 세상을 떠나 안산에 안장되었다. 이후 문종(文宗)[1414~1452]이 왕위에 오른 후 현덕왕후로 추봉하고, 능을 소릉(昭陵)이라 칭하였다. 세조(世祖)[1417~1468]가 왕위를 찬탈한 뒤, 결국 조카인 단종을 죽이자 현덕왕후...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속하였던 섬. 소홀도(召忽島)는 현재의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속한 자월도(紫月島)를 말한다. 자월도는 면적 7.06㎢, 해안선 길이 20.4㎞, 최고점 178m인 섬으로 약 170가구에 45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인천항에서 남서쪽으로 32㎞ 해상에 위치하며, 안산시 대부도 방아머리 선착장에서 뱃길로 한 시간 남짓의 거리이다. 주변에 승봉도(...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유생.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자목(子木), 호는 목재(木齋)·소미(少眉). 아버지는 이광휴(李廣休), 어머니는 해주정씨(海州鄭氏)로 정덕녕(鄭德寧)의 딸이다. 양부는 이병휴(李秉休), 양모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달(許達)의 딸이다. 성호(星湖) 이익(李瀷)은 종조(從祖)가 된다. 이삼환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40년(영조 16) 종...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시민 단체. 소비자시민모임 안산지부는 경기도 안산 지역 사회에 국제적인 시각과 전문성을 갖춘 소비자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1992년 9월 29일 설립되었다. 소비자시민모임 안산지부에서는 구체적인 활동을 통하여 안산시민들의 소비자 의식을 고취시켜 나아가고 있으며, 소비자 주권의 실현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안산 지역의 소비자 권리 향상...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시민 단체. 소비자시민모임 안산지부는 경기도 안산 지역 사회에 국제적인 시각과 전문성을 갖춘 소비자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1992년 9월 29일 설립되었다. 소비자시민모임 안산지부에서는 구체적인 활동을 통하여 안산시민들의 소비자 의식을 고취시켜 나아가고 있으며, 소비자 주권의 실현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안산 지역의 소비자 권리 향상...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청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10~15㎝이며, 긴 타원 모양으로 납작하다. 등은 청록색, 배는 은백색,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어두운 색을 띤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으로 돌출되었으며, 배의 중앙정에는 29~32개의 날카로운 비늘이 발달되어 있다. 밴댕이는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가 실린 가장 오래된 문헌인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
-
조선 전기 문신이자 서예가.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언심(彦深), 호는 소재(少齋)·심재(心齋). 아버지는 강이행(姜利行),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손(許蓀)의 딸이다. 강징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영특하여 외삼촌인 우의정 허종(許琮)의 가르침을 받았다. 1486년(성종 17)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4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를 거쳐 예문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문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 낙지는 두족강 문어목 문어과에 속하며, 한자어로는 낙제(絡蹄)·석거(石距)·소팔초어(小八梢魚)·장거(章擧)·장어(章魚)·초어(梢魚)라고도 한다. 서식 해역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많으며 , 부화 시기 및 환경에 따라서 크기도 다양하다. 주로 식용하는데, 낙지백숙·낙지볶음·낙지어채·낙지적·낙지젓을 만들거나 낙지회로 요리하...
-
현대의 시인이자 수필가·언론인. 본관은 전의(全義), 필명은 이오류(李午柳), 호는 소향(素鄕)이다. 이근영(李根泳)의 4남으로 1916년 경기도 부천군 계남면 궁리[지금의 서울시 구로구 궁동]에서 출생하였다. 1973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 남현교회 묘지에 있다. 1976년에 친우들이 뜻을 모아 이상로의 대표 작품인 시 「밤이 새면」을 새긴 시비(詩碑)를 세웠...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속하였던 섬. 소홀도(召忽島)는 현재의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속한 자월도(紫月島)를 말한다. 자월도는 면적 7.06㎢, 해안선 길이 20.4㎞, 최고점 178m인 섬으로 약 170가구에 45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인천항에서 남서쪽으로 32㎞ 해상에 위치하며, 안산시 대부도 방아머리 선착장에서 뱃길로 한 시간 남짓의 거리이다. 주변에 승봉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에 소나무가 울창하여 솔이웃이라 하였다. 한편으로는 마을 포구에 조깃배가 많이 들어왔고 조기가 많이 잡힌다 하여 조기나루, 또는 조구나리라고도 하였다. 송호(松湖)라는 이름도 있고, 1980년 취락 구조를 개선한 마을이라 하여 일명 ‘취락마을’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솔이웃은 성포동 성머리나루와 함께 어업의 전진 기지 구실을 하였으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고목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송골매 우는 고목」은 수암동의 안산 관아 터[동헌 터] 고목에 얽힌 송골매의 울음소리로 인하여 범인을 잡았다는 신이담(神異談)이자 남편의 살인을 고발하는 악행담이다. 1989년 5월 16일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당시 시흥군 수암면 수암리]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김한욱[남, 80]으로부터 최내옥·김용...
-
경기도 안산 출신의 기업인.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송보(松甫)이다. 1920년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이석돈(李奭敦)이며, 어머니는 강춘선(姜春先)이다. 1982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림동 산22 가족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이정익은 1932년 안산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37년 선린상업학교 졸업 후 1946년 부평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경도(景道), 호는 송석(松石). 증조부는 김종정(金鍾正), 할아버지는 김명연(金命淵), 아버지는 김동헌(金東獻)이다. 김학성은 1828년(순조 28)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1833년 대교(待敎)가 되었다. 1841년(헌종 7) 성균관대사성을 거쳐 이듬해 홍문관부제학, 이조참의, 이조참판을 지냈다. 1...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이자 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사숙(思叔), 호는 송암(松巖, 松庵). 증조부는 윤승유(尹承柳), 할아버지는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 아버지는 윤지함(尹之諴)이다. 윤엄은 1564년(명종 19) 진사시에 합격하고, 1572년(선조 5)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정자와 승문원저작을 거쳐 봉상시직장이 되고, 호조좌랑을 거쳐 장수현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에 소나무가 울창하여 솔이웃이라 하였다. 한편으로는 마을 포구에 조깃배가 많이 들어왔고 조기가 많이 잡힌다 하여 조기나루, 또는 조구나리라고도 하였다. 송호(松湖)라는 이름도 있고, 1980년 취락 구조를 개선한 마을이라 하여 일명 ‘취락마을’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솔이웃은 성포동 성머리나루와 함께 어업의 전진 기지 구실을 하였으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사람을 사랑하고 예절 바른 사람, 이상을 실현하는 실력 있는 사람, 긍지와 자부심을 지닌 글로벌 인재, 소질과 적성 분야에서 미래를 주도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건실, 근면, 창의’이다. 2003년 1월 13일 36학급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초대 원유현 교장이 부임하였다. 2005년 10월 31일 어학실을 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서 조기나루와 청룡두, 청룡미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9년 5월 16일 경기도 안산시 사동에서 최내옥, 김용덕, 강경화, 이정임, 송현정이 채록하여 1989년 한국학연구소에서 발간한 『한국학논집』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한강[남, 당시 55세]이었다. 이후 1999년 이정태가 재정리하여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안산시사』에 전재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친절하고 예절바르며 질서를 생활화하는 도덕적인 사람, 스스로 탐구하고 타고난 소질을 연마하는 창의적인 사람, 일을 슬기롭게 해결하고 열심히 공부하는 실력 있는 사람, 스스로 결정하고 실천하며 자기 행동에 책임질 줄 아는 사람, 튼튼한 체력과 건전한 가치관을 겸비한 심신이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인성이 바르고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소질을 기르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여 새로움을 찾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아껴 쓰고 환경을 보호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고운 마음을 갖고 바른 행동을 하는 송호어린이’이다. 2000년 5월 15일 6학급으로 개교하였고 초대 신인철...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과 단원구 원곡동을 연결하는 전철. 안산선은 경기도 군포시의 금정역과 시흥시의 오이도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군포시와 안산시, 시흥시의 주요 지역을 관통한다. 2000년 이후로 일반 안내에는 ‘안산선’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으며, 수도권 전철 4호선[일반적으로 서울 지하철 4호선이라고 한다.]의 일부로서 안내된다. 그러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수도권 대기 환경 관리 및 조사·분석 기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수도권의 대기 환경 관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집행하고, 자동차 산업 및 대기 배출량 등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여 환경 개선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설립되었다. 2002년 4월 수도권 대기질 개선 추진 기획단이 발족하였고, 같은 해 7월 수도권 대기질 개선 특별 대책[...
