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섬와잡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2019
한자 蟾窩雜著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안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진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집
관련인물 이익|이재덕|강세황
저자 이현환(李玄煥)
책수 필사본 1책, 영인본 1책
표제 蟾窩雜著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정의]

18세기 이현환이 지은 문집.

[개설]

이현환(李玄煥)[1713~1772]은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성수(星叟), 호는 학서(鶴西)· 섬와(蟾窩)이며, 초명은 이수환(李壽煥)이다. 행장이나 비지(碑誌)의 기록이 없어 정확한 생애를 파악하는데 어려운 면이 있는데 『섬와잡저』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현환은 소릉(少陵) 이상의(李尙毅)의 후손으로, 이학휴(李學休)와 남양홍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현환은 서울에서 할아버지 이직(李溭)에게서 배웠고, 안산에 내려와서는 성호 이익에게서 수학하였다. 1744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음직으로 벼슬을 한 듯하나 분명치 않다. 강세황(姜世晃), 이재덕(李載德) 등과 교유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이현환이 안산으로 은거한 후 수리산의 지류인 섬산(剡山)에 머물면서 두꺼비[蟾]의 행동을 극찬하며 자신도 섬(蟾)자로 종신(終身)하겠다고 밝혔으며, 문집의 이름 또한 거기에서 유래하여 『섬와잡저』라 하였다. 2002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근기실학연원제현집』총 6권 중 제6권에 수록하여 영인·간행하였다.

[구성/내용]

『섬와잡저』에서 나타나듯 일정한 문집의 체제를 갖추지 못했고, 문집을 위한 정고본도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오당기(二梧堂記)」부터 시작하여 71편의 산문이 실려 있는데 문체나 연대순으로 서술되어 있지 않다. 작품상의 구분에 따르면 서(序)가 28편, 기(記) 12편, 발(跋) 11편, 설(說) 7편, 제문(祭文) 4편, 서(書) 2편, 변(辨) 2편, 기타 지문(誌文), 논(論), 상량문(上樑文), 전(傳) 등은 1편씩이다.

문학적으로는 친족이나 벗들과 시회 활동을 통해 교유하며 견해를 넓혀 갔던 모습들이 술회되어 있다. 이현환은 「섬중수창록발(剡中酬唱錄跋)」에서 여주이씨의 시집이라 할 수 있는 「섬중수창록(剡中酬唱錄)」을 언급하였는데, 여주이씨 인물들이 문학에서 두드러진 업적을 많이 남겨, 그들의 시회 풍속이나 문학적 기질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친족 이외의 재야 인사의 시회 모임에 대해서도 기록하였다. 곧 그는 여러 문인들과의 시회 활동을 통해 자신의 문학관 내지 시에 대한 견해를 심화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신주적객시서(申州謫客詩序)」나 「일장북관시축발(日章北關詩軸跋)」 등을 통해 그가 세상을 뜨기 한 해 전[1771, 신미]까지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삼두회서(三豆會序)」나 「유원당사기(遊元堂寺記)」 등 안산에서의 활동을 보여주는 자료들도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18세기 조선 후기의 예술사 및 시사(詩社)에 대한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