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있는 자연마을. 시흥시 장하동 원뒤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마을로 웃버대 아래에 있어 아랫버대[下楊垈]라고 한다. 웃버대는 마을 동남쪽에 있는 강징(姜澂)[1466~1536]의 묘가 풍수로 보아 꾀꼬리가 버드나무 가지에 집을 짓고 사는 앵소유기(鶯巢柳技) 형국이므로 마을 하천 둑에 버드나무를 많이 심은 뒤로 마을을 ‘버들촌’이라 한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개신교 교회. 아름다운 성빛교회는 현실적인 사회 상황 속에서 교회의 비전을 세우고 이에 따른 실천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안산 지역에서 노동, 통일, 생태, 나눔의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고 있는 개신교 교회이다. 아름다운 성빛교회는 1985년 9월 1일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이후 건강한 먹을거리 생산과 생태 교육을 전개하기 위해 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욕실 및 주방용품 제조업체인 릭실코리아의 제조 공장. 릭실코리아는 1988년 욕실 및 주방용품을 수작업으로 생산하던 작은 공장에서 출발해 현재 전 세계에 60여 개의 욕실 및 주방용품 생산 공장과 공조 설비를 갖추고 있다. 1986년 14개 품목에서 한국 공업 표시 허가를 취득하였고, 1994년 동종 업계 최초로 단일 품목 천만 불 수출의 탑을...
-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양중(養重)이고, 세례명 아우구스티노. 아버지는 진주목사를 역임한 정재원(丁載遠), 어머니는 해남윤씨(海南尹氏) 윤덕렬(尹德烈)의 딸, 처는 이수정(李秀廷)의 딸과 세레명 세실리아인 유씨이다. 동생이 정약용(丁若鏞)이며, 자녀들로 로마교황청에 의해 성인으로 추봉된 정하상(丁夏祥)과 성녀 정정혜(丁情惠)가 있다. 정약종은 현재의 경기...
-
시화방조제 완공으로 육지와 연결된 후 대부도는 섬으로 들어오는 교통이 편리해져 관광객들의 방문이 점점 늘었다. 그러나 얼마 전까지도 관광객들을 만족시킬 만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아서 대부분은 갯벌을 한 바퀴 돌고 바지락 칼국수를 한 그릇 먹고 나올 뿐이었다. 종현 마을 역시 시화방조제를 지나 대부도로 들어오는 입구에 자리 잡고 있지만, 관광객들의 증가가 마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고무·플라스틱 제조업체. 아이아주식회사는 자동차 운송 기기용 고무·건설 운송 기기용 고무·공장 기기용 고무와 플라스틱 우레탄 제품 및 전기 전자 부품, 각종 호스 및 범퍼·가니쉬 등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6월 25일 대경화성(주)로 설립되었다. 1992년 플라스틱 공장을 가동하였다. 2003년 GM[미]업체에 등록되었으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고무·플라스틱 제조업체. 아이아주식회사는 자동차 운송 기기용 고무·건설 운송 기기용 고무·공장 기기용 고무와 플라스틱 우레탄 제품 및 전기 전자 부품, 각종 호스 및 범퍼·가니쉬 등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6월 25일 대경화성(주)로 설립되었다. 1992년 플라스틱 공장을 가동하였다. 2003년 GM[미]업체에 등록되었으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철강 제조업체. (주)아이에스스틸은 냉간압연강판·산세강판·용융아연도금강판·전기아연도금강판·철강 등을 가공·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1년 4월 14일 익산철강(주)로 설립되었다. 1989년 무역업 허가를 받았다. 1995년 전라북도 김제공장을 설립하였다. 2002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연합철강공업(주) 경인 지역 코일센터를 설립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철강 제조업체. (주)아이에스스틸은 냉간압연강판·산세강판·용융아연도금강판·전기아연도금강판·철강 등을 가공·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1년 4월 14일 익산철강(주)로 설립되었다. 1989년 무역업 허가를 받았다. 1995년 전라북도 김제공장을 설립하였다. 2002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연합철강공업(주) 경인 지역 코일센터를 설립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하드디스크 제조업체. 인디랩은 휴대용 하드디스크 및 외장형 하드디스크를 연구·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5년 6월 13일 (주)기해전기 설립 후 사명을 아이엠스토리지로 변경하였다. 2007년 2월 경기테크노파크로 사업장을 이전하였다. 같은 해 7월 법인명을 아이엠스토리지로 변경하였고, 10월에는 직영 공장 LeA/Stone을 설립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하드디스크 제조업체. 인디랩은 휴대용 하드디스크 및 외장형 하드디스크를 연구·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5년 6월 13일 (주)기해전기 설립 후 사명을 아이엠스토리지로 변경하였다. 2007년 2월 경기테크노파크로 사업장을 이전하였다. 같은 해 7월 법인명을 아이엠스토리지로 변경하였고, 10월에는 직영 공장 LeA/Stone을 설립하였다...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산(安山). 증조부는 안산안씨(安山安氏)의 시조 안자유(安子由), 아버지는 연성군(蓮城君) 안습(安習)이다. 안경손은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1437년(세종 19) 내금위에 소속되었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의 계유정난(癸酉靖難)을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 3등에 책록된 뒤 내자시윤(內資寺尹), 삼군진무(三軍鎭撫), 대호군을 역임하고 첨지중추원사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던 자연마을. 웃말 동쪽 삼태기처럼 오목한 곳에 있다 하여 안골[內谷]이라 하였다. 안골은 단성이씨 누대의 세거지로 1989년 폐동 당시 20여 호가 있었으나 모두 이주하고 현재는 안산1대학이 들어서 있다. 조선 말엽 안동김씨 세도에 밀려 이조판서를 지낸 김수근(金洙根)[1798~1854]과 영의정을 지낸 김병국(金炳國)[1825~1905] 등의 묘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 남쪽에 있는 산이 풍수로 보아 가마[釜]를 엎어 놓은 형국이어서 가마산[伏釜山]이라 하였으며, 후에 이곳에 취락이 형성되자 산 이름을 따서 가마골이라 하였다. 후대에 내려오면서 개멸[元釜谷]로 통칭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마을 북쪽 지역이 나무가 많고 숲이 우거진 곳이라 하여 만수동(萬樹洞)이라 불렀고, 동쪽 지역이 골짜기 안에 위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안골운동장은 1993년 안산시 상록구 일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5,592㎡이다. 축구장·농구장·배구장·족구장 등의 체육 시설과 체력 단련 시설을 갖추고 있다. 기타 편의 시설로 화장실·주차장 등이 마련되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안골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안골 지경닺는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이창문 창과 같은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를 부르고,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1989년 7...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안중보(安重寶)이다. 안근은 1460년(세조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1472년(성종 3) 안주판관(安州判官)에 제수되었다. 이에 하직 인사를 하기 위해 임금을 알현했을 때 왕이 “너는 내 고을에 가서 어떻게 다스리겠느냐?”라고 질문하자 “마땅히 칠사(七事)[조선시대 수령으로 중요하게 처리해야 할 7가지 업...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을 지낸 김은부(金殷傅), 어머니는 소성백(邵城伯)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현종의 제7비 원평왕후(元平王后), 현종의 제3비 원성왕후(元成王后)와 자매간이다. 원혜왕후는 안산현[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에서 태어났다. 현종 초년에 거란이 침입하여 왕이 나주로 피난하였는데 왕궁으로 귀환하던 도중 공주에 묵...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지임(之任), 호는 안분재(安分齋). 할아버지는 진사 홍영필(洪永弼)이고, 아버지는 경기관찰사를 지낸 홍명원(洪命元)이며, 어머니는 윤민준(尹民俊)의 딸이다. 경기도관찰사·승정원도승지·형조참판 등을 역임한 홍수주(洪受疇)[1641~1704]가 아들이다. 홍처윤(洪處尹)[1607~1663]은 1639년(인조 17) 알성문과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안산시 지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989년 7월 경제적 정의를 시민의 힘으로 해결하기 위해 시민·청년·서민층 등이 모여 결성한 순수한 시민운동단체로 줄여서 ‘경실련’이라고도 한다. 1987년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계기로 그간 이룩된 경제 성장 몫의 분배 과정에서 소외된 다양한 사회 계층의 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안산광림교회는 1987년 12월 7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광림교회의 지교회로 문을 열고 김선도 목사가 창립 예배를 올렸다. 2002년 2월 3일 안산광림젊은이교회를 창립하였다. 2003년 3월 6일 노인대학을 설립하고 의료선교회를 발족하였다. 2005년 11월 24일 안산광림지역아동센...
-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서 발견된 중생대 후기 백악기의 퇴적암층. 1997년 채석장이던 대부광산에서 암석 채취 중 23개의 중생대 공룡 발자국 및 식물 화석이 발견되었고, 2003년 5월 경기도 기념물 제194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안산시와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안산 대부광산 퇴적암층 종합 정비 기본계획(안) 최종 보고회가 개최되었다. 지리적으로 공룡알 화석지인 시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 축제. 1986년부터 시작된 대부포도 재배는 1987년 시화지구개발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지리적 여건이 좋은 덕분에 대부도에서 생산되는 포도는 해풍에 의한 두터운 과피와 알맞게 기름진 토지에 의한 높은 당도를 가졌으며 저공해 고품질 등으로 상품성이 매우 뛰어나 농가 소득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1994년...
-
조선 후기 홍성민이 경기도 안산 관아를 방문하고 그 감회를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홍성민(洪聖民)[1536~1594]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시가(時可) 호는 졸옹(拙翁)이다. 1564년(명종 19) 문과에 급제한 후 정자(正字)와 교리(校理) 등 청현직을 지낸 후, 1575년(선조 8) 호조참판 재직시 사은사로 명나라에 건너가 왕실의 잘못된 계행(系行)을 바로잡는 종계변무(...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활동했던 성몽량이 지은 한시. 소헌(嘯軒) 성몽량(成夢良)[1718~1795]이 안산포구 밤낚시의 풍경을 그린 작품으로, 『대동시선(大東詩選)』권6에 실려 있다. 망(茫)·장(長), 노(㺜)·사(斜)를 자운(字韻)하여 지은 칠언절구 2수이다. 파조귀래선유상(罷釣歸來船有霜)[낚싯대 거두고 돌아오니 뱃머리에는 서리가 하얀데] 야심로저월창망(夜深蘆渚月蒼茫...
-
경기도 안산시 고잔1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안산성마리아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2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바다의 별이신 성마리아이다. 매년 9월 8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안산성마리아성당은 2001년 1월 30일 대학동성당에서 분당되었다. 2001년 9월 단원구 고잔1동 현 위치에 성전을 건축하여 봉헌미사를 올린 후 본당...
-
조선 후기 김응조가 경기도 안산 지방관의 수석연을 기념하여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김응조(金應祖)[1587~1667]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 또는 아헌(啞軒)이다. 1623년 인조가 반정으로 즉위하자 문과에 응시하여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인조와 효종·현종 3대를 섬겼으며 벼슬은 공조참의에 그쳤으나 문장과 덕(德)이 훌륭한 영남 남인(南人)...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산 청문당은 진주유씨 16세손 유시회(柳時會)[1562~1635]가 처음 건립하였다고 전해진다. 유시회는 원래 충청북도 괴산에 살고 있었는데, 유시회의 조카 유적(柳頔)이 선조의 아홉 번째 부마로 정해진 후 유적의 아버지 유시행(柳時行)이 세상을 뜨자, 사위가 한양에서 괴산까지 무려 100㎞ 이상을 왕복할 것을 걱정하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 기독교 정신과 대한민국 교육 이념에 의해 전문 교육을 함으로써 기독교 정신으로 국가와 지역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전문 직업인의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71년 12월 인천간호전문학교 설립 인가와 학교법인 새빛학원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개교 및 입학식을 하였다. 1978년 12월 20일 인천간호전문대학으로 승...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미래를 주도할 창조적이며 봉사하는 강서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창조적인 탐구자, 봉사하는 자유인’이다. 1988년 5월 18일 학교법인 강서학원 설립인가를 받았다. 같은 날 초대 이사장으로 박창옥이 취임하였다. 12월 13일 6학급으로 강서고등학교 설립인가를 받았고, 12월 15일 초대 이연의 교장이 부임하였다....
-
조선 전기 정이오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있는 객관에 대한 느낌을 적은 칠언절구의 한시. 정이오(鄭以吾)[1347~1434]의 본관은 진주, 자는 수가(粹可), 호는 교은(郊隱) 또는 우곡(愚谷)이다.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뛰어난 시인으로 1374년(공민왕 23) 문과에 급제한 후, 조선조에서 숭정대부의 품계에까지 올랐다. 경학(經學)에 대한 연구가 깊어 1398년 하륜·조준 등...