-
6·25전쟁 당시 수리산을 비롯한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부곡동과 서해 연안에서 벌어진 전투. 전투를 주로 담당하였던 터키군은 1월 29일 성포리를 점령하였고, 1월 30일 터키군 포병대와 미 포병대는 화정리의 마하산 지역을 공격하였다. 뒤이어 수일간의 공방전 끝에 유엔군은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이어 유엔군은 서울을 재탈환하였으며, 수리산전투의 전쟁터였던 안산 지역에서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히드로충류와 해파리류와 유즐동물의 총칭. 해파리는 수모(水母), 해차, 저포어(樗蒲魚), 석경(石鏡), 해타(海鮀)라고도 한다. 해파리강은 십자해파리·입방해파리·관해파리·기구해파리·근구해파리의 5목으로 나누어지며, 세계에 현서종 약 200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해역에 흔한 종은 물해파리이다. 주로 해파리냉채 요리를 해서 먹는다. 몸은 보통 우산...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수보(受甫). 증조부는 공조참의 윤민헌(尹民獻),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윤강(尹絳), 아버지는 윤지인(尹趾仁), 어머니는 이정영(李正英)의 딸이다. 윤용은 1714년(숙종 40) 생원시와 진사시에 동시에 합격하고, 1722년(경종 2) 참봉으로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후 여러 관직을 거쳐 함경감사로 재직 중이던 1743년 정...
-
풍도에서는 다양한 석질의 돌이 난다. 검은 오석(烏石) 계열 강질의 돌이 있는가 하면, 흰색 석영도 있고, 색감이 뛰어난 돌도 있다. 또 형태도 다양해서 모양이 좋은 경석류가 있는가 하면, 물에 잘 연마된 구형의 돌도 있다. 돌밭은 선착장에서 왼쪽으로 돌아가면 나타나는데, 작은 섬에 비해 돌밭이 차지하는 면적은 비교적 넓은 편이다. 섬이 작고 해수욕을 즐길 만한 시설이...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는 어떤 사물에 대하여 바로 말하지 않고 빗대어서 말하여 그 사물의 뜻이나 이름을 맞히는 전통놀이이다. 수수께끼는 주로 은유를 써서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 표현으로써 질문에 대해서 재치 있는 대답을 요구하는 말장난을 이용한 퀴즈이다. 다만 보통 퀴즈와는 달리 정답이 사실에 근거한 것보다는, 말의 의미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속하는 법정동. 조선시대에 안산군 군내면 수암리와 서정리(西亭里)였다가 1914년 시흥군 수암면 수암리가 되었다. 1989년 시흥시 수암동이 되었고, 1995년 안산시 수암동이 되어 행정동인 안산동 관할이 되었다. 2002년 구제 실시에 따라 상록구 수암동이 되었다. 북동쪽으로 수리산(修理山) 수암봉이 솟아 있어 자연 경관이 빼어나고, 그 지맥이 남쪽으로 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수령 470년의 보호수. 느티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를 맺으며 10월에 익는다. 잎은 계유(鷄油)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수령 470년의 보호수. 느티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를 맺으며 10월에 익는다. 잎은 계유(鷄油)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조선시대 관찰사와 군수의 선정비군. 수암동 관아 터의 복원된 객사로부터 취암 방향으로 100여 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수암동 선정비군은 화강암으로 된 선정비로, 관찰사 박종기 영세불망비 1기와 군수 선정비 3기 등 총 4기가 있다. 군수 선정비는 각각 임세량·김철순·이겸진 군수의 것이다. 선정비는 해당 지역의 관리로 부임한 자 중에 공덕...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수령 620년의 보호수. 은행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암수딴그루이다. 학명 가운데 종명 ‘biloba’는 두 갈래로 갈라진 잎을 뜻한다. 은행나무의 수꽃가루는 유일하게 편모를 달고 있어서 스스로 몸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를 정충이라고 부른다. 열매가 살구[肉杏]와 비슷하고 은빛이 난다 하여 은행(銀杏)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문헌에 따르면 방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수령 520년의 보호수. 회화나무는 최고의 길상목(吉祥木)으로 손꼽히는 나무이다. 회화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가문이 번창하고 큰 인물이 난다는 속설이 있다. 또한 회화나무에는 좋은 기운이 모여든다고 하여 매우 귀하게 여겨 서원이나 궁궐에 심었고, 공이 많은 학자나 관리에게 임금이 상으로 내리기도 하였다고 한다. 작은 가지를 자르면 냄새가 나며, 염...
-
1914년부터 1985년까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수암이란 명칭은 수암봉(秀岩峯)에서 유래하였다. 수암봉은 산의 모양이 독수리와 같다고 하여 독수리봉[鷲岩]이라 하였는데, 조선 말기에 산봉우리가 수려하다 하여 수암봉이 되었다. 삼국시대 이래 1400여 년간 시흥[금천], 안산, 과천은 3개 군으로 나뉘어 내려오다가, 1914년 총독부령 제111호에 의거하여 부·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과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에 걸쳐 있는 산. 본래의 산명은 독수리와 같다고 하여 독수리봉[鷲岩]이라 불렀는데, 조선 말엽에 이르러 산봉이 수려하므로 수암봉(秀岩峯)이라 칭하였다. 수암봉은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산지로, 마산, 칠보산, 광덕산, 나봉산, 노적봉 등의 저산성 산지가 수암봉을 근원으로 뻗어나갔다. 이로 인해 안산시는 전체적으로 수암봉에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수암봉의 옛 이름. 봉우리의 생긴 모습이 독수리 머리 모양과 같다고 하여 독수리 ‘취(鷲)’자를 써 취암이라 하였다. 취암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보이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誌)』 산천조에는 “(안산의) 진산은 취암(鷲岩)이다. 군(郡) 동쪽에 있으니, 동쪽은 과천(果川), 북쪽은 금천(衿川), 남쪽은 광주(廣州)의 경계가 된다. 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수암봉 장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8년 7월 4일 경기도 안산시 수암동[당시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 수암리]에서 이봉철[남, 72]이 구연한 것을 최내옥·김용덕·유태용이 채록하여 1989년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 출간한 『한국학논집』에 수록하였다. 이후 이정태가 다시 정리하여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안산시사』 중...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조선시대 수암사의 절터. 수리산(修理山)의 산봉우리가 수암봉(修岩峯)으로 개칭되었는데, 이때 당시의 정수암을 수암사라 고쳐 부른 것이라 추측된다.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 사찰조에 정수암이 읍치 뒤 수리산에 있었는데, 이미 폐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정수암이 수암사의 전신인 것으로 추측된다.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수암봉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조선시대 수암사의 절터. 수리산(修理山)의 산봉우리가 수암봉(修岩峯)으로 개칭되었는데, 이때 당시의 정수암을 수암사라 고쳐 부른 것이라 추측된다.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 사찰조에 정수암이 읍치 뒤 수리산에 있었는데, 이미 폐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정수암이 수암사의 전신인 것으로 추측된다.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수암봉을...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던 5일장. 지금의 수암동 지역은 조선시대 안산군 관아가 있던 곳으로 군의 중심지로서 시장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에는 마을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왔으며, 포구가 있어 시장이 형성되었다 한다. 해안 간석지가 개발되면서 포구가 폐쇄되고 읍내에 새로운 장이 형성되었으나 활성화되지는 못하였다. 일제강점기 초기에 조사된 『조선지지자료(朝鮮...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저수지. 수암저수지는 1962년 홍수 예방 및 농업용수 공급 등의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이후 정기적인 개수·보수 및 안전 점검 진단을 실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수암저수지의 인가 면적은 22㏊이고, 수혜 면적은 8㏊이다. 한발 빈도는 3년이며, 홍수 면적은 1㏊이다. 수암저수지는 경기도 안산시 수암 지역에 건립된 저수지로서 안산천과 합류하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숭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약 80㎝이다. 몸은 긴 방추형으로 머리 앞쪽은 위아래로 납작한 형태이고, 주둥이는 짧고 끝이 둥글다. 위턱은 아래턱보다 약간 길며, 양 턱에는 가느다란 솜털 모양의 이빨이 1줄로 나 있다. 눈은 크고 투명한 지방질이 잘 발달되어 눈 전체를 덮고 있는 기름눈까풀이 발달하는 점이 가숭어와 다르다. 꼬리지느러미 안쪽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수옹(粹翁). 아버지는 병조판서 이계손(李繼孫)이고, 어머니는 연일정씨(延日鄭氏)이다. 이지시는 1498년(연산군 3) 음직으로 군기시별좌(軍器寺別坐)에 임명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종부시주부를 역임하였고, 1504년(연산군 10) 제천현감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다가 신도시 건설로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영...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 수원보호관찰소의 지소. 보호관찰제도는 재범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관찰, 사회봉사·수강 및 갱생보호 등 체계적인 처우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범죄자에 대하여 지도·원호를 함으로써 건전한 사회복귀를 촉진하고, 효율적인 범죄예방을 전개하여 개인 및 공공의 복지를 증진하고 사회를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보호관찰소는 보호관찰제도의 실행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1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 수원지방검찰청의 지청.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은 2002년 9월 2일 개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에서는 범죄 사건의 수사 및 공소 제기, 범죄 수사에 관한 사법경찰 관리의 지휘 및 감독, 형의 집행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6년 현재 관할 행정 구역은 경기도 안산시, 광명시, 시흥시이며 관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수원지방법원의 지원.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은 시민에 대한 법률서비스의 확대 및 편의 도모를 위한 법률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5년 9월 1일 수원지방법원 안산시법원으로 개원하였다. 2002년 9월 1일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으로 다시 개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로 소액심판, 즉결심판 등의 재판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매주 화요...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몽석(夢錫), 호는 수은(睡隱). 증조할아버지는 병조판서를 지낸 이계손(李繼孫)이고, 아버지는 이공려(李公礪)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종실인 청연수(淸淵守) 이숙의(李叔義)의 딸이다. 이사필(李士弼)[1503~1556]은 1525년(중종 20) 생원이 되었고, 1538년(중종 33) 문과에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승정원주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과 수암동을 연결하는 도로. 수인산업도로는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경인선 인천역에서 시작해서 경기도 수원시까지 연결되는 전체 길이 49.7㎞의 도로로 국도 42호선의 일부이다. 수인산업도로의 주요 경유지는 인천중부경찰서, 수인사거리, 용현사거리, 용일사거리, 신기사거리, 승기사거리, 예술회관역, 길병원사거리, 남동구청, 인천대공원, 신천사거리, 은행사거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과 단원구 원곡동을 연결하는 철도. 수인선(水仁線)은 원래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의 수원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의 인천역을 잇던 철도 노선으로, 1973년 이후 노선이 계속 축소되어 2009년 현재 영업거리표 상에서는 수원역에서 한대앞역까지의 구간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2009년 현재 다시 인천역까지 복선전철화 공사가 진행 중으로 2015년에 재개통할 예정이...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 조기는 흔히 참조기, 보구치, 수조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1.5㎝가량의 것은 물강다리, 9㎝가량의 것은 강다리, 15㎝가량의 것은 세레니, 15㎝ 이상의 것은 조기 등 크기에 따라 다르게 부른다. 또한 소금에 절여서 말린 것을 굴비라고 한다. 석수어(石首魚), 참조기, 보구치, 수조기, 석두어(石頭魚), 강어, 황...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중가(仲嘉), 호는 수촌(水村)·성산(星山). 아버지는 유격(柳格),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희천(李希天)의 딸이다. 유시회는 1589년(선조 22)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00년 용천군수를 역임하였으며 이후 호조정랑, 회양부사, 중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612년(광해군 4) 평산부사를 지냈으며, 1620년에는 선산부사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숙린(叔麟), 호는 동산(東山). 증조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할아버지는 공조참의 윤민헌(尹民獻), 아버지는 이조판서 윤강(尹絳), 어머니는 지돈녕부사 정광성(鄭廣成)의 딸이다. 형은 좌의정 윤지선(尹趾善)이다. 윤지완은 1657년(효종 8) 통덕랑으로서 생원시에 합격하고,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
조선 후기 강세황이 경기도 안산에 있는 안원사에서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강세황은 시와 글씨, 그림에 뛰어났지만 최성대(崔成大)는 그를 평하기를 글씨보다 시가 훨씬 낫다고 하였으며, 이광려(李匡呂)[1720~1783]는 그를 ‘시인의 정수’라고 극찬하고, 그의 시상(詩想)과 시어(詩語)는 매우 담백하고 고상하며, 속된 말을 절대 쓰지 않았다고 하였다. 「안원사에서 자고 대설을 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숙함(叔涵), 호는 난고(蘭皐). 할아버지는 판서 장운익(張雲翼)이고, 아버지는 평안도관찰사 장신(張紳)이다. 백부는 계곡(谿谷) 장유(張維)이다. 장선충은 정치에 뜻이 없어 처음부터 백부 장유에게서 수학하였다. 음직으로 관직에 진출하였다가 1682년(숙종 8) 박세채(朴世采), 민정중(閔鼎重) 등의 천거로 호조참의에 제수되었으나 사직...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노경(魯卿), 호는 관백헌(觀白軒). 할아버지는 한성부판윤을 지낸 이숭호(李崇祜)이고, 아버지는 형조판서를 역임한 이재학(李在學)이며, 어머니는 정동현(鄭東鉉)의 딸이다. 이규현(李奎鉉)[1777~1844]은 1812년(순조 12) 제주도에서 귤이 올라온 것을 기념하여 시행한 감제(柑製)에서 수석을 차지하였고, 이듬해 증광문...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侍仲)을 지낸 김은부(金殷傅)이고, 어머니는 인천이씨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된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동생은 현종의 네 번째 비인 원혜왕후와 일곱 번째 비인 원평왕후이다. 현종과 사이에 덕종(德宗)과 정종(靖宗)·인평왕후(仁平王后)·경숙공주(景肅公主)를 두었다. 원성왕후(元成王后)[?~1028]는 지금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순수(醇叟), 호는 두산(杜山). 아버지는 실학자 이익(李瀷)이고, 어머니는 사천목씨로 진사 목천건(睦天建)의 딸이다.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맹휴(李孟休)[1713~1751]는 용모가 빼어나고 말소리가 우렁찼으며, 한 번 보면 모르는 것이 없어 다섯 살 때 육십갑자와 구귀법(九歸法)을 모두 외었다고 한다. 관직에 오를 때까지...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 아버지는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낸 안극(安極),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익령(李益齡)의 딸, 처는 창녕성씨(昌寧成氏)로 성순(成純)의 딸이다. 안정복은 1712년(숙종 38) 12월 25일 충청도 제천에서 출생하였다....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 안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순약(舜若)이다. 민철호(閔哲鎬)의 아들인 민규호(閔奎鎬)에게 입양되었다. 1852년(철종 3) 출생하여 1917년 사망하였는데,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목내동 능안에서 거주하였다. 여흥민씨 세력의 핵심 인물로,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을 거쳐 일제강점기까지 한일병탄에 기여하는 등 친일파로 활동했다. 민영소는 18...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순일(醇一), 호는 산초(山樵). 증조할아버지는 정육(鄭稑)이고, 할아버지는 정성흠(鄭星欽)이다. 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역임한 정홍경(鄭鴻慶)이며, 어머니는 황필(黃泌)의 딸이다. 정덕화(鄭德和)[1789~?]는 1814년(순조 14) 진사시, 181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강화부사 등 여러 관직을 거치고 호조참판에 이르렀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관옥(冠玉), 호는 북저(北渚). 아버지는 김여물(金汝岉), 어머니는 함양박씨(咸陽朴氏)로 박강수(朴岡壽)의 딸, 처는 진주유씨(晋州柳氏)로 유근(柳根)의 딸이다. 김류는 7~8세에 글자를 익히고 기골이 비범하였는데 어른이 연구(聯句)를 지으라고 하자 곧 ‘군사 소리가 천지를 움직인다[軍聲動天地]’라고 짓자 원대한 그릇이 될 것을 예견...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선응(善應). 할아버지는 김여물(金汝岉), 아버지는 영의정 김류(金瑬), 어머니는 진주유씨(晋州柳氏)로 유근(柳根)의 딸, 처는 고령박씨(高靈朴氏)로 박효성(朴孝誠)의 딸이다. 김경징은 1621년(광해군 13)에 치러진 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파방(罷榜)되었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때 세운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숭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약 80㎝이다. 몸은 긴 방추형으로 머리 앞쪽은 위아래로 납작한 형태이고, 주둥이는 짧고 끝이 둥글다. 위턱은 아래턱보다 약간 길며, 양 턱에는 가느다란 솜털 모양의 이빨이 1줄로 나 있다. 눈은 크고 투명한 지방질이 잘 발달되어 눈 전체를 덮고 있는 기름눈까풀이 발달하는 점이 가숭어와 다르다. 꼬리지느러미 안쪽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섬. 탄도(炭島)는 과거 무인도일 때, 수목이 울창하여 그 나무를 베어 숯을 굽던 곳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지금도 숯무루라고 불리고 있다. 탄도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남양도호부(南陽都護府) 편을 보면, 이곳을 탄모도(炭毛島)라고 기록하였고, 1864년 간행된 『대동지지(大東地志)』에도 역시 탄모도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엘리베이터 제조업체. (주)쉰들러엘리베이터는 세계적인 엘리베이터 제조업체로서, 엘리베이터 탑승 전에 로비에서 이용자가 탑승할 엘리베이터를 지정해 주는 ‘마이코닉 10시스템’은 이미 10여 년 전에 개발·완료하여 현재 전 세계 2,000여 곳에 설치되어 있다. (주)쉰들러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무빙 워크를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엘리베이터 제조업체. (주)쉰들러엘리베이터는 세계적인 엘리베이터 제조업체로서, 엘리베이터 탑승 전에 로비에서 이용자가 탑승할 엘리베이터를 지정해 주는 ‘마이코닉 10시스템’은 이미 10여 년 전에 개발·완료하여 현재 전 세계 2,000여 곳에 설치되어 있다. (주)쉰들러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무빙 워크를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깊이 생각하는 어린이, 즐겁게 생활하는 자주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기본이 바로선 슬기어린이’이다. 2002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014년 9월 1일 제5대 정종훈 교장이 취임하였고, 2016년 2월 5일 제14회 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카본브러쉬·팬타그라프 제조업체. 슝크카본테크놀로지는 카본브러쉬·카본베어링·브러시홀더·그라파이트 관련 제품 및 팬타그라프용 주습판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9월 25일 성남에서 승림물산(주)로 설립되었다. 1982년 6월 반월공업단지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89년 9월 승림카본금속(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0년 6월 부천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카본브러쉬·팬타그라프 제조업체. 슝크카본테크놀로지는 카본브러쉬·카본베어링·브러시홀더·그라파이트 관련 제품 및 팬타그라프용 주습판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9월 25일 성남에서 승림물산(주)로 설립되었다. 1982년 6월 반월공업단지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1989년 9월 승림카본금속(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0년 6월 부천공...