-
조선 후기 정작이 안산객사를 둘러보고 난 감회를 읊은 오언율시의 한시. 정작(鄭碏)[1533~1603]의 본관은 온양이다.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고, 도교에 심취해 친구이자 후배인 한준겸(韓浚謙)[1557~1627]에게 불로장생의 단련(鍛鍊)을 전수하고자 했던 일이 조야(朝野)에 큰 말썽으로 비화된 일화도 있다. 형인 정염과 함께 우리나라 도교의 한 맥을 잇고 있다. 천재 시인이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안산시 지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989년 7월 경제적 정의를 시민의 힘으로 해결하기 위해 시민·청년·서민층 등이 모여 결성한 순수한 시민운동단체로 줄여서 ‘경실련’이라고도 한다. 1987년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계기로 그간 이룩된 경제 성장 몫의 분배 과정에서 소외된 다양한 사회 계층의 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에 있는 사립 전문계 고등학교. 예절 바르고 생활 질서를 지키는 성실인, 기초 학력을 신장하여 창의력을 발현하는 실력인, 정보 활용 능력을 신장하여 생활을 영위하는 직업인, 교우와 더불어 생활하며 봉사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게, 굳세게, 부지런하게’이다. 1949년 9월 2일 안산고등공민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66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훌륭한 인격과 뛰어난 능력을 갖추어 개인적으로 행복을 추구하면서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국민으로 자라도록 하는 데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교훈은 ‘큰 나무가 되자’이다. 1966년 12월 27일 학교법인 안산학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5년 12월 28일 안산고등학교 6학급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86년 3월 1일이 초대 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골프 연습장. 시민공원 내에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제10조에 의거 민간투자 사업으로 골프 연습장 건설사업을 추진하여 예산 절감과 생활체육 공간 확대를 이루어 시민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2002년 3월에 안산골프클럽을 건립하였다. 안산골프클럽은 주차장을 제외한 부지 면적이 11,560㎡이며, 건축 규모는 지상 3층에 지하 1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사립대학. 뛰어난 개척 정신을 함양하고, 투철한 장인 정신을 고취하며, 성실·근면한 봉사 정신을 추구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4년 안산공업전문대학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5년 기계과·전기과 등 9개 학과 정원 720명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학장에 조영엽 박사가 취임하였다. 1998년 안산공과대학으로 학교 이름을 바꾸었다. 20...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전문계 고등학교. ‘공업입국의 초석을 이룰 인재양성’이라는 설립 정신에 따라 ‘베풀자, 튼튼하자, 앞을보자’라는 교훈을 세워 미래의 일꾼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1년 8월 17일 학교법인 규봉학원 설립인가를 받았다. 1993년 12월 1일 30학급의 학교 설립인가를 받았다. 1994년 3월 1일 초대 남상조 교장이 취임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와 이웃을 사랑하고 예절 바른 어린이, 공익을 앞세워서 협동 봉사하는 어린이,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생활을 하는 어린이, 명랑하고 질서를 존중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꿈, 사랑, 믿음’이다. 1996년 3월 1일 25학급으로 개교하였다. 같은 해 3월 2일 초대 최종선 교장이 부임하였다. 1997년 3...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산시 관할 교육 행정 기관. 안산교육지원청은 안산시 교육의 전문성과 지방 교육의 특수성을 살리기 위하여 「지방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되었다. 1987년 3월 광명교육청 관할에서 분리·독립하여 당시 시흥군 수암면 수암리 181번지 안산초등학교 강당에서 2과 6계로 개청하였다. 1988년 5월 10일 새 청사를 준공하였다. 1989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산시립예술단 산하 시립 국악단. 안산시립국악단은 안산 시민의 정서 생활 향상과 지역 사회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1996년 10월 창단되었다. 매년 정기 연주회를 비롯하여 청소년과 시민들을 위한 음악회와 국악 강습을 개설하고 있으며 국악을 바탕으로 한 어린이연극, 뮤지컬, 재즈, 영화와의 만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년 5월에 열리는 거리 축제. 안산국제거리극축제[Ansan Street Arts Festival]는 2005년부터 매년 5월 국내외 최고의 아티스트들이 펼치는 거리축제 한마당으로 ‘거리에서의 새로운 문화 발견’을 지향하며, 일상의 공간을 예술적 공간으로 변화시키고 관객과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이다. 2005년에 처음 시작된 안산국제거리극축제는 잘 정비된 안산의 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CGV에서 열린 영화제. 안산국제넥스트영화제는 총 예산 10억 원 규모의 부분 경쟁을 도입한 비경쟁 영화제로, 2006년 11월 16~18일 3일간 안산CGV에서 정식 영화제 이전의 쇼케이스 형식으로 주요작 14편을 선보였다. 그 뒤 2007년 6월 정식으로 제1회 영화제를 개최하는 등 매년 6월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예산상의 문제 등으로 2007년부...
-
940년부터 1914년까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안산군은 원래 고구려의 장항구현(獐項口縣) 또는 고사야홀차현(古斯也忽次縣)이었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757년(경덕왕 16)에 장구군(獐口郡)으로 되었다. 고려 초[940년(태조 23)]에 장구군을 안산군으로 고쳤다. 1018년(현종 9) 5도 양계제가 시행될 때, 안산현이라 하여 수주군(水州郡)[현 수원시]의...
-
1848년 신좌모가 경기도 안산 선영에 성묘하러 가면서 지은 한시. 담인(澹人) 신좌모(申佐模)[1799~1877]가 안산 선영에 성묘하러 가는 도중에 쓴 시로 노량진-안산-원주로 여행하며 지은 기행시인 「동협기행(東峽紀行)」 69수 중 한 편이다. 신좌모의 문집 『담인집(澹人集)』권3에는 「산초의 대조루 운을 써서 안산군수 정도화에게 주는 시(用汕樵對潮樓韻呈蓮城使君鄭道和)」라고...
-
1900년 안산군에서 편찬한 경기도 안산 지역 읍지.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는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군의 역사와 일반 현황을 담은 자료로서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말미에 안산군수 남계술(南啓述)의 지기가 있다. 이밖에도 안산 지역과 관련하여 편찬된 읍지에는 1842년에 간행된 『안산군읍지』 등 여러 읍지가 더 전한다. 본서의 저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김긍필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안산의 세거 성씨. 안산의 안산김씨는 시조 김긍필(金兢弼)의 아들 김은부(金殷傅)가 안산군개국후(安山郡開國侯)로 봉해진 이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형성된 안산의 토성이다. 시조 김긍필은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후손이며 고려 초 좌복야(左僕射) 벼슬을 하였다. 김긍필의 아들 김은부의 세 딸이 연이어 왕비가 되어 고려 덕종...
-
(주)내일신문이 경기도 안산 지역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지역 주간 신문. 『내일신문』은 1993년 10월 9일 창간호가 발행된 데 이어 1994년 12월 15일 지역판이 발간되었으며, 2000년 10월 9일 일간 『내일신문』을 창간하였다. 1993년 창간 이래 무차입 경영을 원칙으로 매년 매출 신장과 흑자를 이어가는 회사로, 사시는 “보수와 진보를 넘어 내 일을 하며 내일을 지향한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노동운동 단체. 안산노동상담소는 안산 지역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노동자 의식을 분명히 할 수 있도록 지원·협력·연대 활동을 하고자 설립되었다. 안산노동상담소의 변화 과정은 안산 지역 노동운동, 나아가 한국 노동운동의 역사와 맥을 같이한다. 1987년 초는 안산 지역 노동운동에서 노동자 계급이 운동의 주체로 등장하는 시기였다. 반월공업단지 생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사회단체. 녹색소비자연대는 세계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국제적 차원의 환경 문제나 각종 소비자 관련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 시민단체 및 소비자단체와의 연대와 협력을 통해 활동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단체이다. 안산녹색소비자연대는 소비자들이 참여하는 환경 친화적인 생활양식을 확립하여 갈수록 심화되는 지구 환경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1동에 있는 안산시 농업기술센터 소속 농업인 단체. 농촌지도자회 안산시연합회는 과학영농과 농촌문화 창달에 헌신하고 있는 농촌 지도자의 동지적 단합과 협력을 통하여 영농 기술의 향상과 농촌 사회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풍요로운 복지 농촌 건설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안산시 출범 이전 새마을영농기술자 시흥군연합회에서 활동하던 농촌 지도자들이19...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년 음력 5월 5일 단오절을 전후해 열린 축제. 예로부터 안산 지역에서는 단오절에 그네뛰기, 씨름 등 민속놀이가 성행해 왔으나 신도시 건설과 현대 산업화 속에서 그 맥이 끊어질 위기에 처했다. 이에 따라 그 전통의 맥을 이어가기 위하여 1991년부터 음력 5월 5일을 전후해 매년 전통민속놀이 한마당축제를 열게 되었다. 그러나 안산시의 유사한 성격의 행사·축제 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안산단원경찰서는 단원구 지역의 치안 및 질서 유지를 통해 시민의 안전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8년 10월 15일 안산경찰서가 개서하였다. 2002년 11월 안산시가 상록구와 단원구로 재편된데 이어 2006년 11월 21일 안산상록경찰서가 신설됨에 따라 기존의 안산경찰서가 안산단원경찰서로 명칭이 변경되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는 법무부 소속 청소년 비행 예방 센터. 안산청소년꿈키움센터는 학교 부적응 학생 및 기소유예 대상자, 법원의 대안교육 명령 처분자 등 위기 청소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으로 청소년 비행 예방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2년 의료소년원으로 문을 열었다가 2004년 3월 안산예술종합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2005년 교육부와 법무부 협력 하에 처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지역 냉난방 회사. 안산도시개발(주)는 경기도 안산 지역 주민의 난방비 절감과 대기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1년 9월 고잔신도시지구 집단에너지 공급사업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1995년 6월 「안산도시개발주식회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가 공포되고, 같은 달에 안산도시개발주식회사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지역 냉난방 회사. 안산도시개발(주)는 경기도 안산 지역 주민의 난방비 절감과 대기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1년 9월 고잔신도시지구 집단에너지 공급사업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1995년 6월 「안산도시개발주식회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가 공포되고, 같은 달에 안산도시개발주식회사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세계화 시대에 미래를 이끌어갈 유능한 인재 육성을 건학이념으로 삼고, ‘존귀한 하나님의 사람으로서 세상을 섬기는 인재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3년 12월 8일 학교법인 동산학원 설립인가를 받았다. 1994년 12월 10일 12학급으로 안산동산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소비자 생활협동조합. 물자의 사용 가치를 넘어 생명 가치를 존중하고 실현하기 위하여 조합원으로 모여 안전한 먹을거리와 친환경 생활용품을 공동으로 구매하며, 조합원 간의 연대와 소통을 통해 보육·육아·의료 체계·생태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마을 만들기 등 다양한 생활 운동을 추진하고자 설립하였다. 1993년 4월 신협한우리생협으로 발족하여 200...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소비자 생활협동조합. 물자의 사용 가치를 넘어 생명 가치를 존중하고 실현하기 위하여 조합원으로 모여 안전한 먹을거리와 친환경 생활용품을 공동으로 구매하며, 조합원 간의 연대와 소통을 통해 보육·육아·의료 체계·생태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마을 만들기 등 다양한 생활 운동을 추진하고자 설립하였다. 1993년 4월 신협한우리생협으로 발족하여 200...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안산문화원에서 발행하는 지역 계간지. 안산문화원에서는 사회·문화·역사 등의 자료를 집대성한 『안산시사』 외에도 지역 문화를 널리 빠르게 알리기 위하여 계간지를 발행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안산문화』이다. 안산문화원에서는 향토 문화의 전승과 지역 문화의 진흥을 위한 계간지 『안산문화』를 발간하기로 하고, 1990년 12월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문화예술 관람 시설. 안산문화예술의전당은 규모 면에서나 무대·음향·조명 등 시설 면에서 국내 정상급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수준 높은 공연물만을 엄선하여 무대에 올려 안산시민뿐 아니라 수도권 일대의 문화예술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안산문화예술의전당은 2000년 11월 착공하여 2004년 10월 2일 개관하였다. 공사비는 약 1,000억 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지역 문화 예술 진흥 기관. 안산문화원은 안산 지역의 지역 사회 계발과 연구 조사 및 문화 진흥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84년 5월 25일 설립총회를 열고 유해엽이 초대 원장으로 취임하였으며, 반월출장소 1층에 사무실을 개설하였다. 1985년 향토지 『내고장 전통문화』를 발간하기 시작하였고, 1988년 2월 사단법인 인가를 받았다. 1990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초지동에 있는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산하 안산 지역 지부.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안산지부는 민족 예술을 지향하는 예술인들의 상호 연대와 공동 실천을 통하여 안산 지역의 민족 문화 발전에 헌신하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11월 창립하여 초대 지부장으로 임영태가 취임하였다. 창립 초기부터 안산의 노동자들과 함께 건강한 노동자 문화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행사와 교육...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선교단체. 한국밀알선교단는 한국 교회가 크게 성장하고 있었던 1970년대 후반 교회에 장애인이 없는 안타까운 현실을 인식하고 한국 장애인의 영적 재활과 한국 교회의 본질 회복을 위하여 1979년 10월 16일 설립된 단체이다. 안산밀알선교단은 한국밀알선교단의 안산 지역 및 시흥 지역 선교단이다. 안산밀알선교단은 장애인에 대한 봉사활동 및 기독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종합버스터미널. 안산종합여객자동차터미널은 1995년 안산 지역 주민의 교통 편익은 물론 각종 물품을 편리하게 운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95년 3월 17일 여객자동차터미널 사업면허를 취득하여 영업을 개시하였다. 1996년 12월 13일 터미널 내 주유소 건물을 준공하였다. 2004년 7월 22일 터미널 편익 시설 건축 허가를 취득하여...