-
개항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초명은 윤승수(承洙)이고, 자는 정여(正汝)이며, 호는 동계(東溪)이다. 할아버지는 윤완(尹琬)이고, 아버지는 윤종응(尹鍾應)이다. 어머니는 군수를 지낸 박진수(朴晋壽)의 딸이다. 묘소는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었으나, 신도시 건설로 인하여 화장되었다. 윤승필(尹承弼)[1857~1928]은 1882년(고종 19) 증광문과에 병과...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관옥(冠玉), 호는 북저(北渚). 아버지는 김여물(金汝岉), 어머니는 함양박씨(咸陽朴氏)로 박강수(朴岡壽)의 딸, 처는 진주유씨(晋州柳氏)로 유근(柳根)의 딸이다. 김류는 7~8세에 글자를 익히고 기골이 비범하였는데 어른이 연구(聯句)를 지으라고 하자 곧 ‘군사 소리가 천지를 움직인다[軍聲動天地]’라고 짓자 원대한 그릇이 될 것을 예견...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안산을 소재로 한 현대시. 안산시는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군자면, 화성군 반월면의 일부가 편입되면서 신도시로 조성되었다. 인근의 시흥시, 군포시, 안양시의 접경 지역이 겹쳐지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전형적인 농촌마을에서 신도시로 개발되면서 외부 유입 문인이 늘어나 안산을 소재로 한 시(詩)는 많지 않은 편이다. 그 중에서 이정태, 최세균, 이정소 등 세 명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마음껏 뛰놀 수 있는 학교[건강인], 자긍심을 갖는 학생[자주인], 꿈을 갖는 학생[창의인], 이웃을 사랑하는 학생[도덕인], 함께 살아가는 학생[협동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시곡중학교는 1994년 2월 28일 15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초대 한우명 교장이 취임하였다. 1994년 3월 2일 15학급...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며 기본 생활 습관이 바른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며 창의력과 특기를 지닌 어린이, 과학적 탐구 능력과 외국어 능력을 갖춘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인내심이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기본이 된 사람을 바탕으로 창의력과 특기를 지닌 능력 있는 인간’이다. 1994년 6월 1일 시곡국민학교로...
-
안산시로 들어오는 수도권 전철 안산선에서 전원 풍경이 가장 살아 있는 역이 반월역이다. 반월역은 사람들의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고즈넉한 간이역과 같은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오이도[안산]행 전철을 타고 반월역을 지나다 보면 지하철 안산선에서 가장 긴 안산터널을 지나게 된다. 그리고 터널을 지날 즈음 열차는 고즈넉한 농촌의 풍경을 보여준다. 4계절의 변화가 차...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던 자연마을. 예로부터 모내기 철만 되면 비가 와 연년세세 풍년이 든다고 하여 시꿀[時雨洞]이라 하였다고 한다. 시꿀 서북쪽은 웃말, 동북쪽은 서런말, 동쪽은 우덕골, 동남쪽은 사탯말, 서남쪽은 논말, 북쪽은 양지촌이라 불렀다. 범직이 동쪽에 있던 시꿀은 조선시대에 안산군(安山郡) 와리면(瓦里面) 시우리(時雨里) 지역이었다. 남양홍씨·밀양박씨·청주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시낭공원은 1992년 안산시 부곡동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56,545㎡이며, 중심광장·산책로·숲동산·배드민턴장·주차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윗몸 일으키기 기구·몸통 돌리기 기구 등의 간단한 체육 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며, 시민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파고라와 음수대 등...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시낭운동장은 본래 1989년 국제 규정에 맞게 천여 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건립된 대규모 양궁경기장이었다. 그러나 양궁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경기장의 쓰임 또한 줄어들자 안산시에서 상록구 부곡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위하여 시민운동장으로 재건립하였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서 위탁...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던 자연마을. 조선 제14대 임금인 선조의 딸 정정옹주(貞正翁主)와 남편인 진안위(晋安尉) 유적의 합장묘가 부곡동 동쪽 산기슭[제일스포츠센터 앞]에 있는데, 유적이 생전에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역임했다 하여 시랑골[侍郞谷]이라 하였다. 시랑골은 신촌과 시랑운동장[전 양궁경기장] 사이에 있던 마을로 유시행(柳時行)의 후손인 진주유씨의 세거지이다. 진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던 자연마을. 조선 제14대 임금인 선조의 딸 정정옹주(貞正翁主)와 남편인 진안위(晋安尉) 유적의 합장묘가 부곡동 동쪽 산기슭[제일스포츠센터 앞]에 있는데, 유적이 생전에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역임했다 하여 시랑골[侍郞谷]이라 하였다. 시랑골은 신촌과 시랑운동장[전 양궁경기장] 사이에 있던 마을로 유시행(柳時行)의 후손인 진주유씨의 세거지이다. 진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예절바르고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2001년 8월 10일 설립인가를 받고 2002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002년 초대 송동종 교장이 부임하였다. 2002년 3월 10일 학교 3층 건물을 준공하였다. 같은 해 4월 8일 급식 시설을 완공하였다. 2014년 9월 1일 제6대 손순태 교장이 취임하였고, 2016년 2월 1...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주기적·전승적·반복적·의례적으로 거행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행위.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시민공원은 1989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주민은 물론 반월공업단지와 시화공업단지 방문객들의 여가 선용에 기여하기 위하여 안산시 최초의 공원으로 건립되었다. 총 면적은 469,608.6㎡이며, 배드민턴장·국궁장 등의 운동 시설과 어린이놀이터·화장실·주차장·각종 의자 등의 휴게 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서해의 낙조와 해무를 볼 수...
-
경기도 안산 지역을 중심으로 시민이 주체가 되어 공익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각종 사회운동의 범칭. 시민운동은 시민들이 사회 각 영역에서의 공익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 연대하여 전개하는 운동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즉 시민들이 개인의 자주적이고 자발적인 참가를 전제로 유동적이고 유연한 관련 조직들이나 연대들의 형성을 통하여 비정치적이고 비당파적으로 전개할 뿐만 아니라 그 목적도 보...
-
경기도 안산시 인근 바다에서 서식하는 갑각류. 십각목 보리새우과의 갑각류로 시바새우라고도 한다. 몸집이 큰 대하(大蝦)에 비해 몸집이 작아 중하(中蝦)라고 하며, 먹이와 산란을 위해 연안과 깊은 바다를 1년 주기로 이동한다. 곤쟁기류와 기타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먹는다. 몸길이는 약 8㎝이다. 몸이 옆으로 납작하며, 두 눈 사이로 튀어나온 이마 뿔은 긴 아치형으로 끝부분이 뾰족하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과 시흥시 정왕동에 걸쳐 있는 방조제. 시화방조제는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의 방아머리와 시흥시 정왕동의 오이도를 연결하는 방조제이다. 시화방조제의 건설로 국토 확장과 더불어 1억 8,000톤의 수자원이 확보되어 주변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게 되었으며, 직선화로 98㎞의 해안선이 단축되었다. 또한 연간 355억 원에 달하는 소득 증대 및 780만여 명에...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청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준치는 생선 중에 가장 맛있다 하여 ‘참다운 물고기’라는 뜻의 진어(眞魚)라고도 한다. 또한 초여름이 지나면 완전히 사라졌다가 이듬해 봄에 나타나는 습성 때문에 시어(時魚)라고도 한다. 살 속에 잔가시가 많이 있으나, 예부터 ‘썩어도 준치’라는 말이 있을 만큼 맛이 좋다. 몸길이는 40~50㎝ 정도이다. 등의 외곽선은 직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던 자연마을. 예로부터 모내기 철만 되면 비가 와 연년세세 풍년이 든다고 하여 시꿀[時雨洞]이라 하였다고 한다. 시꿀 서북쪽은 웃말, 동북쪽은 서런말, 동쪽은 우덕골, 동남쪽은 사탯말, 서남쪽은 논말, 북쪽은 양지촌이라 불렀다. 범직이 동쪽에 있던 시꿀은 조선시대에 안산군(安山郡) 와리면(瓦里面) 시우리(時雨里) 지역이었다. 남양홍씨·밀양박씨·청주한...