-
조선 후기 정조가 현륭원을 행행할 때 임시 기거한 경기도 안산의 별궁. 행궁이란 왕이 행차할 때 머물던 별궁을 말한다. 행궁은 안산행궁을 비롯하여 과천행궁, 금천행궁, 온양행궁, 남한산성행궁 등 여러 곳에 있었다. 『정조실록(正祖實錄)』에 관련 기록이 등장한다. 1797년(정조 21) 8월 16일 화성에 모신 정조의 아버지인 장조(莊祖), 즉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顯隆...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 수원보호관찰소의 지소. 보호관찰제도는 재범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관찰, 사회봉사·수강 및 갱생보호 등 체계적인 처우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범죄자에 대하여 지도·원호를 함으로써 건전한 사회복귀를 촉진하고, 효율적인 범죄예방을 전개하여 개인 및 공공의 복지를 증진하고 사회를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보호관찰소는 보호관찰제도의 실행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민주시민 태도를 함양하고 예절바른 도덕인, 자기 진로를 스스로 개척할 수 있는 자주인, 창의적인 탐구 능력과 수월성을 추구하는 창조인, 환경과 자연을 아끼고 서로 도울 줄 아는 협동인, 심신이 건강하고 정서적이며 조화로운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 자주, 역행’이다. 1994년 8월 4일 부곡중학교로 설립...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슬기롭게 생각하는 어린이, 취미와 소질을 살리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 세계로 미래로’이다. 안산부곡초등학교는 1997년 3월 1일 정재초등학교로부터 20학급 888명을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7년 3월 1일 초대 김영진 교장이 취임하...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불교 합창단. 안산불교연합 금강합창단은 부처님의 자비 및 자유평등 사상을 담은 음악을 전파하여 상실되고 있는 인간의 선한 본성을 일깨우고 윤리 도덕관을 재정립하는 불교 포교 활동과 적극적인 사회봉사 활동을 통한 복지 사회 구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20일 안산시 불교연합회 소속 안산불교합창단으로 창단되어 활동을 시작하였다. 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무료 의료 기관. 안산빈센트의원은 의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는 극빈자, 노숙자, 행려자,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 등을 무료로 진료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4년 7월 10일 재단법인 성빈센트 드뽈 자비의 수녀회 유지재단이 일반 외과 전문의 1명과 간호사, 방사선기사 등의 의료진을 갖추어 안산빈센트의원을 개원하였다. 예산은 모두 자체 후원금으로 충...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상공인 권익 보호 단체. 안산상공회의소는 안산 지역 상공업의 종합적인 개선 발전과 국민 경제 및 지역 사회의 균형 성장을 도모함은 물론 상공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다양하고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상공업 발전과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87년 12월 7일 안산상공회의소 설립을 인가 받아 안양상공회의소로부터 분리 독립하였고, 1...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안산상록경찰서는 상록구 지역의 치안 및 질서 유지를 통해 시민의 안전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8년 10월 15일 안산경찰서가 개서하였다. 2002년 11월 안산시가 상록구와 단원구로 재편됨에 따라 2006년 11월 21일 안산상록경찰서가 개서하였다. 2009년 3월 25일 제3대 우문수 서장이 취임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생활체육협의회. 우리나라의 전국 체육 동호인들은 1990년 7월부터 시·군·구 생활체육협의회를 결성하기 시작하였다. 이어 시도 단위의 생활체육협의회 구성을 추진하여 1990년 11월 30일 15개의 시도 생활체육협의회가 결성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국민생활체육협의회는 민간 차원에서 범국민적 체육 활동을 확산하고 다양한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을 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생활체육협의회. 우리나라의 전국 체육 동호인들은 1990년 7월부터 시·군·구 생활체육협의회를 결성하기 시작하였다. 이어 시도 단위의 생활체육협의회 구성을 추진하여 1990년 11월 30일 15개의 시도 생활체육협의회가 결성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국민생활체육협의회는 민간 차원에서 범국민적 체육 활동을 확산하고 다양한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을 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소비자 생활협동조합. 안산생활협동조합은 서로 돕는 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조합원의 생활 개선과 건전한 생활로 지역의 환경을 보호하고, 식품 안전으로 주민들의 건강을 지켜 살기 좋은 지역 사회를 만들고자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안산·시흥 지역의 소비자들이 건강한 먹을거리 구매와 더불어 사는 지역 공동체를 만들기 위하여 설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소비자 생활협동조합. 안산생활협동조합은 서로 돕는 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조합원의 생활 개선과 건전한 생활로 지역의 환경을 보호하고, 식품 안전으로 주민들의 건강을 지켜 살기 좋은 지역 사회를 만들고자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안산·시흥 지역의 소비자들이 건강한 먹을거리 구매와 더불어 사는 지역 공동체를 만들기 위하여 설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는 민주적인 어린이, 스스로 터득하는 창조적인 어린이, 앞길을 펼쳐가는 자주적인 어린이, 심신을 다져가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따뜻한 마음으로 더불어 사는 안산서어린이 육성’이다. 1988년 3월 1일 안산서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9년 3월 1일 특수학급을 설치하였다. 1990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초·기본의 토대 위에 세계로 나아갈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1998년 1월 7일 설립인가를 받고 1998년 3월 1일 안산선일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하였다. 초대 김진두 교장이 부임하였다. 2016년 2월 제18회 졸업식을 통해 107명이 졸업하여 총 3,26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같은 해 3월 1...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과 단원구 원곡동을 연결하는 전철. 안산선은 경기도 군포시의 금정역과 시흥시의 오이도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군포시와 안산시, 시흥시의 주요 지역을 관통한다. 2000년 이후로 일반 안내에는 ‘안산선’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으며, 수도권 전철 4호선[일반적으로 서울 지하철 4호선이라고 한다.]의 일부로서 안내된다. 그러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1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2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복되신 동정마리아의 모친 성 안나’이다. 매년 9월 8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안산성안나성당은 2005년 9월 성마리아성당에서 분당되어 단원구 고잔동 현 위치에서 본당 활동을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일 미사, 평일 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2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성요셉’이다. 매년 7월 1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안산성요셉성당은 2003년 3월 성마리아성당에서 분당되었다. 2007년 7월 1일 상록구 이동 현 위치에 새 성전 봉헌식을 갖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미사 4대, 평일 미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성포도서관은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고품질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제공하는 여건을 조성하여 정보 및 문화교육센터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시민의 정서를 함양하며 문화 수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4년 12월 7일 도서관 건물을 착공하여 1997년 1월 7일 안산시 관산도서관 성포분관으로 직제 승인을 받았다. 1997...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성포동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1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수호성인은 성요한 사도이다. 성포동성당은 그리스도의 정통 교리를 믿으며 이를 실천하고, 나아가 가톨릭교를 선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30일 월피동성당에서 분당되어 현 위치에 성전을 건축하여 봉헌 미사를 올린 후 본당 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질서를 잘 지키고 예절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건전한 정신과 강인한 체력을 키우는 건강인, 학문을 탐구하고 정보화에 앞장서는 창조인, 남을 배려하고 공익을 앞세우는 협동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과 봉사’이다. 2005년 12월 26일 15학급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초대 이상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관세 행정 기관. 안산세관은 국가 기관으로서 기획재정부의 외청인 관세청에 소속되어 있고 인천본부세관의 권역내 세관으로 편제되어 있다. 안산세관은 경기도 안산 지역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세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5년 3월 6일 수원세관 반월출장소로 개소하였다. 1990년 4월 9일 인천본부세관 소속 안산세관으로 승격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세무 행정 기관. 안산세무서는 경기도 안산 지역의 징세 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9년 4월 광명세무서에서 분리하여 안산세무서가 설립되었다. 1995년 2월 관할구역 변경으로 인천세무서에서 안산시 대부동을 인수하였으며, 수원세무서에서 안산시 건건동·사사동·팔곡동을 인수하였다. 1996년 7월 관할구역 변경으로 광명세무서로부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의료 기관. 세화병원은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의료 서비스를 통하여 주민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경기도 안산 지역의 서민적·친화적이고 대중적인 의료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9년 11월 준공식을 가지고 2000년 7월 27일 6개 과로 개원하였다. 2004년 5월 건강증진센터를 개설하였고, 2006년 1월 사업...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산시 관할 소방 행정 기관. 안산소방서는 안산시의 소방 및 재해 관련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2월 반월지구 의용소방대로 발족한 이래, 1986년 안산시 승격에 따라 안산소방서 설치가 승인되었으며, 안산 중부와 원시 2개의 파출소가 설치되었다. 1989년에는 선부파출소가, 1990년 3월에는 일동파출소와 성곡파출소가, 199...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소상공인 지원 센터. 안산소상공인지원센터는 소상공인의 자유로운 기업 활동을 촉진하고 경영 안정을 도모하여 균형 있는 국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2005년 12월 법률 제7743호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 제10조 4항에 의거하여 2006년 6월 소상공인진흥원을 개원하였다. 2007년 12월 16개 시·도와 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저수지. 수암저수지는 1962년 홍수 예방 및 농업용수 공급 등의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이후 정기적인 개수·보수 및 안전 점검 진단을 실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수암저수지의 인가 면적은 22㏊이고, 수혜 면적은 8㏊이다. 한발 빈도는 3년이며, 홍수 면적은 1㏊이다. 수암저수지는 경기도 안산시 수암 지역에 건립된 저수지로서 안산천과 합류하며,...
-
경기도 남서부 해안가에 있는 시. 안산시는 서해안의 공업 도시로 동쪽으로 군포시·의왕시·수원시, 서쪽으로 서해, 남쪽으로 화성시, 북쪽으로 시흥시와 안양시가 이웃하고 있다. 인구는 1986년 시 승격 당시 약 127,000명이었으나 1994년 460,000여 명으로 증가하였고, 2007년 12월 31일 현재 734,713명으로 증가하였다. 안산(安山)이라는 지명에서 알 수 있듯이...
-
경기도 안산시에서 지역 및 농촌 발전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회단체. 4-H는 1914년에 미국에서 처음 조직되었으며 지식[head]·덕성[heart]·근로[hand]·건강[health]을 상징하는 네 영어 단어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들어진 명칭이다. 1920년 무렵에는 유럽 각국에서도 조직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아시아 각국에서도 조직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한국의 경우 1...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과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공원묘지. 안산시 공설 공원묘지로는 꽃빛공원[구 와동 공설 공원묘지]과 하늘공원[구 부곡동 공설 공원묘지]이 있으며, 공설 묘지는 안산시 관내에 14개소가 있다. 안산시에서는 꽃빛공원과 하늘공원이 도시 공원으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깨끗하고 아름답게 정비하고 있다. 최근 장례 문화가 화장 중심의 문화로 확산되면서 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평생교육 기관. 안산시 근로자종합복지관은 전문화된 교육과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관내 모든 근로자 및 시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건전한 직업윤리 및 시민의식 고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진행을 통하여 지역의 산업경제 발전과 올바른 노동문화 정착을 위해 설립되었다. 노동부와 안산시 예산 63억 원이 투입되어 건립되었으며, 2005...
-
경기도 안산시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기독교 단체. 안산시 기독교연합회는 안산여자기독청년회[안산YWCA], 안산기독청년회[안산YMCA] 등과 더불어 안산시의 대표적인 기독교 단체 중 하나이다. 안산시 기독교연합회에서는 매년 안산복음화대성회를 개최하고 있다. ‘안산을 비전과 복음의 도시가 되게 하소서’라는 주제와 ‘이땅에 부흥의 불꽃을’이라는 표어를 가지고 열린 2008년 안산복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농수산물 도매 시장. 안산시 농수산물도매시장은 1998년 개장 이래 거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다. 2007년도 거래 규모는 청과가 물량 68,214M/T, 금액 748억 8300만 원이었고, 수산이 물량 4,576M/T, 금액 111억 7400만 원이었다. 안산시 농수산물도매시장은 농수산물의 유통 구조를 개선하여 공정 거래 질서를 확립하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농업 기술 지원 기관. 안산시 농업기술센터는 ‘농업은 생명이며 농촌은 미래’라는 기치 아래, 지역과 인간을 생각하는 생명 산업의 기초적 토대 구축, 경쟁력 있는 친환경 농업 기반 조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0년 4월 시흥군 소속 안산농촌지도상담소로 개소하였고, 1989년 의왕시 소속이 되었다. 1999년 4월 정원 7명의 안산시 농업기술보급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 축제. 1986년부터 시작된 대부포도 재배는 1987년 시화지구개발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지리적 여건이 좋은 덕분에 대부도에서 생산되는 포도는 해풍에 의한 두터운 과피와 알맞게 기름진 토지에 의한 높은 당도를 가졌으며 저공해 고품질 등으로 상품성이 매우 뛰어나 농가 소득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1994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 축제. 1986년부터 시작된 대부포도 재배는 1987년 시화지구개발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지리적 여건이 좋은 덕분에 대부도에서 생산되는 포도는 해풍에 의한 두터운 과피와 알맞게 기름진 토지에 의한 높은 당도를 가졌으며 저공해 고품질 등으로 상품성이 매우 뛰어나 농가 소득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1994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보육 서비스 기관. 안산시 육아종합지원센터는 안산 지역의 보육 환경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해 설립하였다. 1994년 5월 안산시 보육정보센터로 설립되어 명휘원에 위탁 운영되었으며, 1996년 2월에는 천주교 수원교구에 위탁되었다. 1998년 2월 안산시 보육정보센터 홈페이지를 개설했으며, 1999년 10월 이후로 학교법인 새빛학원이 위탁 운영하고 있...
-
경기도 안산시 관내 사찰들의 협의회 단체. 안산시 불교연합회는 불교 중흥과 포교 사업의 활성화를 기하기 위하여 안산시 관내 불교 사찰의 주지들로 구성된 단체이다. 안산시 불교연합회는 불교 사찰들이 종파를 초월한 단합을 통하여 안산시민들을 위해 봉사하고 불교 관련 행사를 주관하며 불교 포교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3년 창립되었으며, 고려선원 승려 영산이 초대 및 2대...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년 10월에 개최되는 불교단체의 음악 축제. 안산시 불교음악제는 사단법인 안산불교연합회에서 주최하는 음악 축제로, 안산 지역의 불교를 부흥시키고 현대적 불교 음악을 널리 알리는 불심의 대향연이자 안산 시민들에게 문화적 향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1998년 10월 개최되었다. 2004년 제7회 안산시 불교음악제에서는 사단법인 안산불교연합회 부설 안산시 불교합창...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과 고잔동에 있는 산업지원사업소. 안산시 산업지원사업소는 산업 중심 도시인 경기도 안산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기업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1월 5일 안산시 산업지원사업소로 신설되었다. 2008년 2월 22일 「안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의 일부 개정에 따라 외국인 주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노인 복지 기관. 안산시 상록구 노인복지관은 신체적·정신적 노화와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 가정과 사회에서 소외를 겪는 무의탁 노인, 장애 및 영세 노인, 재가 및 일반 노인들의 여가 선용과 심신 건강을 도모하고자 설립되었다. 1997년 10월 4일 안산시 노인복지관으로 개관하였다. 2000년 4월 26일 경로식당을 개소하였고, 2002년 2월 27...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상하수도사업소. 안산시 상하수도사업소는 상수도 및 하수도 시설을 관리하여 경기도 안산 지역에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고 친환경적으로 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0년 10월 30일 도시과 수도계로 수도 사업을 개시하였고, 1983년 12월 1일 수도과로 승격하였다. 1989년 3월 1일 관리사업소가 신설되었다. 1997년 1월 1...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생활체육협의회. 우리나라의 전국 체육 동호인들은 1990년 7월부터 시·군·구 생활체육협의회를 결성하기 시작하였다. 이어 시도 단위의 생활체육협의회 구성을 추진하여 1990년 11월 30일 15개의 시도 생활체육협의회가 결성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국민생활체육협의회는 민간 차원에서 범국민적 체육 활동을 확산하고 다양한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을 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신촌운동장은 1993년 안산시 단원구 와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7,819㎡이다. 축구장·배구장·족구장·농구장·배드민턴장 등의 체육 시설과 화장실·주차장 등의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2016년 현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여성 복지 시설. 안산시 평생학습원 평생학습과 여성비전센터는 여성의 능력 개발과 자아실현을 위하여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저소득 여성의 자립 능력을 배양하여 경제적 자립 기반을 조성하며, 여성의 복지 증진과 사회 참여를 확대하고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1993년 11월 18일 「여성회관 설치조례」를 제정 공포하였고, 같은 해 11월 23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여성 복지 시설. 안산시 평생학습원 평생학습과 여성비전센터는 여성의 능력 개발과 자아실현을 위하여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저소득 여성의 자립 능력을 배양하여 경제적 자립 기반을 조성하며, 여성의 복지 증진과 사회 참여를 확대하고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1993년 11월 18일 「여성회관 설치조례」를 제정 공포하였고, 같은 해 11월 23일...