-
경기도 안산시에서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는 장소. 1. 조선시대 조선 말기에 간행된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에는 초산면(草山面)의 방축장(防築場), 대월면(大月面)의 산대장(山岱場)이 개설되어 운영된 기록이 있다. 그리고 “원래 안산에는 강이나 호수가 없지만 성곶과 원당 두 포구에 조수가 들고나기 때문에 장삿배와 고깃배가 왕래한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포구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국가 산업 단지. 시화국가산업단지의 ‘시화’란 시흥과 화성의 첫 글자를 뜻하며, 시화국가산업단지에 인접한 반월국가산업단지의 확장 개념에서 새로운 중소기업전문단지로 개발한 곳이다. 산업의 재배치 차원에서 수도권 소재 공장 이전용지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서해안공업벨트의 형성 촉진의 교두보 역할을 하는 차세대형 국가 산업 단지다. 시화국가산업단지가 착...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과 시흥시 정왕동에 걸쳐 있는 방조제. 시화방조제는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의 방아머리와 시흥시 정왕동의 오이도를 연결하는 방조제이다. 시화방조제의 건설로 국토 확장과 더불어 1억 8,000톤의 수자원이 확보되어 주변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게 되었으며, 직선화로 98㎞의 해안선이 단축되었다. 또한 연간 355억 원에 달하는 소득 증대 및 780만여 명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과 시흥시 정왕동 일원에 있는 첨단 산업 단지. 시화멀티테크노밸리(MTV) 사업은 정부·지방자치단체·환경 단체의 대화와 합의를 통해 진행된 최초의 국책 사업이다. 사업의 기본 방향은 첫째, 첨단·벤처 업종 등 지식 기반 산업을 중심으로 한 연구 개발·유통 등에 대한 지원 기능을 확립하고, 시화호 수변을 이용한 관광·휴양의 여가 기능 및 생태 기능·환경 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과 시흥시 정왕동에 걸쳐 있는 방조제. 시화방조제는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의 방아머리와 시흥시 정왕동의 오이도를 연결하는 방조제이다. 시화방조제의 건설로 국토 확장과 더불어 1억 8,000톤의 수자원이 확보되어 주변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게 되었으며, 직선화로 98㎞의 해안선이 단축되었다. 또한 연간 355억 원에 달하는 소득 증대 및 780만여 명에...
-
시화방조제 건설 전 대부도의 가장 특징적인 해안 지형은 갯벌로, 북쪽은 군자만 일대로 넓은 갯벌이 펼쳐져 있고, 남쪽에도 화성군[현 화성시] 제부도에 이르는 지역에 갯벌이 넓게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시화방조제 건설로 대부도 북동부의 갯벌은 모두 육지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인구에 비해 국토 면적이 매우 협소하고 국토의 2/3 이상이 산지와 호수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
-
경기도 안산시·시흥시·화성시에 둘러싸인 인공호수. 시화호의 역사를 알 수 있는 흔적으로 중생대 공룡알과 공룡발자국, 화석 등이 고정리 일원에서 발견되었으며, 선사시대부터 시화호 주변으로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구석기시대의 타제석기와 신석기 시대의 즐문토기, 패총 등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시흥 오이도와 대부도에서는 다수의 신석기시대 패총 유적이 발견되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시민 단체. 시화호생명지킴이는 시화호 지역의 환경과 문화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며, 환경 보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환경 보전을 위한 일이나 관련 사업들에 노력을 기울이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시화호 주변의 하천·습지·숲·공룡알 화석지 등에서 청소년 및 시민을 대상으로 지역의 자연을 안내할 자원활동가를 배출하고자 시작한 이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과 본오동 일대에 조성된 인공습지의 도시근린공원. 시화호갈대습지공원은 시화호로 유입되는 지천인 반월천과 동화천, 삼화천의 수질 개선을 위하여 갈대 등의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자연정화처리식의 하수종말처리장으로 하수를 처리하고, 인공습지공원으로 자연과 접하기 어려운 도시민의 휴식은 물론 생태계를 이루는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는 자연학습장으로 활용하고자 조성되었다...
-
시화호는 경기만 시화갯벌이 있던 지역에 바다를 가로지르는 길이 12.7㎞의 방조제를 건설하여 조성된 인공호수이다. 호수 규모는 여의도 면적의 80배 정도인 43.80㎢이며, 인공호수에 담아낼 수 있는 총 저수량은 3억 톤이나 된다. 시화호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역의 범위는 476.5㎢이다. 관리수위는 -1.0m, 평균 수심은 3.2m, 최대 수심은 18m에 달하며, 해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과 시흥시 정왕동 일원에 있는 첨단 산업 단지. 시화멀티테크노밸리(MTV) 사업은 정부·지방자치단체·환경 단체의 대화와 합의를 통해 진행된 최초의 국책 사업이다. 사업의 기본 방향은 첫째, 첨단·벤처 업종 등 지식 기반 산업을 중심으로 한 연구 개발·유통 등에 대한 지원 기능을 확립하고, 시화호 수변을 이용한 관광·휴양의 여가 기능 및 생태 기능·환경 교...
-
1985년 모현동지회에서 구 시흥 지역 인물들의 면면을 기록한 책. 『시흥인물고』는 초대 안산문화원장을 지낸 고 유해엽이, 생전에 모현동지회를 결성하여 연구 조사를 진행한 후, 자비로 출간한 구 시흥[안산·시흥·의왕 일대] 지역 인물 모음집이다. 구 시흥 지역에는 많은 충신과 효자·열녀·청백리 등 우리가 본받아야 할 자랑스러운 선현들이 안장되어 있음에도 이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과 시흥시 정왕동 경계를 흐르는 하천. 시흥시 정왕동 시화공업단지 내 배수 시설을 목적으로 4개의 간선수로인 인공하천을 조성하였다. 이들 4개의 간선수로에는 각각 옥구천, 군자천, 정왕천, 시흥천이란 이름을 붙였으며 하천 이름으로 등재하기 위해 신청하였다. 그중 제4간선수로의 하천 이름을 시흥시의 이름에서 따서 시흥천이라 하였다. 시흥천 유역은 한반도 중...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던 흑연광산. 흑연은 육각의 판상결정체로 산출되는데, 결정의 크기에 따라 인상흑연(鱗狀黑鉛)과 토상흑연(土狀黑鉛)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크기이고, 후자는 미세한 것으로 육안 또는 현미경으로도 결정의 식별이 어렵다. 인상흑연은 결정편암이나 편마암과 함께 산출되며, 흔히 그것에 수반되는 석회암 속에 산재한다. 흑연하면 제일 먼저...
-
경기도 안산 지역에 식생·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 경기도 안산시는 행정구역상 서쪽으로 서해에 면해 있으며 인천광역시·시흥시·안양시·군포시·의왕시·수원시·화성군 등과 경계를 접하고 있다. 또 서해로는 대부도 및 풍도와 육도 등 유·무인도 10여 개가 산재해 있다. 또한 안산시 주변으로는 시흥시의 군자봉(君子峰)[198.4m]과 마산(麻山)[246.2m], 수리산(修理山)[474....