-
2006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문화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영상 축제. 안산시는 시 승격 20주년을 기념하여 일반 시민과 아마추어 영상 동호인들이 기량을 겨루는 디지털 영상 축제로서, 시민들에게 문화예술 증진의 기회를 제공하며 시 승격 20주년을 맞이하여 축제 분위기를 조성할 목적으로 2006년 10월 21일 안산시 영상페스티벌을 개최하였다. 영상 공모는 일반·대학생부와 중...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장애인 복지 시설. 안산시 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역 장애인에게 전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계몽·홍보 및 조사 연구 등을 통하여 장애인의 복지 향상과 자립 및 사회 통합을 실현하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3월 27일 안산시가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을 수탁 운영 법인으로 선정하였고, 같은 해 4월 21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산하 안산 지역 지회. 안산시 재향군인회는 안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향군과 향군 가족의 복지를 지원하고 권익을 보호하며, 지역 사회에 다양한 봉사 활동을 펼치고자 설립되었다. 1983년 9월 10일 반월지구 재향군인회로 창립한 뒤, 1988년 12월 30일 안산시 재향군인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향군의 날 행사, 6·25전쟁 기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사할린 영주 귀국 동포 지원 기관. 안산시 사회복지과 사할린동포복지담당은 일제에 의해 강제 징용되었던 사할린 거주 한인 동포의 영주 귀국과 주거 관련 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2000년 2월 2일 설립되었다.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생계비 지급, 병의원 통원치료 및 입원자 지원, 물리치료실 운영, 자원 봉사 활동 지원, 체력단련실 운영, 민간단체...
-
경기도 안산시 시정 발전을 위하여 안산시 행정기관 내에 있는 전문가로 구성된 단체. 안산시 지속가능발전위원회는 2007년 9월 28일부터 기존의 21세기안산발전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을 계승하여 21세기를 대비한 안산시의 장기 발전 목표 및 시책 방향을 수립하고 시민 편익 증진을 위하여 행정·관행·제도 개선 등 행정 쇄신에 관한 사항과 주민 고충의 해결 방안 등에 관한 연구와 자문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차량등록사업소. 안산시 차량등록사업소는 자동차 이전 등록 등의 차량 행정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11월 1일 안산시청 시민과의 차량등록업무 개시를 시작으로 하여 1996년 1월 12일 「차량등록사업소 설치 조례」에 의하여 신설되었다. 2009년 2월 조직 개편 시 자동차과태료 전담팀인 체납관리담당이 신설되었다. 안산시 차량등록사...
-
경기도 안산시 성포동에 있는 청소년수련관. 안산시 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을 위한 전문 시설로, 아름다운 자연과 인근의 아파트 단지가 조화를 이루어 생활권 수련 시설로서의 면모가 돋보이는 곳이다. 청소년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시스템을 제공하며, 청소년의 자치와 참여 활동을 기반으로 공공의 커뮤니티를 활성화하여 청소년 전용 시설로서의 역할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체육회. 체육회의 최상위 단체인 대한체육회는 건강한 육체에 건전한 정신을 함양하여 민족정기를 살리자는 취지로 1920년 7월 13일 「국민체육진흥법」 제33조에 의거하여 창립되었다. 현재 대한체육회 산하에는 16개 시도 체육회와 56개 가맹 경기 단체가 소속되어 있고, 경기도 체육회 산하에는 27개 시체육회와 4개 군체육회, 51개 가맹 경기 단...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시청 내 청소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 안산시청 청소행정과는 폐기물 처리 시설·자원 회수 시설 등 경기도 안산시의 생활 폐기물에 대한 청소 행정을 총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경기도 안산시의 인구 증가로 청소 업무의 비중이 높아지자 당초 안산시청 사회과에서 관장하던 청소 행정 업무에 대한 별도의 청소사업소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1996년 1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시낭운동장은 본래 1989년 국제 규정에 맞게 천여 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건립된 대규모 양궁경기장이었다. 그러나 양궁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경기장의 쓰임 또한 줄어들자 안산시에서 상록구 부곡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위하여 시민운동장으로 재건립하였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서 위탁...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산시립예술단 산하 시립 국악단. 안산시립국악단은 안산 시민의 정서 생활 향상과 지역 사회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1996년 10월 창단되었다. 매년 정기 연주회를 비롯하여 청소년과 시민들을 위한 음악회와 국악 강습을 개설하고 있으며 국악을 바탕으로 한 어린이연극, 뮤지컬, 재즈, 영화와의 만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시립 노인 전문 병원. 안산시의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8%를 차지하고 있으며, 노인 인구도 해마다 늘어나 치매나 중풍 등 중증 노인성 질환 유병률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현재 경기도 안산시에는 25개 정도의 노인 장기 요양 시설이 있으나 중증 치매 환자의 입원이 가능한 전문 시설은 민간 의료 기관 6개소에 불과하며, 나머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노인 요양 시설. 한국 사회가 급속히 고령화되면서 치매나 중풍 등의 노인성 질환으로 인하여 장기적인 요양 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이 늘어나고 있으나 개인이나 가정에 의한 요양 보호는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 활동 확대 등으로 이미 한계에 이른 상태이다. 이에 안산시는 2005년 6월 9월 요양이 필요한 저소득층 노인과 고령으로 자활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시립 예술단. 안산시립예술단은 첨단산업과 문화예술의 도시라는 슬로건을 표방하고 있는 안산시가 설립한 안산시립국악단과 안산시립합창단의 공연에 대한 지원과 효율적인 관리 감독을 위해 조직된 단체이다. 안산시립예술단은 안산 시민의 정서 생활 향상과 지역 사회의 문화예술 발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시립예술단은 안산시립합창단과 안산시립국악단으로 구성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산시립예술단 산하 시립 합창단. 안산시립합창단은 안산 시민의 정서 생활 향상과 지역 사회의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1995년 4월 6일 창단되었다. 1995년 창단 이래 30회가 넘는 정기 연주회와 세계합창축제, 지방 연주 등을 통해 전국적 호응을 받고 있다. 또한 24장의 CD를 발매하였고 KBS 등의 방송 매체 출연과 2008년 2월 대통령...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소비자 생활협동조합. 안산생활협동조합은 서로 돕는 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조합원의 생활 개선과 건전한 생활로 지역의 환경을 보호하고, 식품 안전으로 주민들의 건강을 지켜 살기 좋은 지역 사회를 만들고자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안산·시흥 지역의 소비자들이 건강한 먹을거리 구매와 더불어 사는 지역 공동체를 만들기 위하여 설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주)주간안산에서 발행하는 지역 주간 신문. 『안산시민신문』은 시민들을 섬기며 나라와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언론, 시민들을 혹세무민하지 않고 오로지 정의와 진실에 입각해 지역 발전과 시민 화합을 위해 묵묵히 앞장서는 언론, 표리부동하지 않고 불편부당하게 사물과 현상을 이해하고 여론을 바로 전달하는 데 충실한 언론, 스스로 권력화·특권화하지 않고 정...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년 10월에 개최되는 불교단체의 음악 축제. 안산시 불교음악제는 사단법인 안산불교연합회에서 주최하는 음악 축제로, 안산 지역의 불교를 부흥시키고 현대적 불교 음악을 널리 알리는 불심의 대향연이자 안산 시민들에게 문화적 향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1998년 10월 개최되었다. 2004년 제7회 안산시 불교음악제에서는 사단법인 안산불교연합회 부설 안산시 불교합창...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로에 있는 안산와~스타디움에서 열리는 시민 축제. 안산시민의 날 행사는 1986년 1월 1일 반월출장소에서 안산시로 승격한 것을 기념해 10월에 처음 열린 이후로, 매년 10월 안산시민의 날 기념식[시청 대회의실]과 시민체육대회[시낭운동장, 구 양궁경기장]를 별도로 열고 있다. 이후 안산시는 2002년 11월 1일 상록구와 단원구를 설치하고 제17회 안산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시민공원은 1989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주민은 물론 반월공업단지와 시화공업단지 방문객들의 여가 선용에 기여하기 위하여 안산시 최초의 공원으로 건립되었다. 총 면적은 469,608.6㎡이며, 배드민턴장·국궁장 등의 운동 시설과 어린이놀이터·화장실·주차장·각종 의자 등의 휴게 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서해의 낙조와 해무를 볼 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안산문화원 소속 시사 편찬 위원회. 안산시사편찬위원회는 『안산시사』 편찬을 위한 자료 수집 및 조사 연구, 집필 위원 선정, 원고의 심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5년 11월 안산시의 위탁을 받아 안산문화원에 안산시사편찬위원회를 설치하였다. 1995년 1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연구 활동을 통하여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안산시의 역사와 문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종합버스터미널. 안산종합여객자동차터미널은 1995년 안산 지역 주민의 교통 편익은 물론 각종 물품을 편리하게 운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95년 3월 17일 여객자동차터미널 사업면허를 취득하여 영업을 개시하였다. 1996년 12월 13일 터미널 내 주유소 건물을 준공하였다. 2004년 7월 22일 터미널 편익 시설 건축 허가를 취득하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지방 자치 단체의 사무를 심의·의결하는 기구. 안산시의회는 안산 지역 주민에 의해 선출된 의원을 구성원으로 하는 시민의 대표 기관으로 안산시의 의사를 결정하고 집행 기관을 감시하는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52년 5월 10일 첫 지방의회 의원 선거를 통하여 지방 자치제가 시행되었으나 1961년 5월 16일 군사정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산시 관할 행정기관. 안산시청은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안산시의 지방자치 행정을 총괄하는 행정기관을 의미하나 간혹 그 행정기관이 소재하는 건물, 즉 시 청사(廳舍)를 뜻하기도 한다. 안산시청은 안산시의 지방 행정 사무 전반과 국가와 경기도로부터 위임받은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6년 정부의 반월신공업도시 건설 계획 발표와 「반월도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안산시청 소속 씨름부. 안산시청 씨름부는 엘리트 체육인 육성 및 스포츠 마케팅 활성화를 통하여 경기도 안산시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2005년 12월 30일 감독 1명, 코치 1명, 선수 6명으로 창단되었다. 안산시청 씨름부에서는 국내 전국대회 및 민속대회 출전을 목표로 훈련에 전념하고 있다. 안산시청 씨름부는 국내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안산시청 소속 유도부. 안산시청 유도부는 엘리트 체육인 육성 및 스포츠 마케팅 활성화를 통하여 경기도 안산시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2005년 12월 30일 창단되었다. 안산시청 여자유도부에서는 국내 전국대회 및 국제대회 출전을 목표로 훈련에 전념하고 있다. 안산시청 여자유도부 선수 조현주가 2008년 전국실업유도선수권대회 개인전 78㎏...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안산시청 소속 육상선수단. 안산시청 육상선수단은 엘리트 체육인 육성 및 스포츠 마케팅 활성화를 통하여 경기도 안산시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시청 육상선수단은 1986년 1월 1일 여자부로 창단되었으며, 2007년 창던지기 종목의 선수 정상진 등 남자 선수를 영입하여 남녀 2개 팀으로 증설하였다. 안산시청 육상선수단에서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안산시청 소속 육상선수단. 안산시청 육상선수단은 엘리트 체육인 육성 및 스포츠 마케팅 활성화를 통하여 경기도 안산시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시청 육상선수단은 1986년 1월 1일 여자부로 창단되었으며, 2007년 창던지기 종목의 선수 정상진 등 남자 선수를 영입하여 남녀 2개 팀으로 증설하였다. 안산시청 육상선수단에서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안산시청 소속 탁구선수단. 안산시청 탁구선수단은 엘리트 체육인 육성 및 스포츠 마케팅 활성화를 통하여 경기도 안산시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시청 탁구선수단은 1989년 1월 1일 여자부로 창단하였으며, 2005년 남녀 2개 팀으로 증설하였다. 안산시청 탁구선수단에서는 국내 전국대회 및 국제대회 출전을 목표로 훈련에 전념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안산시청 소속 탁구선수단. 안산시청 탁구선수단은 엘리트 체육인 육성 및 스포츠 마케팅 활성화를 통하여 경기도 안산시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시청 탁구선수단은 1989년 1월 1일 여자부로 창단하였으며, 2005년 남녀 2개 팀으로 증설하였다. 안산시청 탁구선수단에서는 국내 전국대회 및 국제대회 출전을 목표로 훈련에 전념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안산시청 소속 펜싱부. 안산시청 펜싱부는 엘리트 체육인 육성 및 스포츠 마케팅 활성화를 통하여 경기도 안산시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시청 펜싱부는 2005년 12월 30일 여자부로 창단되었으며, 2007년 12월 남녀 2개 팀으로 증설하였다. 안산시청 펜싱부에서는 각종 국내 대회 및 국제대회 출전을 목표로 훈련에 전념하고...
-
경기도 안산시에서 관광객들에게 보다 저렴한 비용과 빠른 시간 안에 안산의 유명 관광지를 둘러 볼 수 있게 마련한 관광 서비스. 안산시티투어는 문화 관광 도시로서의 안산시를 효율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관광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안산시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정기 및 체험, 테마투어로 나뉜다. 1. A코스 중앙역 광장 출발[10:00] → 성호박물관 및...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식물원. 안산식물원은 1999년 안산시가 시민들의 자연 생태계 체험 편의를 목적으로 건립하였다. 1999년 열대전시관을 개관하였다. 2002년 중부전시관·남부전시관 확충 공사 및 시설물 보완을 하였다. 2004년 외부 조경 공사를 하였고, 2005년 사무실 리모델링을 실시하였다. 2006년 진경산수 조성 공사를 실시하였고, 2007년부터 3개 전시...