-
경기도 안산 지역의 전통 음식과 먹는 것에 관한 생활. 식생활은 그 지역의 지리적 위치 및 환경에 의해 좌우되는데 안산시의 경우 바다와 인접해 있어 해산물을 이용한 음식이 많은 편이다. 1940~1950년대 전반적인 사회상이 그러하듯이 안산 지역에서도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집일 경우에만 쌀밥을 먹었고, 대부분 일반 서민들은 보리밥을 먹었다. 그러나 보통 온전한 된밥을 먹기보다는 물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자연마을. 풍수로 보아 마을 형상이 소의 뿔처럼 생겼다 하여 샛뿔[新角]이라 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정길섭(丁吉燮)[정봉진 전 안산문화원장 조부]이 이곳에 신흥학교(新興學校)를 설립하면서 새 학문을 익혀 깨달아야 잘살 수 있다는 의미로 ‘깨달을 각(覺)’자를 써서 ‘샛뿔[新覺]’로 개명하였다고 한다. 샛뿔은 능길과 시흥시 거모동 도일 사이에 있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자연마을. 풍수로 보아 마을 형상이 소의 뿔처럼 생겼다 하여 샛뿔[新角]이라 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정길섭(丁吉燮)[정봉진 전 안산문화원장 조부]이 이곳에 신흥학교(新興學校)를 설립하면서 새 학문을 익혀 깨달아야 잘살 수 있다는 의미로 ‘깨달을 각(覺)’자를 써서 ‘샛뿔[新覺]’로 개명하였다고 한다. 샛뿔은 능길과 시흥시 거모동 도일 사이에 있는...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에서 활동한 대중가수. 본명은 신경녀(申景女)이다. 1912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하여 2006년 사망하였다. 신카나리아는 원산루씨고등여학교를 중퇴하였다.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하지 못했으나, 교회를 통해 성악가 이인범의 동생인 이옥현에게 노래를 배웠다. 16세 되던 해 극작가 임서방(任曙昉)이 이끌던 이동악극단 성격의 조선예술좌(朝鮮藝術座)가 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잿머리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마을의 공동 제사. 성곡동 잿머리 성황제는 잿머리마을 주민들이 마을 수호신에게 안녕과 무병·풍년을 빌기 위하여 올리는 마을 제사이다. 예전에는 신곡맞이 성황제라고 불렀다. 고려 성종 때부터 내려오는 마을신앙으로 제당에는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의 비(妃) 홍씨와 장모인 안씨를 모시고 있다. 마을굿 형태로 전승되고 있으며,...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연(聖淵), 호는 석북(石北)·오악산인(五嶽山人).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신호(申澔), 어머니는 이휘(李徽)의 딸, 처는 해남윤씨(海南尹氏)로 윤두서(尹斗緖)의 딸이다. 신광수는 문장으로 뛰어난 강박(姜樸)과 학행과 시문으로 잘 알려진 이덕주(李德冑)의 문하에 출입하였다. 가문이 남인인 때문에 초년부터 관직 진출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1914년 신각리(新角里)와 적길리(赤吉里)를 통합하면서 신각리의 ‘신’자와 적길리의 ‘길’자를 따서 신길리(新吉里)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와리면 신각리와 적길리였고, 1914년 신각리와 적길리를 통합하여 신길리라 하고 시흥군 군자면에 편입하였다. 1986년 안산시 출범에 따라 안산시 신길동이 되어 행정동인 군자동 관할이 되었다. 19...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능길마을에서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올리는 의례. 신길동 능길 기우제는 가뭄이 계속되어 농작물의 파종이나 성장에 해가 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의(祭儀)이다. 이를 ‘물제’라고도 한다. 가뭄이 심하면 농사짓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기우제를 지내 비가 오기를 비는 것은 전국적인 현상이다. 예전에 기우제장으로 주로 활용되었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능길마을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마을의 공동 제사. 신길동 능길 산신제는 매년 음력 10월 3일 오전 10시에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신길동 능길 산신제 준비는 당주를 정하는 일부터 시작되는데 큰 당주, 작은 당주 두 집을 정한다. 당주로 선정되면 멀리 출타하지 않고 궂은 것은 보지 않는 등의 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샛뿔마을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마을의 공동 제사. 신길동 샛뿔 도당제는 매년 음력 10월 초하루 오전 10시에 소나무 숲을 이룬 개인 소유의 마을 뒷산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무병·풍년을 빌기 위하여 올리는 마을 제사이다. 매년 큰 당주와 작은 당주를 정해서 제물을 준비하게 한다. 큰 당주 집에서는 소머리를 삶고 떡을 준비하며, 작은 당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선사시대 생활 유적지. 2002년 5월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에서 지표조사를 실시한 이후, 2005년 11월 1일부터 2007년 5월 30일까지 재단법인 고려문화재연구원에 의하여 시굴 및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발굴조사 결과 선사시대 주거지 24곳과 백제 때의 주거지 3기, 토광묘 2기가 발견되었다. 신길동 선사유적지의 주거지에는 귀죽인 네모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수도권 광역 지하철 과천-안산선의 역. 안산시와 시흥시의 경계지점에 위치하며, 잠재적인 이용자 수요를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개통 이전의 임시 역명은 신길역(新吉驛)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1호선 및 5호선의 환승역인 경부선 신길역과 역명 중복을 피하고, 역 인근에 온천이 개발될 예정이었던 관계로 신길온천역이라 명명되었다가, 능길역으로 변경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을 흘러 시흥천과 합류하여 시화호로 흘러드는 하천. 신길천은 신각리(新角里)[현 샛뿔마을]의 ‘신’과 적길리(赤吉里)[현 능길마을]의 ‘길’을 취한 것으로 신길동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신길천은 시흥시 거모동 군자봉에서 발원하여 시흥천을 경유해 시화호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신길천 유역은 한반도 중서부 해안 지역으로 내륙 지방에 비해 기후의 변화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 있는 자연마을. 조선 말기 육지에서 이주한 김씨 성을 가진 사람이 정자를 크게 짓고 신당(神塘)이라 명명한 뒤로 마을 이름도 신당리[新塘谷]가 되었다고 한다. 한편 마을에 안방죽·새방죽 등으로 불리는 방죽이 있어 당(塘)자를 ‘연못’이 아닌 ‘방죽’의 의미로 풀이하면 ‘새 방죽을 쌓은 동네’, 즉 신당리가 된다는 설도 있다. 신당리에는 다음과 같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골판지 원지 제조업체. 신대양제지는 산업 용지인 골판지 원지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2년 12월 17일 신대양제지로 설립되었다. 1984년 제지 공장 제조 허가를 취득하여 반월공장을 준공하였다. 1986년 수출입 허가증을 발급받고, 1987년 2호기를 증설·완료하였다. 1988년 1호기·2호기 증설·완료하였고, 1996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골판지 원지 제조업체. 신대양제지는 산업 용지인 골판지 원지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2년 12월 17일 신대양제지로 설립되었다. 1984년 제지 공장 제조 허가를 취득하여 반월공장을 준공하였다. 1986년 수출입 허가증을 발급받고, 1987년 2호기를 증설·완료하였다. 1988년 1호기·2호기 증설·완료하였고, 1996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이동에 있는 옥수수 가공식품 제조업체. 신동방CP는 옥수수전분·변성전분·과당/고과당·물엿·캐러멜·포도당·말토스 등의 옥수수 가공식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6월 17일 동방유량(주)로 창립하였다. 1983년 3월 한국카킬사료를 인수하였고, 동방사료(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86년 1월 10일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고, 같은 해 2월 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이동에 있는 옥수수 가공식품 제조업체. 신동방CP는 옥수수전분·변성전분·과당/고과당·물엿·캐러멜·포도당·말토스 등의 옥수수 가공식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6월 17일 동방유량(주)로 창립하였다. 1983년 3월 한국카킬사료를 인수하였고, 동방사료(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86년 1월 10일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고, 같은 해 2월 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이동에 있는 옥수수 가공식품 제조업체. 신동방CP는 옥수수전분·변성전분·과당/고과당·물엿·캐러멜·포도당·말토스 등의 옥수수 가공식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6월 17일 동방유량(주)로 창립하였다. 1983년 3월 한국카킬사료를 인수하였고, 동방사료(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86년 1월 10일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고, 같은 해 2월 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이동에 있는 옥수수 가공식품 제조업체. 신동방CP는 옥수수전분·변성전분·과당/고과당·물엿·캐러멜·포도당·말토스 등의 옥수수 가공식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6월 17일 동방유량(주)로 창립하였다. 1983년 3월 한국카킬사료를 인수하였고, 동방사료(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86년 1월 10일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고, 같은 해 2월 2...