-
경기도 안산 지역 일대를 대상으로 한 신도시 건설 계획. 안산신도시계획은 수도권 내에 부족한 산업용지와 주거 공간 확보를 위하여 1977년부터 반월특수지역을 대상으로 추진된 신도시 건설 계획으로 1, 2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안산신도시 1단계 사업은 계획면적 49.75㎢에 계획인구 30만 명[현재 60만 명], 유치 공장수 1,000개[현재 3,000개]로 사업비 6,551억 원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주)안산신문에서 발행하는 지역 주간 신문. 『안산신문』은 1989년 4월 26일 안산 지역 최초의 주간신문으로 창간되었으며, 당시 타블로이드판 8면으로 발행을 시작하였다. 판형은 표준판[B3]으로 국한문 혼용이다. 주 발행면수는 12면이며, 매주 수요일 발행하고 있다. 정치 및 시사를 포함하고 있는 시정 현안뿐 아니라 경제, 교육, 사회, 문화, 체육...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신촌운동장은 1993년 안산시 단원구 와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7,819㎡이다. 축구장·배구장·족구장·농구장·배드민턴장 등의 체육 시설과 화장실·주차장 등의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2016년 현재...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이자 서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여정(汝正), 호는 연객(烟客)·초선(草禪)·구도(舊濤). 증조부는 지평 허열(許悅)이다. 허필은 1735년(영조 11)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과 시·서·화에 전념하여 삼절(三絶)로 불렸다. 함께 교유한 이용휴(李用休), 이광환(李匡煥), 유경종(柳慶種), 강세황(姜世晃), 조중보(...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연(聖淵), 호는 석북(石北)·오악산인(五嶽山人).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신호(申澔), 어머니는 이휘(李徽)의 딸, 처는 해남윤씨(海南尹氏)로 윤두서(尹斗緖)의 딸이다. 신광수는 문장으로 뛰어난 강박(姜樸)과 학행과 시문으로 잘 알려진 이덕주(李德冑)의 문하에 출입하였다. 가문이 남인인 때문에 초년부터 관직 진출이...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덕조(德祖), 호는 해암(海巖). 할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역임한 유명현(柳命賢), 아버지는 성균진사였던 유뢰(柳耒), 어머니 사천목씨(泗川睦氏)로 목임일(睦林一)의 딸이다. 유경종의 가문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남인계 가문으로 조부대의 유명천(柳命天), 유명현, 유명견(柳命堅), 유명전(柳命全)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삭녕(朔寧). 자(字)는 길보(吉甫) 또는 덕응(德膺). 아버지는 통덕랑을 지낸 최정서(崔廷瑞)이다. 형이 최인유(崔仁裕)이고 조카가 최경(崔炅)이다. 최인우(崔仁祐)는 1741년(영조 17) 31세에 식년시 진사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안산에 머물렀다. 함께 교유한 이용휴(李用休), 이광환(李匡煥), 유경종(柳慶種), 강세...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의숙(儀叔), 호는 화천(花川).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경익(李景翼)이다. 이수봉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33년(영조 9) 진사가 되었고, 1740년(영조 16) 문과에 급제한 뒤 지평, 정언, 장령, 헌납, 사간, 집의 등을 역임하였다. 재직 시 평안병사 이일제(李日躋)가 성을 쌓을 때 백성들한테 재물을...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거(聖居), 호는 저암(樗庵). 할아버지는 신회(申澮), 아버지는 신경순(申景洵)이다. 신택권은 1782년(정조 6) 10월 일차유생전강(日次儒生殿講)에 참여하였고, 1785년에는 창릉참봉에 제수되었다. 1787년에는 사재감봉사에 제수되었으며 이후 사옹원에서 재직하였다. 함께 교유한 이용휴(李用休), 엄경응(嚴慶膺...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안골운동장은 1993년 안산시 상록구 일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5,592㎡이다. 축구장·농구장·배구장·족구장 등의 체육 시설과 체력 단련 시설을 갖추고 있다. 기타 편의 시설로 화장실·주차장 등이 마련되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 바르고 서로 돕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꿈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씩씩하며 즐겁게 공부하는 양진어린이’이다. 2001년 3월 2일 개교하였으며, 같은 해 3월 14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5월 30일 컴퓨터실을, 7월 30일 과학실·음악실·공작실을 설치하였다...
-
조선 전기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사옹원의 분원. 사옹원(司饔院)은 조선시대 임금의 식사와 대궐 안의 식사 공급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이다. 계절에 따라 생산되는 과일이나 농산물을 신주를 모신 사당이나 제단에 올려 먼저 차례를 지내거나 지방 특산물을 왕에게 올리는 것을 관장하여 온 사옹방(司饔房)이 1467년(세조 13)에 사옹원으로 개편되어 비로소 녹관(...
-
조선 전기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사옹원의 분원. 사옹원(司饔院)은 조선시대 임금의 식사와 대궐 안의 식사 공급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이다. 계절에 따라 생산되는 과일이나 농산물을 신주를 모신 사당이나 제단에 올려 먼저 차례를 지내거나 지방 특산물을 왕에게 올리는 것을 관장하여 온 사옹방(司饔房)이 1467년(세조 13)에 사옹원으로 개편되어 비로소 녹관(...
-
조선 후기 오광운이 경기도 안산어소에 사옹원봉사로 부임하는 동생을 보내며 지은 한시. 약산(藥山) 오광운(吳光運)[1689~1745]은 전 안산군수 이병연(李秉淵)과 함께 남인시단(南人詩壇)의 맥을 이어 갔던 시인이자 학자이다. 「안산어소-이월 들자 어장의 물고기들 점차 살이 오르고」는 오광운의 문집인 『약산만고(藥山漫稿)』권4에 실려 있는 작품으로, 원래 제목은 「아우를 보내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어촌민속박물관. 안산어촌민속박물관은 안산 어촌 지역의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 민속과 어업 문화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 안산 지역의 새로운 관광 소득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관하였다. 안산시가 경기도 어촌관광종합개발사업과 연계하여 2006년 3월 11일 안산시립어촌민속전시관으로 개관하였다. 2007년 2월 16일 제1종 전...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은거하던 강희영이 지은 한시. 강희영(姜羲永)[1796~1867]은 강준흠(姜浚欽)[1768~?]의 둘째 아들로, 1843년(헌종 9) 사마시에 급제하여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과 경산현령을 끝으로 벼슬에서 물러나 안산 지역에 내려와서 살았다. 안산은 선조인 강희안(姜希顔)과 강희맹(姜希孟)이 생존해 있을 때부터 별장이 있었던 곳이다. 더욱이 할아버지...
-
풍도에서는 52세대가 채 되지 않는 11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데, 이들의 생활권은 대부분 안산시가 아닌 인천광역시이다. 모든 생활필수품을 인천에서 구입하고 은행이나 의료 서비스도 인천을 이용한다. 무엇보다 초등학교를 마친 자녀들은 중학교부터는 인천에 가서 배우며 성장한다. 이 때문에 자녀 교육을 위해 인천에 주택을 마련하여 이중생활을 하는 형편이다. 대부분 자녀를...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년 5월 개최되는 항공 축제. 경기안산항공전은 2009년 국제레저항공전으로 시작되었다. 고부가가치 지식기반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항공레저산업의 성장 비전을 제시하고 항공레저 관광벨트를 조성하고 항공 여가 신상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2009년 처음 개최되었다.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90블록 챔프장경기장에서 2009년 5월 1일부터 5월 5일까지 5일간 개최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매년 여름마다 열리는 공연 축제. 안산여르미오페스티벌은 2004년 처음 개최된 이래 매년 8월 여름 무더위를 책임지는 안산의 대표적 여름문화상품이다. 이 축제는 ‘어떻게 하면 낭비하지 않고 생산적인 여름휴가를 즐길까’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재즈, 뮤지컬 및 다양한 체험 공연 등을 제공해 줌으로써 한여름 밤 무더위를 식혀주는 도심 속 문화 콘서트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매년 여름마다 열리는 공연 축제. 안산여르미오페스티벌은 2004년 처음 개최된 이래 매년 8월 여름 무더위를 책임지는 안산의 대표적 여름문화상품이다. 이 축제는 ‘어떻게 하면 낭비하지 않고 생산적인 여름휴가를 즐길까’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재즈, 뮤지컬 및 다양한 체험 공연 등을 제공해 줌으로써 한여름 밤 무더위를 식혀주는 도심 속 문화 콘서트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의 직업 지위는 매우 낮으며 특히 저소득층 여성의 경우에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진다. 기혼 여성들은 임시 일용직 등 불안정한 고용 형태의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이 주로 고용되어 있는 중소기업 및 소기업체에서의 기업 복지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여성 근로자의 고용의 질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고용...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산 지역 여성 노동자 권익 보호 단체. 안산여성노동자회는 안산 지역 여성 노동자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평등을 이루어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고 건강한 지역 사회의 일원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도록 인권 사업을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1997년 10월 4일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 안산지역사무소를 설치하였다. 1998년 4월 16일 중소기업 중장년 여성근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여성 직업 전문 훈련 기관. 안산여성인력개발센터는 여성의 능력 및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2000년 3월 28일 ‘일하는 여성의 집’으로 안산YWCA가 위탁 신청을 하고, 2000년 9월 7일 안산YWCA ‘일하는 여성의 집’ 개관 추진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2001년 5월 일하는 여성의 집에서 여성인력개발센터로 명칭이 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사립 전문계 고등학교. 늘 푸른 상록수 샘골에서 단원 김홍도(金弘道)의 예술혼과 최용신(崔容信)의 애국애족하는 교육 정신을 계승하고 성실·근검·인애의 정신과 수준 높은 문화의 힘을 갖춘 교육을 통하여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1년 7월 15일 안산여자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3년 3월 1...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수도권 광역 지하철 과천-안산선의 종착역.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이 개통됨에 따라 설치된 금정~안산 구간의 종착역으로서 개통되었다. 본래는 원곡역으로써 수인선의 유일한 운전취급역으로 교행이 이루어졌으나, 과천-안산선 개통 이후 안산역으로 개칭되었다. 1937년 8월 6일 수인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 1977년 9월 1일 화물, 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었던 영어 교육 기관. 경기영어마을은 교육, 체험, 놀이를 바탕으로 하는 체계화된 영어 학습 과정의 도입과 운영을 통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영어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성된 영어 체험 마을이다. 2003년 4월 설립된 재단법인 경기영어마을에서 조성하기 시작하여 안산캠프, 파주캠프, 양평캠프 등 총 3개의 캠프가 운영되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문화 체육 시설. 안산올림픽기념관은 친절하고 투명한 시설 대관 업무를 추진하며, 다양한 취미 교실을 운영하여 시민의 여가 선용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시설물을 이용하도록 노력하고 있는 경기도 안산의 대표적인 문화 체육 시설이다. 안산올림픽기념관은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념하고, 온 국민의 성원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실내 수영장. 안산올림픽수영장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념하는 것과 더불어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총 면적은 20,933㎡이다. 수영장 국제 규격인 50mx10레인을 갖추었으며, 별도로 면적 113.5㎡, 수심 0.6m인 유아용 풀장이 시설되어 있다. 부대시설로 스타트렉·전광판·락...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종합경기장. 안산와~스타디움이라는 명칭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경기장 시민들의 화합의 목소리인 ‘와~’, ‘Welcome to Ansan’, 세계적인 도시 ‘World Ansan’, 대부도로 대표되는 ‘Wine Ansan’, 녹색 친환경 도시 ‘Wood Ansan’, 승리자 안산 ‘Winner Ansan’, 여성의 도시 ‘Women An...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배드민턴장. 배드민턴은 가장 대표적이고 대중화된 생활체육 종목으로,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는 배드민턴전용경기장이 설치되어 있어 인근 주민의 여가 활동 및 체력 증진에 도움을 주고 있다. 와동배드민턴전용경기장은 2005년 11월 배드민턴 동호인의 저변 확대 및 시민 건강 증진을 도모할 목적으로 안산시에서 총 사업비 26억 7400만 원을 들여 조성하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종합경기장. 안산와~스타디움이라는 명칭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경기장 시민들의 화합의 목소리인 ‘와~’, ‘Welcome to Ansan’, 세계적인 도시 ‘World Ansan’, 대부도로 대표되는 ‘Wine Ansan’, 녹색 친환경 도시 ‘Wood Ansan’, 승리자 안산 ‘Winner Ansan’, 여성의 도시 ‘Women An...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었던 외국인 근로자 지원 기관. 안산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는 외국인 최대 밀집 지역인 안산·시흥을 중심으로 경기 남부 지역의 외국인 고용 사업장 고용주와 외국인 근로자들의 고충과 갈등을 해결하고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국 사회에서 차별받지 않고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산업 현장의 평화를 실현하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사)안산이주민센터로 문을 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용하운동장은 2003년 안산시 상록구 사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0,143㎡이다. 풋살구장·게이트볼장·롤러광장·배드민턴장 등의 체육 시설과 각종 운동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2009년 현재 관리자는 안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산시 관할 우편, 체신, 금융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서 체신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과 5급 우체국은 총괄국으로서 기초 자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운전면허시험장. 안산운전면허시험장은 각종 차량의 운전면허시험과 면허 관련 민원 업무 및 신규 응시자의 교통안전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0년 1월 경찰청 산하 책임 운영 기관으로 운전면허시험관리단이 창단되었으며, 운전면허시험관리단 산하로 안산운전면허시험장이 설립되었다. 1종대형면허·1종보통면허·특수[레커 및 트레일러]면허·2종보통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바른 생활을 실천하는 어린이, 슬기롭게 생각하며 미래를 열어가는 어린이, 건강하게 자라고 즐겁게 생활하는 어린이, 근검절약하고 협동하는 어린이, 꿈을 갖고 소질과 재능을 키우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며 슬기롭고 씩씩하게’이다. 1955년 6월 1일 풍곡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0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원시운동장은 1981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지역 주민은 물론 인근 공업단지 근로자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2008년 5월 축구장을 인조 잔디로 보수하였다. 총 면적은 23,703㎡이다. 가로, 세로 105mx68m의 축구장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의 읍성 및 관아 터. 안산읍성 및 관아지는 1989년 안산동장 장혁순과 시흥시청의 이승언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1990년 6월부터 8월까지 한양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규모와 성격이 확인되었다. 이후 1999년 7월 26일부터 11월 22일까지 수원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하였고, 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의 읍성 및 관아 터. 안산읍성 및 관아지는 1989년 안산동장 장혁순과 시흥시청의 이승언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1990년 6월부터 8월까지 한양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규모와 성격이 확인되었다. 이후 1999년 7월 26일부터 11월 22일까지 수원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하였고, 2...
-
반월공단과 시화공단이 들어서 있는 안산시는 다른 말로 이주민의 도시이다. 대규모 공단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넓은 공간이 필요했고, 이는 그 공간 위에 터를 잡고 살던 사람들의 이주를 전제로 하였다. 지금의 원곡동 역시 반월공단 조성 때 원주민을 수용할 이주 단지로서 조성된 지역이었다. 당시 원주민 이주 단지로 반월 신도시의 주거 지역 내에 7개소가 마련되었고, 사업...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는 의료생활협동조합.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 주민들이 출자하여 의료기관을 설립·운영하면서 보건예방이나 건강 증진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건강한 주민 공동체를 지향하는 자율적인 주민 자치 조직이다. 안산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안산 지역의 주민과 의료인이 협동하여 가족이나 이웃의 의료 및 건강 생활의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면서 지역 사회의 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는 의료생활협동조합.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 주민들이 출자하여 의료기관을 설립·운영하면서 보건예방이나 건강 증진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건강한 주민 공동체를 지향하는 자율적인 주민 자치 조직이다. 안산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안산 지역의 주민과 의료인이 협동하여 가족이나 이웃의 의료 및 건강 생활의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면서 지역 사회의 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지구 환경 보전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민관 협력 단체. 1992년 6월 3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지구 환경 보호의 기본 원칙인 ‘리우선언’과 21세기를 향한 세부 실천 계획인 ‘의제21’을 확정 채택하였다. ‘리우선언’은 지구 환경 보전을 위한 각 국가들의 행동 원칙을 광범위하게 정한 것이며 ‘의제21’은 환경...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이동공원은 2003년 안산시 상록구 이동 지역 주민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28,710㎡이다. 운동장·광장·산책로 등과 농구장·족구장·철봉대·평행봉 등의 각종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기타 편익 시설 및 휴양 시설로 음수대·파고라·의자 등이 설치되어 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일동공원은 라스베이거스공원이라고도 불린다. 미국의 라스베이거스 시에도 안산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일동공원은 미국과 한국 간의 국제 교류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1987년 경기도 안산시와 미국의 라스베이거스 시가 자매결연을 맺었는데, 일동공원은 이를 기념하는 것과 더불어 안산시 상록구 일동 지역 주민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장화운동장은 1997년 안산시 상록구 사동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9,744㎡이다. 축구장·족구장·농구장·테니스장 2면 등의 체육 시설과 주차장·관리사무소 등이 마련되어 있다. 2016년 현재 관리자는 안산도시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저널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지역 주간 신문. 『안산저널』은 2001년 2월 7일 인터넷 신문으로 출발하여 2004년 2월 7일 주간 신문으로 발행하게 되었다. B3의 표준 판형으로 매주 목요일에 발행되며, 발행 면수는 8~12면이다. 지면은 시정 현안 및 정치ㆍ문화ㆍ생활ㆍ교육 등 다양한 안산 지역 관련 소식들로 구성되며, 시민 권익 옹호와 더불어 인권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전망대공원은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과 단원구 초지동 사이에 위치한 산에 자리 잡고 있다. 서해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공단전망대]가 있어서 전망대공원이라 불린다. 안산 시민과 방문객에게 반월공업단지와 안산신도시, 시화호 등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산 지역 관광 활성화와 안산 지역 자치단체 이미지를 높이고자 전망대를 조성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점섬운동장은 1996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같은 해 유럽풍 현대식 스틸하우스 공법을 도입한 위생화장실을 설치하였다. 총 면적은 10,657㎡이다. 축구장·배드민턴장·농구장 등의 체육 시설과 연단·...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안산정론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지역 주간 신문. 『안산정론신문』은 생활 정보 신문인『안산벼룩시장』이 모기업으로, 중앙 일간지의 취재 한계를 보완하며, 지역 언론의 발전을 위하여 1997년 3월 25일 주간 신문으로 창간되었다. 『안산정론신문』은 B3의 표준 판형으로 주 발행 면수는 12면이다. 지면은 정치, 종합, 지역 경제, 지역 사회, 문화/스포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었던 고교 과정 특수학교. 청렴한 인간 교육, 기본 실력의 향상, 정보화 사회 교육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어려움을 이겨내는 힘을 기르자’, ‘내 힘으로 살아가는 지혜를 갖자’, ‘착하고 부지런한 인격을 닦자’이다. 1983년 11월 1일 반월복지실업학교로 개교하여, 초대 김진영 교장이 취임하였다. 1986년 1월 22일 문교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2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안산제일교회는 ‘복음 들고 전도를! 정성 들고 건축을!’이라는 표어와 ‘십자가를 지고 말씀으로 산다’라는 목회 방침 아래 활동하고 있는 교회이다. 1962년 12월 30일 인천제일장로교회의 후원으로 초대 교역자인 현승종 전도사가 중심이 되어 김성춘, 오성순 가족 등이 모여 김창률 외 3인이 헌납한 초가삼간에서 진흥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대한예수장로회 소속의 교회. 안산조선족교회는 서울조선족교회의 안산 지역 교회이다. 서울조선족교회는 사기 피해를 입은 조선족 동포를 돕는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집행위원장이었던 서경석 목사가 2000년 6월 6일 갈릴리교회를 빌려 약 20여 명의 국내 체류 조선족과 함께 예배를 보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안산에서 서울조선족교회가 위치한 서울특별시 구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종합버스터미널. 안산종합여객자동차터미널은 1995년 안산 지역 주민의 교통 편익은 물론 각종 물품을 편리하게 운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95년 3월 17일 여객자동차터미널 사업면허를 취득하여 영업을 개시하였다. 1996년 12월 13일 터미널 내 주유소 건물을 준공하였다. 2004년 7월 22일 터미널 편익 시설 건축 허가를 취득하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종합버스터미널. 안산종합여객자동차터미널은 1995년 안산 지역 주민의 교통 편익은 물론 각종 물품을 편리하게 운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95년 3월 17일 여객자동차터미널 사업면허를 취득하여 영업을 개시하였다. 1996년 12월 13일 터미널 내 주유소 건물을 준공하였다. 2004년 7월 22일 터미널 편익 시설 건축 허가를 취득하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안산시는 안산시청 뒤에 있는 야산을 산책과 운동·삼림욕이 가능한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을 수립하여 1997년 중앙공원을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417,745㎡이다. 10,000여 본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으며, 다목적운동장·배드민턴장 등의 운동 시설과 정자·어린이놀이터·전망대·매점 등의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산책로 중간에는 약수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안산중앙도서관은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고품질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제공하는 여건을 조성하여 정보 및 문화교육센터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시민의 정서 함양과 문화 수준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2004년 2월 27일 도서관 건립 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 2월 14일 준공하고 2006년 7월 21일 개관하였다. 2008년 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감골도서관은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고품질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정보 및 문화교육센터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동시에 시민의 정서함양과 문화수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7년 7월 31일 개관하였다. 2005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내 최초로 한우리 독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관산도서관은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고품질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정보 및 문화교육센터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동시에 시민의 정서 함양과 문화 수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4월 9일 도서관 공사를 착공, 1993년 4월 9일에 준공했으며, 1993년 7월 30일에 관산도서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공공 의료 기관. 근로복지공단 안산병원은 안산 및 시화공업단지 종사 근로자 및 지역 주민의 건강 관리와 중도 산업 재해 및 직업성 질환의 효율적인 치료를 통해 근로자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5년 5월 21일 100병상·6개 진료과 규모의 반월병원으로 개원하였다. 1994년 1월 1일 안산중앙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5...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 바르고 착한 일을 하는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며 행동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튼튼한 몸과 마음을 키우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86년 3월 1일 중앙국민학교로 설립되었으며 초대 황노성 교장이 부임하였다. 1988년 6월 14일 학교 급식을 실시하였으며 1995년 12월 27일 유아방...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애국심과 민주시민 정신이 투철한 학생, 과학적인 사고로 진리를 탐구하는 학생, 근검절약하여 봉사 활동하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전한 학생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게, 굳세게, 부지런하게’이다. 1949년 9월 2일 안산고등공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66년 12월 27일 학교법인 안산학원이 설립 인가됨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건축 전문가 단체. 안산지역건축사회는 건축사의 품위 보전, 권익 옹호, 업무 개선 및 건축 기술의 연구 개발을 통해 건축물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건축 문화 발전 및 공익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1984년 7월 4일 안산시 건축사 20여 명이 안산시 건축사회를 창립하고 회칙을 제정하였다. 1987년 11월 11일 경기도건축사회에 지역 건축사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산하 안산 지역 협의회. 안산지역사회교육협의회는 각종 교육 기관 및 단체의 지역 사회 교육 활동을 후원하고 발전시키며, 지역 사회 교육 운동 정신에 따라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육, 문화, 예술 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함으로써 주민, 가정, 학교, 지역 사회의 성장과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미국 미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세계 인류의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는 희망 진흥 학교를 교육목표로 하여 바른 인성의 바탕 위에 나에게 유익한 정보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여 세계 속에 한국을 심어 가는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교훈은 ‘열린 마음, 바른 행동, 알찬 학력’이다. 안산진흥초등학교는 2003년 1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차량등록사업소. 안산시 차량등록사업소는 자동차 이전 등록 등의 차량 행정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11월 1일 안산시청 시민과의 차량등록업무 개시를 시작으로 하여 1996년 1월 12일 「차량등록사업소 설치 조례」에 의하여 신설되었다. 2009년 2월 조직 개편 시 자동차과태료 전담팀인 체납관리담당이 신설되었다. 안산시 차량등록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시민 의식을 가지고 남을 배려하는 도덕인, 기초가 튼튼하고 창의력이 있는 탐구인, 소질을 가꾸고 미래를 개척하는 창조인,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아끼는 문화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새롭게, 알차게, 참되게’이다. 2006년 12월 31일 설립인가를 받아, 2007년 3월 1일 11학급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윤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수암봉에서 발원하여 양상동·월피동·성포동·고잔동 등을 지나 시화호로 흘러드는 하천. 안산천은 안산군의 관아가 있던 안산마을을 지나는 하천으로 안산의 명칭을 붙인 하천이다. 조선시대에는 서해 갯벌 물이 이 곳까지 이르렀다 하여 개교천(介橋川)이라 하였다. 안산천은 수암동 수암봉에서 발원하여 개다리를 지나 양상동·월피동·성포동·고잔동 등을 거쳐 시화호를 통...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한국청년회의소 산하 안산 지역 지부. 안산청년회의소는 시대적·사회적 사명을 자각하는 청년들의 의지와 정열을 한데 모아 자주적·자립적·자발적 실천력으로 복지 사회 건설과 세계 평화를 이룩하고자 설립된 한국청년회의소의 목적과 이념을 안산 지역에서 실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청년회의소는 1980년 8월 창립된 이래 한국청년회의소의 소명에 동의하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도덕인], 슬기롭게 생각하는 어린이[창의인], 취미와 소질을 살리는 어린이[자주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지혜로워라, 날로 새로워라, 바르고 힘차거라’이다. 안산청석초등학교는 2006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12학급으로 편성하였고, 초대 나병권 교장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시설. 안산청소년문화의집은 지역 내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과 만남의 공간 제공을 통해 청소년들이 주체가 되는 다양한 문화 활동을 지원하고 청소년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적 기능의 청소년 문화 시설을 조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안산 지역 청소년들에 대한 열린 독서실, 인터넷·비디오부스, 노래·음악·댄스 연습실, 공연장,...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생각하는 어린이[사고·창의·판단], 예절 바른 어린이[충효·근면·예절], 건강한 어린이[건강·정의·인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푸른 꿈을 가꾸는 활기찬 안산 어린이’이다. 1899년 안산군수 남계술(南啓述)이 군립(郡立) 안산소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하였고, 1908년 4월에는 안산군내 유지들이 2백여원의 성금을 모...
-
1769년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은거한 김백련이 지은 한시. 초가(草家) 김백련(金百鍊)[1707~1795]은 사마시에 급제한 후 과천현감과 교하군수를 지낸 후, 세상과 뜻이 맞지 않아 일찍 은퇴하고 안산에 돌아와 평생을 한사(寒士)처럼 살면서 시주(詩酒)만을 즐겼다고 한다. 「안산추일(安山秋日)」은 김백련의 필사본 시집 『초가선생유고초(草家先生遺稿抄)』에 실려 있는 오언절구이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서 열렸던 컴퓨터 관련 박람회. 안산컴퓨터페스티벌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IT, CT에 대한 관심도 제고 및 온 가족이 참여해 세대간·계층간 장벽을 허물며 다양한 콘텐츠 산업의 거점을 마련하고 e-스포츠의 건전한 육성과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기 위해 개최되었다. 안산컴퓨터페스티벌은 2000년 10월 12~14일 3일간 올림픽기념관에서 열린 이래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시청 내 청소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 안산시청 청소행정과는 폐기물 처리 시설·자원 회수 시설 등 경기도 안산시의 생활 폐기물에 대한 청소 행정을 총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경기도 안산시의 인구 증가로 청소 업무의 비중이 높아지자 당초 안산시청 사회과에서 관장하던 청소 행정 업무에 대한 별도의 청소사업소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1996년 1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산타임스에서 발행하는 지역 주간 신문. 『안산타임스』는 ‘깨끗한 신문, 지역 사회 여론을 여과 없이 수렴해 지역 발전을 이끌어가는 언론사’를 목표로 2004년 5월 20일 창간된 경기도 안산 지역 시사 종합 주간신문이다. 판형은 대판이다. 주 1회 매주 화요일 발간되며, 발행면수는 안산 지역 최대 면수인 24면이다. 국문을...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년 가을 개최했던 과학기술 박람회. 안산시는 2000년 국내외 신기술과 신제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안산신기술산업박람회를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개최한 이래로, 매년 한 차례씩 제품의 전시·판매와 행사 위주로 단원전시관에서 개최하였다. 2008년에는 국책연구기관, 민간연구기관, 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참여하는 안산테크노페스티벌[ATF]로 명칭이 변경되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남북 교류 사업 및 교육·문화 활동 단체. 안산통일포럼은 6·15남북공동선언의 정신을 실현하는 데 있어 안산 지역에서 그 기틀을 마련하며, 한반도의 분단을 극복하고 평화와 통일의 디딤돌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안산통일포럼은 6·15남북공동선언이 발표되었던 2000년 8월 29일 안산 지역의 문화, 산업, 언론 등 각 분야 인사들이 참여하여 창립하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민간 연구소. 안산학연구원은 경기도 안산에 관한 학제적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여 안산학을 정립하고 이를 시민들에게 홍보·교육함으로써 안산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7년 5월 참안산사람들 부설 안산학연구소로 개소되었다. 개소와 함께 초대 이사장에 이필상, 초대 소장에 전은경 박사가 각각 추대되었다. 2009년 5월 사단법인 안산학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내셔널리그 소속 축구단. 안산할렐루야축구단은 축구를 통하여 한국 축구 발전과 경기도 안산시의 체육 및 축구 발전에 기여하고, 유소년과 지도자를 양성하며, 축구의 저변 확대와 체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할렐루야축구단은 1980년 12월 20일 프로 축구단으로 창단되었다. 1986년 재정 문제로 실업팀으로 전환하였다. 1998년 국제통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고 삶의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하는 창조인, 인간과 자연을 존중하고 바른 예절로 칭찬받는 도덕인, 강인한 체력과 순화된 정서를 지닌 조화로운 건강인, 다양한 지식을 연마하여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알찬 실력인, 스스로 결정하고 실천하며 자기 행동에 책임질 줄 아는 자율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살아가는 조화로운 어린이[도덕인], 창의력을 발휘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실력인], 몸이 튼튼하고 용기 있는 어린이[건강인], 아름다움을 발현하는 심미로운 어린이[심미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예절 바르고 슬기로우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안산해양초등학교는 2004년 12월 27일 설립 인가를 받아, 2005년...