-
경기도 안산시에서 신문을 발행하는 회사. 안산시에서 활동하는 신문들은 중앙지와 지방 일간지, 주간지 등이 있으나 여기에서는 안산시에 본사를 두고 신문을 발행하는 신문사로 국한한다. 2008년 12월 말 현재 인구 75만 명의 안산시에서 발행되는 일간지는 1개 사고 안산 지역만 취재 영역으로 주 1회 발행하는 주간지는 9개 사다. 여기에 온라인 포털사이트 5개 사를 더하면 안산에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파스·밴드 등의 의약품 제약업체. 신신제약(주)는 파스류와 밴드·외용 소염 진통제·외용 항진균제·피부연화제·첨부제·에어로졸 등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신신제약(주)는 1959년 9월 9일 설립되었다. 1966년 7월 30일 전일약품공업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여 상호를 신신전일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1968년 12월 3일 서울특별시 영등...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파스·밴드 등의 의약품 제약업체. 신신제약(주)는 파스류와 밴드·외용 소염 진통제·외용 항진균제·피부연화제·첨부제·에어로졸 등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신신제약(주)는 1959년 9월 9일 설립되었다. 1966년 7월 30일 전일약품공업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여 상호를 신신전일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1968년 12월 3일 서울특별시 영등...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의전(義田), 호는 신암(愼庵)이다. 아버지는 김정락(金定洛)이다. 1882년(고종 19) 지금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김경념은 5세에 한문과 서예를 사사하였고, 약관 20세에 사서삼경(四書三經)과 독학으로 사학과 법제·경제학을 두루 섭렵하였다. 1897년 신문화 수입을 주창하면서 부조금제의 폐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알루미늄 관련 제품 제조업체. 산업용 자재와 특수 알루미늄 소재 등 다양한 제품들은 그 편리함과 안정성으로 인하여 산업 현장에서 일반 가정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 곳곳에 사용되고 있는데, 신양금속공업은 이러한 알루미늄 제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는 제조업체이다. 신양금속공업(주)는 알루미늄 압연·압출 및 연신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알루미늄 관련 제품 제조업체. 산업용 자재와 특수 알루미늄 소재 등 다양한 제품들은 그 편리함과 안정성으로 인하여 산업 현장에서 일반 가정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 곳곳에 사용되고 있는데, 신양금속공업은 이러한 알루미늄 제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는 제조업체이다. 신양금속공업(주)는 알루미늄 압연·압출 및 연신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알루미늄 관련 제품 제조업체. 산업용 자재와 특수 알루미늄 소재 등 다양한 제품들은 그 편리함과 안정성으로 인하여 산업 현장에서 일반 가정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 곳곳에 사용되고 있는데, 신양금속공업은 이러한 알루미늄 제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는 제조업체이다. 신양금속공업(주)는 알루미늄 압연·압출 및 연신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알루미늄 관련 제품 제조업체. 산업용 자재와 특수 알루미늄 소재 등 다양한 제품들은 그 편리함과 안정성으로 인하여 산업 현장에서 일반 가정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 곳곳에 사용되고 있는데, 신양금속공업은 이러한 알루미늄 제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는 제조업체이다. 신양금속공업(주)는 알루미늄 압연·압출 및 연신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효자. 신용남(申龍男)은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에서 태어나 목동으로 생활하였다. 집안이 매우 가난하였으나, 부모를 모시는 데 평생 동안 정성을 다하였다. 열다섯 살 때 어머니가 병석에 눕자 백방으로 약을 구하여 올리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회생시키는 등 효행이 지극하였다. 효종 때 조정에서 정려(旌閭)를 내렸다....
-
주거지역, 단체, 직장, 종교 등의 유대관계를 근거로 조직되어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는 신용협동기구의 하나. 신용협동조합의 약칭인 신협은 1960년에 시작된 조합원 중심의 서민 금융기관으로 조합원의 저축을 통해 자금을 조합원에게 융자해 주는 금융기관이다. 한국 최초의 신협은 1960년 5월 미국인 메리가브리엘라 수녀에 의해 부산 메리놀 의료기관에서 28명으로 조직된 성가신용협동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피혁 제조업체. (주)신우는 카시트 가죽·신발 가죽·핸드백 가죽 등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2년 6월 30일 배달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75년 4월 1일 (주)신우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12월 26일 (주)신원진흥을 설립하였고, 1991년 11월 18일 청도신우피혁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3월 8일에는 김해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피혁 제조업체. (주)신우는 카시트 가죽·신발 가죽·핸드백 가죽 등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2년 6월 30일 배달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75년 4월 1일 (주)신우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12월 26일 (주)신원진흥을 설립하였고, 1991년 11월 18일 청도신우피혁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3월 8일에는 김해공...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경백(敬伯). 할아버지는 예조판서를 지낸 신점(申點)이고, 아버지는 문화부사를 역임한 신순일(申純一)이다. 어머니는 이광현(李匡顯)의 딸이며, 부인은 신경진(辛慶晋)의 딸과 연릉부원군 이호민(李好閔)의 딸이다. 신율(申慄)[1572~1614]은 조선시대 안산군 마유면 죽률리[현 경기도 시흥시 죽률동]에서 태어났다. 1595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던 산업체 특별 고등학교. 교훈은 ‘믿음과 화합으로 사랑을 실천하고 진리를 탐구하자’이다. 1988년 2월 8일 (주)대한모방 부설 신의여자고등학교 설립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3월 15일 초대교장으로 이광수 교장이 취임하였다. 1996년 3월 1일 신의고등학교로 교명 변경을 인가받았다. 1999년 졸업한 104명 중 30% 정도인 30여 명의 학생...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侍仲)을 지낸 김은부(金殷傅)이고, 어머니는 인천이씨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된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동생은 현종의 네 번째 비인 원혜왕후와 일곱 번째 비인 원평왕후이다. 현종과 사이에 덕종(德宗)과 정종(靖宗)·인평왕후(仁平王后)·경숙공주(景肅公主)를 두었다. 원성왕후(元成王后)[?~1028]는 지금의...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성여(聖與), 호는 척재(惕齋). 증조할아버지는 신영석(申永錫)이고, 할아버지는 신원(申援)이다. 아버지는 신정미(申廷美)이며, 어머니는 이장배(李長培)의 딸이고, 부인은 박자봉(朴自芃)의 딸이다. 큰아버지 신순미(申順美)에게 입양되었다. 신점(申點)[1530~1601]은 1564년(명종 19)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식...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신점의 묘와 신도비. 신점[1530~?]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였다. 자는 성여(聖與), 호는 척재(惕齋),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할아버지는 신원(申湲)이고, 아버지는 신정미(申廷美), 어머니는 학성군(鶴城君) 이련(李連)의 딸이다. 큰아버지 신순미(申順美)에게 입양되었다. 1564년(명종 19)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신점의 신도비. 신점(申點)[1530~1601]의 본관은 평산, 자는 성여(聖汝), 호는 척재이다. 1564년(명종 19) 문과에 급제한 뒤 정언을 비롯해 장령·수찬·사간·교리·부교리·부응교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당시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일본의 침입 사실을 듣고 명의 요동병(遼東兵) 3천 명을 동원하는 데 역할을 하였다. 이...
-
1900년대부터 발생하여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종교. 신종교는 기존에 흔히 사용하던 ‘신흥종교’의 가치 중립화 및 객관화한 용어로, 기성 종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근래에 개창된 종교를 지칭한다. 한국의 신종교는 19세기 말 이후의 사회 변혁기에 대두되었는데 동학계(東學系), 증산계(甑山系), 단군계(檀君系)를 중심으로 유교계(儒敎系), 불교계(佛敎系), 남학계(南學系...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 자는 신지(申之). 광해군 때 우의정을 지낸 장유(張維)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장지중(張至中)이며, 장지대(張至大)에게 입양되었다. 장석리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삼등현령(三登縣令)을 역임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던 자연마을. 초지동 둔배미 동남쪽에 있었던 마을로 둔배미에 딸린 마을이었다. 신촌은 6·25전쟁 직후 황해도 난민들이 정착하면서 새로 생긴 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1980년대 초에 신도시 개발로 폐동되어 당시 살던 4가구가 모두 이주하였다.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고잔신도시 개발 때에 원당마을이라는 전원주택 단지가 조성되었고, 원당마을 앞...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신촌운동장은 1993년 안산시 단원구 와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7,819㎡이다. 축구장·배구장·족구장·농구장·배드민턴장 등의 체육 시설과 화장실·주차장 등의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2016년 현재...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에서 활동한 대중가수. 본명은 신경녀(申景女)이다. 1912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하여 2006년 사망하였다. 신카나리아는 원산루씨고등여학교를 중퇴하였다.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하지 못했으나, 교회를 통해 성악가 이인범의 동생인 이옥현에게 노래를 배웠다. 16세 되던 해 극작가 임서방(任曙昉)이 이끌던 이동악극단 성격의 조선예술좌(朝鮮藝術座)가 원...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거(聖居), 호는 저암(樗庵). 할아버지는 신회(申澮), 아버지는 신경순(申景洵)이다. 신택권은 1782년(정조 6) 10월 일차유생전강(日次儒生殿講)에 참여하였고, 1785년에는 창릉참봉에 제수되었다. 1787년에는 사재감봉사에 제수되었으며 이후 사옹원에서 재직하였다. 함께 교유한 이용휴(李用休), 엄경응(嚴慶膺...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지국(持國), 호는 계곡(谿谷)·묵소(默所).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공을 세워 공신에 책봉되었고, 양명학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정구(李廷龜) 등과 함께 4대 문장가로 알려져 있다. 아버지는 판서를 역임한 장운익(張雲翼),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로 박숭원(朴崇元)의 딸, 처는 안동김씨(安東金氏)로 김상용(金尙容)...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지국(持國), 호는 계곡(谿谷)·묵소(默所).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공을 세워 공신에 책봉되었고, 양명학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정구(李廷龜) 등과 함께 4대 문장가로 알려져 있다. 아버지는 판서를 역임한 장운익(張雲翼),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로 박숭원(朴崇元)의 딸, 처는 안동김씨(安東金氏)로 김상용(金尙容)...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신풍제약(주)의 제조 공장. 신풍제약(주)는 의약용 약제품 제조업체로 1962년 신풍제약사로 설립하여 1986년 7월 현재의 상호로 법인 전환하였다. 2009년 현재 자본금은 201억 원이고, 자산은 2,399억 원이다. 2007년도 매출액은 1,620억 원이었다. 대표자는 김병화이며, 총 852명의 종업원이 근무하고 있다. 주거래 은행은 한국외...