-
조선 후기 정조가 현륭원을 행행할 때 임시 기거한 경기도 안산의 별궁. 행궁이란 왕이 행차할 때 머물던 별궁을 말한다. 행궁은 안산행궁을 비롯하여 과천행궁, 금천행궁, 온양행궁, 남한산성행궁 등 여러 곳에 있었다. 『정조실록(正祖實錄)』에 관련 기록이 등장한다. 1797년(정조 21) 8월 16일 화성에 모신 정조의 아버지인 장조(莊祖), 즉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顯隆...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안산향교의 터. 향교는 고려 때 설립되기 시작한 공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조선이 건국되면서 왕조의 지배 이념인 성리학을 널리 보급하고자 1읍 1교의 원칙하에 전국의 모든 군현에 향교를 설치하였다. 중앙에서 교관 파견과 함께 노비·토지·서적 등을 지원하였으며, 생도에게는 군역 면제의 혜택을 주었다. 본래 향교는 선현에 대한 제향과 인재 양성의 목적...
-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사에 이르기까지 안산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1종 전문박물관. 안산의 주요 시설 및 지정 문화재, 향토 유적지를 모형 및 멀티미디어로 제작하여 흥미있게 시현하고 있으며, 안산의 유구한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안산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인접함과 동시에 넓은 농경지를 배경으로 하여 농업과 어업이 옛부터 번성하여 풍요로운 삶을 누렸고, 이러한 기반 위에서 다양한 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안산문화원 부설 학술 단체. 안산향토사연구소는 안산 지역 사료를 발굴·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설립되었다. 1994년 2월에 설립하여 초대 연구소장에 최용환이 취임하였다. 2000년 2월 2대 연구소장 박승한, 2002년 2월 3대 연구소장 김영돌, 2004년 2월 4대 연구소장 정진각, 2010년 3월 5대 연구소장 김영덕이 취임...
-
1018년부터 1308년까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안산 지역이 행정구역으로 편입된 때는 고구려가 이곳을 다스리면서부터였다. 고구려는 이곳을 장항구현(獐項口縣)이라 하고 자국 영토에 편입시켰다. 장(獐)이 노루를 뜻하므로 이곳에 노루가 많은 데서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장상동에 노리울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는데, 이는 이곳의 지형이 노루의 입 모양을 닮아 생겨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과 단원구 고잔동에 걸쳐 있는 도시근린공원. 호수공원은 2000년 1월 19일부터 한국수자원공사가 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 3월 26일 문을 열었다. 고잔신도시가 건설되기 전부터 있던 고잔저수지를 보존하고 주변에 다양한 체육 시설과 공연장, 광장, 갈대습지, 산책로 등을 꾸미는 방식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649,224㎡이다. 느티나무·은행나무·잣나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신도시운동장은 2003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9,647㎡이다. 축구장·롤러광장·테니스장 등의 체육 시설과 각종 운동 기구 및 편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특히, 주요 경기 시설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르고 성실한 어린이, 서로 돕고 봉사하는 어린이,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새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이다. 안산호원초등학교는 2004년 1월 4일 설립 인가를 받아, 9월 1일 24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04년 9월 2일 전산망을 구축하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복합 휴식 공간. 고잔신도시의 호수공원이 인공적인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면, 화랑유원지는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화랑유원지는 사람과 자연과 철새들이 함께하는 자연 휴식 공간이자 가벼운 레포츠 활동이 가능한 복합 휴식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화랑유원지는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 있는 영어 교육 기관. 시대적 소명 의식과 능력을 갖춘 글로벌 리더(Global Leader)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영어 학습 동기부여, 복합 언어문화 공간 조성, 세계 시민 의식 배양, 안산 시민으로서의 자긍심 고취 활동을 하고 있다. 2004년 10월 화정초등학교 폐교에 대한 무상임대 계약을 체결하고, 10월 화정초등학교 폐교 영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정직하고 예의바른 어린이[도덕인], 탐구하며 공부하는 어린이[탐구인], 근면하고 협동하는 어린이[자주인], 깨끗하고 튼튼한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고 굳세게’이다. 1933년 3월 1일 안산보통공립학교 부설 화정간이학교로 설립되었다. 1947년 4월 30일 화정국민학교로 승격되었다. 1...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환경 운동 연합체. 안산환경개선시민연대는 환경 의식 고양 및 환경 감시·교육·연구 등을 통해 환경오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시민의 자발적인 환경 보전 노력을 증대함으로써 안산시의 환경을 개선하고자 설립되었다. 2001년 4월 안산환경운동연합 등 안산 지역 5개 시민 단체가 시화공업단지의 환경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한 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화랑유원지에서 매년 개최되는 시민 마라톤대회. 2001년에 첫 대회가 개최된 이래 매년 시행되어 2008년까지 8회 대회를 치렀다. ‘푸른 하늘 맑은 공기 환경의 도시 안산’이라는 대회 슬로건을 내걸고 약 2,500~3,000명의 시민이 참가하여 대회를 진행한다. 행사는 단원구 초지동 화랑유원지 내에서 이루어지며, 참여 인원은 대략 2,500~3,000...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전국환경운동연합 산하 안산 지역 지부. 안산환경운동연합은 하늘과 땅과 물 그리고 거기에 터 잡은 생태계가 사람들의 무분별한 행위로 인하여 심각히 오염되고 있음을 깊이 인식하며, 우리들의 생활과 환경 운동을 통하여 이 세계를 우리와 우리 후손들의 평화로운 삶터로 가꾸어 나가고자 설립되었다. 1996년 2월 8일 창립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안산 대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던 흑연광산. 흑연은 육각의 판상결정체로 산출되는데, 결정의 크기에 따라 인상흑연(鱗狀黑鉛)과 토상흑연(土狀黑鉛)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크기이고, 후자는 미세한 것으로 육안 또는 현미경으로도 결정의 식별이 어렵다. 인상흑연은 결정편암이나 편마암과 함께 산출되며, 흔히 그것에 수반되는 석회암 속에 산재한다. 흑연하면 제일 먼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YMCA전국연맹 산하 안산 지역 지부. 안산YMCA는 한국YMCA 운동 이념을 기반으로 젊은이들이 그리스도의 뒤를 따라 함께 배우고 훈련하며, 역사적 책임 의식을 계발하고, 사랑과 정의의 실현을 위하여 일하며, 민중의 복지 향상과 새 문화 창조에 이바지함으로써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이룩한다는 기본 목적 아래 살기 좋은 안산, 녹색 도시 안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YWCA연합회 산하 안산 지역 지부. 안산YWCA는 젊은 여성들이 하나님을 창조와 역사의 주로 믿으며, 온 인류는 하나님 안에서 한 형제와 자매임을 인정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자기 삶에 실천함으로써 정의·평화·창조 질서 보전이 이루어지는 세상을 건설하고자 설립되었다. 1983년 채정숙 외 발기인 8명으로 결성하였다. 1986년 파출부...
-
조선 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자는 백응(伯應), 호는 운정(芸亭). 아버지는 문하시중을 지낸 이경(李坰)이다. 이숙번은 서울 돈의문 밖[현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에서 태어났으며 1393년(태조 2) 조선왕조 개국 후 첫 번째 치러진 과거시험에 급제하였다. 1398년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로 있을 때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
조선 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자는 백응(伯應), 호는 운정(芸亭). 아버지는 문하시중을 지낸 이경(李坰)이다. 이숙번은 서울 돈의문 밖[현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에서 태어났으며 1393년(태조 2) 조선왕조 개국 후 첫 번째 치러진 과거시험에 급제하였다. 1398년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로 있을 때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
조선 후기 강세황이 경기도 안산에 있는 안원사에서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강세황은 시와 글씨, 그림에 뛰어났지만 최성대(崔成大)는 그를 평하기를 글씨보다 시가 훨씬 낫다고 하였으며, 이광려(李匡呂)[1720~1783]는 그를 ‘시인의 정수’라고 극찬하고, 그의 시상(詩想)과 시어(詩語)는 매우 담백하고 고상하며, 속된 말을 절대 쓰지 않았다고 하였다. 「안원사에서 자고 대설을 보다...
-
고려 후기의 문신. 세계나 본관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며 다만 후손들이 안산안씨(安山安氏)의 시조로서 받들고 있다. 사위는 이읍(李浥)이다. 안자유는 1335년(충숙왕 4) 상호군(上護軍)으로서 원나라에 다녀왔다. 1339년(충숙왕 복위 8)에 일어난 조적(趙頔)의 난으로 충혜왕이 원에 불려가 조사를 받을 때 시종한 공으로 1342년(충혜왕 복위 3) 6월 1일 군부판서(軍...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 아버지는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낸 안극(安極),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익령(李益齡)의 딸, 처는 창녕성씨(昌寧成氏)로 성순(成純)의 딸이다. 안정복은 1712년(숙종 38) 12월 25일 충청도 제천에서 출생하였다....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중종의 장인으로 창빈안씨(昌嬪安氏)의 아버지이다. 안탄대(安坦大)는 1506년(중종 즉위년) 중종반정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적순부위(迪順副尉)에 올랐다. 부원군(府院君)의 위치에 있었음에도 집안이 몹시 가난하였고 자기 분수에 맞지 않는 일에는 결코 눈을 돌리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외손자인 선조가 우대하였으나 강직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안탄대의 묘. 안탄대는 조선 11대 중종의 장인으로, 창빈안씨의 아버지이다. 안탄대의 본관은 안산(安山)이다. 1506년(종종 1) 중종반정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고, 적순부위(迪順副尉)에 올랐다. 사실상 부원군의 위치에 있었는데도 부귀영화를 사양하고 검소와 겸손으로 생애를 바쳤다. 조정에서 우의정을 추서(追敍)하였다. 경...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안산김씨의 시조 김긍필(金兢弼, 金肯弼), 어머니는 안산군대부인(安山郡大夫人), 처는 소성백(邵城伯)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자녀로 병부상서 김충찬(金忠贊), 경덕국사(景德國師), 원성왕후(元成王后), 원혜왕후(元惠王后), 원평왕후(元平王后) 등 2남 3녀를 두었다. 김은부는 수주 안산현[현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던 자연마을. 광덕산(廣德山) 앞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압술 또는 압실, 전촌(前村)이라 하였다. 압술의 북쪽 지역은 아랫말, 남쪽 지역은 웃말, 아랫말 남쪽 지역은 안터라 불렀다. 압술은 와동 지역에서 최초로 형성된 마을이다. 압술이 있던 와동은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잉화면 와상리와 와하리이었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던 자연마을. 광덕산(廣德山) 앞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압술 또는 압실, 전촌(前村)이라 하였다. 압술의 북쪽 지역은 아랫말, 남쪽 지역은 웃말, 아랫말 남쪽 지역은 안터라 불렀다. 압술은 와동 지역에서 최초로 형성된 마을이다. 압술이 있던 와동은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잉화면 와상리와 와하리이었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
경기도 안산시에서 재배되는 특산식물. 사자 발바닥 모양처럼 생긴 쑥이라는 뜻에서 사자족애(獅子足艾)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산쑥, 빙대(氷臺), 의초(醫草), 애호(艾蒿), 사재발쑥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70㎝로 자라며 줄기가 다소 굵고 곧게 자란다. 잎 모양은 사자 발바닥 모양으로 단순하게 갈라져 있으며 잎 끝이 뾰족하고 약간 위로 오므라진 형태이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
-
야간에 수업을 진행하는 경기도 안산 지역의 비정규적 교육이나 그 관련 기관 또는 단체. 야학은 야간에 운영되는 정규적 교육 및 그 기관인 야간학교와는 구별되며 일제강점기에 크게 발달하였다. 이 시기의 야학은 식민지교육정책에 따른 교육 시설의 부족과 생활의 빈곤으로 정규학교의 취학이 어려운 시기에 민중들에 대한 초등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일제강점기의 야학은 관립야학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약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약바위」는 와동 약바위골에 전승되어 오는 지명유래담이다. 또한 30세가 넘은 가난한 농부의 지극한 백일기도에 감동한 산신령이 80세난 모친의 병을 고칠 수 있는 신비한 약수를 주었다는 효행담이기도 하다. 1983년 경기도 안산시 와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김순봉[남, 67]으로부터 이한기가 채록하였는데,...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유린(幼麟), 호는 양강(楊江).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좌랑을 지낸 윤엄(尹儼)이고, 할아버지는 공조참의를 역임한 윤민헌(尹民獻)이다. 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윤강(尹絳)이며, 어머니는 유익(柳杙)의 딸이다. 부인은 판중추부사 이정영(李正英)의 딸이고, 동생은 정승을 지낸 윤지선(尹趾善)과 윤지완(尹趾完)이다. 윤지인(尹趾仁)...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던 자연마을. 신도시 개발 당시 안산시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백성말 동쪽에 있던 마을이다. 남향받이 양지바른 곳에 있어 양지마을[陽谷, 陽地]이라 하였다. 동서로 길게 형성된 마을로 동쪽 지역인 중소기업연수원 입구 지역을 아랫말, 원곡1동사무소가 있는 서쪽 지역을 웃말이라고 불렀다. 조선시대에 안산군(安山郡) 와리면(瓦里面) 원상리(元上里)에 속하...