-
주거지역, 단체, 직장, 종교 등의 유대관계를 근거로 조직되어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는 신용협동기구의 하나. 신용협동조합의 약칭인 신협은 1960년에 시작된 조합원 중심의 서민 금융기관으로 조합원의 저축을 통해 자금을 조합원에게 융자해 주는 금융기관이다. 한국 최초의 신협은 1960년 5월 미국인 메리가브리엘라 수녀에 의해 부산 메리놀 의료기관에서 28명으로 조직된 성가신용협동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주석도금강판 제조업체. 신화실업(주)는 도금·착색 및 기타 표면 처리 강재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6년 6월 1일 신화실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67년 용융[Hot-Dip]주석도금라인을 완공하였고, 1978년 전기주석도금라인을 완공하였다. 1995년 8월 21일 연간 12만 톤 생산이 가능한 전기주석도금라인 시화공장을 완공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주석도금강판 제조업체. 신화실업(주)는 도금·착색 및 기타 표면 처리 강재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6년 6월 1일 신화실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67년 용융[Hot-Dip]주석도금라인을 완공하였고, 1978년 전기주석도금라인을 완공하였다. 1995년 8월 21일 연간 12만 톤 생산이 가능한 전기주석도금라인 시화공장을 완공하...
-
1900년대부터 발생하여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종교. 신종교는 기존에 흔히 사용하던 ‘신흥종교’의 가치 중립화 및 객관화한 용어로, 기성 종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근래에 개창된 종교를 지칭한다. 한국의 신종교는 19세기 말 이후의 사회 변혁기에 대두되었는데 동학계(東學系), 증산계(甑山系), 단군계(檀君系)를 중심으로 유교계(儒敎系), 불교계(佛敎系), 남학계(南學系...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논을 매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실모 소리」는 호미로 논맬 때에 부르던 노래로서 이를 「수암동 논맴 소리」라고도 한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로는 「논맴 양산도」, 「실모 소리」, 「둘레 소리」, 「응호 소리」, 「몸돌 소리」, 「어럴럴럴 상사」, 「방아 소리」, 「얼카덩어리」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뱅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10㎝ 이하이다. 가늘고 길며 머리는 옆으로 납작한 편이다. 입은 크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어서 입이 위를 향해 열린다. 등지느러미는 몸의 후반부에 있고, 가슴지느러미 기부에 육질이 발달되어 있다. 수컷의 뒷지느러미 기부에는 17~18개의 비늘이 있으며, 암컷에 비해 수컷이 작다. 몸은 살아 있을 때는 투명하고...
-
1991년에 창립된 한국 실학에 대한 전문 연구 학회. 한국실학학회는 한국의 실학에 대해 개별적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국내 연구자들을 결집하여 실학 연구의 양적 영역을 확대하고 질적 발전을 기하기 위하여 결성되었다. 1991년 3월 16일 한국실학연구회로 창립되어 1999년부터 학회지 『한국실학연구』를 간행하고 있으며, 2002년 6월 학회 명칭을 한국실학학회로 변경하였다. 이...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이숙(頤叔), 호는 현재(玄齋)·묵선(墨禪). 증조부는 영의정 심지원(沈之源), 할아버지는 심익창(沈益昌), 아버지는 포도를 잘 그렸던 심정주(沈廷胄), 외할아버지는 포도와 인물을 잘 그렸던 정유승(鄭惟升)이다. 사촌형의 아들 심욱진(沈郁鎭)을 양자로 들였다. 심사정 가문은 할아버지 심익창의 과옥(科獄)[조선시대 과...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치화(穉華). 아버지는 진사 심의린(沈宜隣), 어머니는 의령남씨(宜寧南氏)로 남준행(南駿行)의 딸, 처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이진재(李晋在)의 딸이다. 심순택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상록구 월피동 다리피에서 살았다. 1850년(철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조참의, 예방승지(禮房承旨)를 거...
-
조선 전기 문신이자 서예가.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언심(彦深), 호는 소재(少齋)·심재(心齋). 아버지는 강이행(姜利行),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손(許蓀)의 딸이다. 강징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영특하여 외삼촌인 우의정 허종(許琮)의 가르침을 받았다. 1486년(성종 17)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4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를 거쳐 예문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돗대기새우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몸길이는 약 7~8㎝이다. 좌우로 편평하며, 약간 붉은빛을 띠나 무색투명하다. 마르면 흰색으로 변한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가 실린 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1760년경의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백하(白蝦)라고 기록되어 있다. 1842~1843년 간행된 『경기지(京畿誌)』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소속 사찰. 옛날 한 승려가 잠을 자고 있었는데 현몽하기를, 우물에서 용 다섯 마리가 구름을 타고 승천하는 것이었다. 잠에서 깨어난 승려는 꿈에서 본 장소를 생생하게 기억하였는데, 큰 물 위에 산이 있고 그 산중에 우물이 있는 곳이었다. 승려는 꿈속에서 본 장소를 찾으러 다니다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에 이르러 황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쌍계사 극락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도금 불상. 쌍계사 극락보전의 목조여래좌상은 높이 92㎝로 좁은 어깨에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는 소라 모양의 나발(螺髮)이 촘촘하고,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肉髻)가 높이 솟아 있으며, 이마 위에 타원형의 중앙계주(中央髻珠)와 정수리에 원통형의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있다.쌍계사 목조여래좌상...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쌍계사에 있는 아미타회상도. 「아미타회상도(阿彌陀會上圖)」는 원래 서방정토를 관장하면서 중생들에게 무한한 안락과 수명을 보장해 주는 아미타불의 설법 장면을 그린 그림으로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에 근거한 불화이다. 「쌍계사 아미타회상도」는 쌍계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불화로, 현재는 불단에 가려 화면의 3/1밖에 볼 수 없다. 2002년 9월 16일 경...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쌍계사에 있는 현왕도. 현왕도(現王圖)는 지옥에서 죽은 사람이 살아 있을 때 저지른 죄질(罪質)을 심판하는 염라왕을 그린 불화이다. 현왕여래(現王如來)란 명계(冥界)의 염라대왕과 같은 성격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바로 현왕탱화이다. 「쌍계사 현왕도」는 2002년 9월 16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하동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의 역원 터.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하동에 원후(院後)마을이 있어 원(院)의 흔적을 추정할 수 있다. 원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때 출장 여행 중인 관리들에게 숙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요로(要路)나 인가가 드문 곳에 설치하였던 숙박소이다. 쌍록원의 유지를 위하여 공민왕(恭愍王)[1330~1374] 때에는 원위전(院位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하동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의 역원 터.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하동에 원후(院後)마을이 있어 원(院)의 흔적을 추정할 수 있다. 원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때 출장 여행 중인 관리들에게 숙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요로(要路)나 인가가 드문 곳에 설치하였던 숙박소이다. 쌍록원의 유지를 위하여 공민왕(恭愍王)[1330~1374] 때에는 원위전(院位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던 자연마을. 바닷물이 들어왔을 때 쑥 들어간 갯고랑 가장자리에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쑥께라고 하였다. 달미와 화정동 사이에 있던 마을로, 조선 말엽 최참봉(崔參奉)이란 사람이 처음 옮겨 와 살았다고 한다. 최참봉이 살던 집은 일제강점기에 수암동·거모동 간 도로 확장 공사 때 헐렸고, 일제강점기 말엽 민가 5가구가 터를 잡았다. 6·25전쟁 전만 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페인트 제조업체. (주)노루케미칼은 특화된 기능성 페인트·도료 및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5년 12월 대한오브세트잉크로 설립되었다. 1989년 7월주식회사켐코를 설립하고, 같은 해 10월 반월공업단지에 생산공장을 준공하였다. 1993년 3월 시화공업단지 내에 본사·공장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95년 4월 켐코페인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페인트 제조업체. (주)노루케미칼은 특화된 기능성 페인트·도료 및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5년 12월 대한오브세트잉크로 설립되었다. 1989년 7월주식회사켐코를 설립하고, 같은 해 10월 반월공업단지에 생산공장을 준공하였다. 1993년 3월 시화공업단지 내에 본사·공장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95년 4월 켐코페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