-
1018년부터 1395년까지 경기도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구역. 양광도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의 행정구역으로, 양주(楊州)와 광주(廣州)에서 한 자씩을 따와 만들어졌다. 5도 가운데 서열 1위에 위치하며, 지금의 경기도 남부 지역과 강원도 일부, 충청도 지역을 관할하였다. 995년(성종 14)에 전국을 강남도·관내도·삭방도·산남도·영남도·영동도·중원도·패서도·하남도·해양도의...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侍仲)을 지낸 김은부(金殷傅)이고, 어머니는 인천이씨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된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동생은 현종의 네 번째 비인 원혜왕후와 일곱 번째 비인 원평왕후이다. 현종과 사이에 덕종(德宗)과 정종(靖宗)·인평왕후(仁平王后)·경숙공주(景肅公主)를 두었다. 원성왕후(元成王后)[?~1028]는 지금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속하는 법정동. 조선시대의 양상리(楊上里)에서 양상동이 되었다. 양상동 일대는 꾀꼬리가 버드나무 가지에 집을 짓고 사는 형국이므로 마을 하천 둑에 버드나무를 많이 심어, 버들촌으로 불렸다. 양상리는 버들촌 웃말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웃버대[上楊垈]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군내면 양상리와 양하리(楊下里)였고, 1914년 양상리와 양하리가 통합되어 시흥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반월산업단지에 대한 지표 조사 문화재 발굴의 일환으로 1978년 9월 4일부터 9월 15일까지 건국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총 10기의 양상리 고인돌군을 발견하였다.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인 고인돌이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다수 발견되고 있는데, 그중 양상동 고인돌군은 남방식 고인돌로 추정하고 있다. 양상리 고...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반월산업단지에 대한 지표 조사 문화재 발굴의 일환으로 1978년 9월 4일부터 9월 15일까지 건국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총 10기의 양상리 고인돌군을 발견하였다.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인 고인돌이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다수 발견되고 있는데, 그중 양상동 고인돌군은 남방식 고인돌로 추정하고 있다. 양상리 고...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산(安山). 증조부는 안산안씨(安山安氏)의 시조 안자유(安子由), 아버지는 연성군(蓮城君) 안습(安習)이다. 안경손은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1437년(세종 19) 내금위에 소속되었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의 계유정난(癸酉靖難)을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 3등에 책록된 뒤 내자시윤(內資寺尹), 삼군진무(三軍鎭撫), 대호군을 역임하고 첨지중추원사에...
-
최억을 시조로 하고 최혼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안산의 세거 성씨. 안산의 양주최씨(楊州崔氏)는 입향조 독선당(獨善堂) 최혼(崔渾)이 무오사화의 혼란을 피해 안산 지역에 은신한 이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형성된 성씨이다. 시조 최억(崔億)은 고려 공민왕 때 학행(學行)으로 양주군(楊州君)에 봉해지고 문경(文敬)이란 시호를 받았다. 최혼이 연산군 때 무오사화로 정국이 혼란하자 몸을 숨...
-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양중(養重)이고, 세례명 아우구스티노. 아버지는 진주목사를 역임한 정재원(丁載遠), 어머니는 해남윤씨(海南尹氏) 윤덕렬(尹德烈)의 딸, 처는 이수정(李秀廷)의 딸과 세레명 세실리아인 유씨이다. 동생이 정약용(丁若鏞)이며, 자녀들로 로마교황청에 의해 성인으로 추봉된 정하상(丁夏祥)과 성녀 정정혜(丁情惠)가 있다. 정약종은 현재의 경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스스로 미래를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람, 올바른 가치관을 갖고 행동하는 도덕적인 사람, 개성과 소질 계발로 특기를 신장하는 창의적인 사람, 여가를 선용하며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협동, 창조’이다. 2002년 1월 14일 16학급의 양지고등학교 설립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3...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던 자연마을. 신도시 개발 당시 안산시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백성말 동쪽에 있던 마을이다. 남향받이 양지바른 곳에 있어 양지마을[陽谷, 陽地]이라 하였다. 동서로 길게 형성된 마을로 동쪽 지역인 중소기업연수원 입구 지역을 아랫말, 원곡1동사무소가 있는 서쪽 지역을 웃말이라고 불렀다. 조선시대에 안산군(安山郡) 와리면(瓦里面) 원상리(元上里)에 속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1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즐겁게 배우고 탐구하는 창의력 있는 학습인, 이웃을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예절바른 도덕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심신이 건강한 건강인, 질서를 지키고 규범을 준수하는 자주적인 준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게 밝게 높게’이다. 2001년 1월 5일 36학급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3월 1일 초대 홍석...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는 자연마을. 칠보산 아래 양지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양짓말[陽村]이라 하였다. 마을 가장 위쪽에 있고 예전에는 양반들이 많이 살아서 상촌(上村)이라고도 하였다. 현재 양짓말은 수인산업도로로 양분되어 있으며 현대아파트와 연립 주택이 들어서 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는 자연마을. 칠보산 아래 양지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양짓말[陽村]이라 하였다. 마을 가장 위쪽에 있고 예전에는 양반들이 많이 살아서 상촌(上村)이라고도 하였다. 현재 양짓말은 수인산업도로로 양분되어 있으며 현대아파트와 연립 주택이 들어서 있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민어는 면어(鮸魚), 회어(鮰魚), 개우치, 홍치, 어스래기라고도 한다. 회와 민어구이, 민어어채, 민어전, 민어조림, 민어지짐이, 민엇국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몸길이는 최대 90㎝ 넘게 성장한다. 몸은 긴 방추형으로 약간 납작하다.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띤 회색이며 배 쪽으로 갈수록 옅어진다.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 후반...
-
경기도 안산시의 산업 중 수산물을 채취·포획하는 업종. 반월공업단지가 들어서기 전 경기도 안산 지역의 산업은 농업과 어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어업의 경우 소래포구와 함께 명성을 날렸던 사리포구와 별망포구 그리고 오래전에 폐쇄되었지만 성포포구 등을 중심으로 성시를 이룰 정도로 크게 번성하였다. 그러나 반월공업단지의 조성과 더불어 그 비중이 현저하게 약화되었으며 현재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어촌민속박물관. 안산어촌민속박물관은 안산 어촌 지역의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 민속과 어업 문화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 안산 지역의 새로운 관광 소득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관하였다. 안산시가 경기도 어촌관광종합개발사업과 연계하여 2006년 3월 11일 안산시립어촌민속전시관으로 개관하였다. 2007년 2월 16일 제1종 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과 대부북동에 어촌 체험을 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마을. 종현어촌체험관광마을은 어업인의 어업 외 소득 증대 및 어촌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도시인에게 어촌과의 교류 확대 및 자연과 공생하는 휴식·여가 공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어업 체험 중심의 관광 기반 시설이다. 안산시 어촌체험관광마을로는 대부도 갯벌을 끼고 있는 선감어촌체험관광마을과 종현어촌체험관...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체를 통하여 어떤 사실이나 주장을 알려 여론을 형성하거나 인쇄물을 제작·복제하여 판매 또는 배포하는 일의 총칭. 안산시에는 중앙사[통신사 포함]를 비롯하여 경인 지역 지방 일간지, 지역 주간지, 생활정보지, 케이블 방송, 라디오 방송 등의 언론 매체가 있으며, 반월공업단지를 배후로 하는 안산시의 지리적 특성의 영향으로 출판사와 인쇄소가 밀집되어 있다. 안산 언론...
-
직접 가 보지는 못했지만 누구나 웬만하면 알고 있는 곳들이 있다. 가령 모차르트의 고향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는 많은 사람이 알고 있지만 직접 가 본 사람은 얼마나 될까? 국경 없는 마을의 인지도는 잘츠부르크와 단순 비교할 바는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어느 곳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가장 큰 힘은 역시 언론이다. KBS를 비롯한 공중파 방송은 물론이고,...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언부(彦孚). 증조부는 나계종(羅繼宗), 할아버지는 창릉참봉 나세걸(羅世傑), 아버지는 성균관전적 나익(羅瀷), 어머니는 종실(宗室)인 고흥부수(高興副守) 이억천(李億千)의 딸이다. 나윤침은 1537년(중종 32) 10세 때 부친을 여의고, 1545년(명종 1)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숙부 나식(羅湜)을 비롯한 형과 동생이 모두 화를...
-
조선 전기 문신이자 서예가.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언심(彦深), 호는 소재(少齋)·심재(心齋). 아버지는 강이행(姜利行),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손(許蓀)의 딸이다. 강징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영특하여 외삼촌인 우의정 허종(許琮)의 가르침을 받았다. 1486년(성종 17)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4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를 거쳐 예문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과 장하동에서 호미로 논맬 때 부르던 농업노동요. 「얼카덩어리」는 충청남도의 대표적인 「논맴 소리」로서, 받음구에 ‘얼카덩어리’류의 어휘를 보유하고 있다. 얼카덩어리 류는 충청남도 서부 지역인 서산·홍성·당진·예산 방면이 그 문화중심이다. 중심처에서는 호미로 논을 매면서 단순 잦은소리와 함께 느린 소리도 많이 불렀으나, 타군으로 전파되면서는 주로 군말이...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호는 학산(鶴山). 아버지는 엄진(嚴縉)이고, 처는 정익천(鄭翊天)의 딸이다. 엄경응의 자세한 이력은 알 수 없고, 다만 1780년(정조 4) 3월 첨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음이 확인되는데 『한국계행보(韓國系行譜)』에 따르면 아마도 수직(壽職)[해마다 정월에 80세 이상의 벼슬아치와 90세 이상의 백성에게 은전으로 주던 벼슬...
-
개항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엄주한은 본관은 영월(寧越)이며 자는 응여(應如)이다. 아버지는 엄헌영(嚴獻永),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로 박승휘(朴承輝)의 딸이고, 처는 박성수(朴性壽)의 딸이다. 양부는 승지(承旨) 엄돈영(嚴敦永)이다. 묘소는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장곡(獐谷)에 있다. 엄주한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살았다. 1877년(고종 14) 진사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식품 위생용 종이상자 및 용기 제조업체인 (주)에버그린패키징코리아의 제조 공장. 2015년 12월 31일 기준 (주)에버그린패키징코리아의 납입자본금은 32억 원이고, 매출액은 485억 2762만 4천 원이다. 대표이사는 전병윤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503-5번지에 위치한다. (주)에버그린패키징코리아 안산공장은 1985년 식품 위생...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제조업체. (주)에스아이플렉스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및 전자 부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5년 1월 9일 세일문산[개인]으로 설립되었다. 1988년 5월 20일 주식회사세일물산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6년 3월 7일 (주)세일물산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97년 11월 5일 세일홍콩유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대체에너지 개발 기업. (주)S&D파워닉스는 에너지 경제, 에너지 환경, 에너지 질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태양에너지를 중심으로 대체에너지 기술 개발 및 제품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S&D파워닉스는 하이브리드 대체에너지 시스템의 연구 개발 및 사업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S&D파워라는 명...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에스앤에스금속(주)은 자동차 부품과 산업용 부품·선박 부품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8년 서흥실업(주)로 설립되었다. 1979년 고려특수밸브공업(주)를 설립하였다. 1984년 (주)서흥금속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 법인 분할에 의거하여 서흥단조공업(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500t 단조 프레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에스앤에스금속(주)은 자동차 부품과 산업용 부품·선박 부품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8년 서흥실업(주)로 설립되었다. 1979년 고려특수밸브공업(주)를 설립하였다. 1984년 (주)서흥금속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 법인 분할에 의거하여 서흥단조공업(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500t 단조 프레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에스앤에스금속(주)은 자동차 부품과 산업용 부품·선박 부품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8년 서흥실업(주)로 설립되었다. 1979년 고려특수밸브공업(주)를 설립하였다. 1984년 (주)서흥금속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 법인 분할에 의거하여 서흥단조공업(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500t 단조 프레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었던 도료 관련 제조업체. 에스에스씨피(주)는 모바일용 페인트·자동차용 페인트·전자/가전용 페인트·FA용 페인트와 잉크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3년 5월 삼성화학공업(주)로 설립되었다. 1985년 7월 삼성화학페인트(주)를 설립하였으며, 1987년 제1 R&D센터를 설립하였다. 1996년 제2 R&D센터를 설립하였다. 1999년 1...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었던 도료 관련 제조업체. 에스에스씨피(주)는 모바일용 페인트·자동차용 페인트·전자/가전용 페인트·FA용 페인트와 잉크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3년 5월 삼성화학공업(주)로 설립되었다. 1985년 7월 삼성화학페인트(주)를 설립하였으며, 1987년 제1 R&D센터를 설립하였다. 1996년 제2 R&D센터를 설립하였다. 1999년 1...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반도체 검사장비용 PCB 제조업체. 에스엠전자(주)는 반도체 검사장비용 PCB·저유전율보드[Impedance Board, Hi-Tg Board]·고다층 PCB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9월 2일 주양엔지니어링으로 설립되었다. 1996년 10월 외층제조라인을 증설하였고, 1999년 9월 반월공업단지로 공장을 이전하였다. 200...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반도체 검사장비용 PCB 제조업체. 에스엠전자(주)는 반도체 검사장비용 PCB·저유전율보드[Impedance Board, Hi-Tg Board]·고다층 PCB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9월 2일 주양엔지니어링으로 설립되었다. 1996년 10월 외층제조라인을 증설하였고, 1999년 9월 반월공업단지로 공장을 이전하였다. 200...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벨로스 제조업체. (주)에스제이엠은 자동차·플랜트·건축 부문에 사용되는 고품질의 벨로스(Bellows)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3월 31일 성진기공(주)로 설립되었다. 1979년 11월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1989년 9월 일본 칼소닉(Calsonic)사와 합작 법인을 설립하였다. 1991년 8월에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벨로스 제조업체. (주)에스제이엠은 자동차·플랜트·건축 부문에 사용되는 고품질의 벨로스(Bellows)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3월 31일 성진기공(주)로 설립되었다. 1979년 11월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1989년 9월 일본 칼소닉(Calsonic)사와 합작 법인을 설립하였다. 1991년 8월에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도로 전광 표지 제조업체. (주)에스티씨네트웍스는 최첨단 멀티미디어 영상 기술을 응용한 항공기 운항 정보 시스템, 고속도로 정보 표지판,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 등을 연구·개발 및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6월 1일 (주)비츠로테크놀로지로 설립되었다가 2002년 1월 (주)에스티씨로 법인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 4월 본사 및 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도로 전광 표지 제조업체. (주)에스티씨네트웍스는 최첨단 멀티미디어 영상 기술을 응용한 항공기 운항 정보 시스템, 고속도로 정보 표지판,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 등을 연구·개발 및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6월 1일 (주)비츠로테크놀로지로 설립되었다가 2002년 1월 (주)에스티씨로 법인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 4월 본사 및 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STX에너지의 열병합발전소. STX에너지는 정부의 에너지이용 합리화 시책에 따른 집단 에너지 공급 사업자이다. 국가산업단지인 반월공업단지와 구미공업단지에 위치한 열병합발전소를 통해 입주업체들에 고품질의 열에너지를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연료 다원화를 통해 석유의존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에너지 수입 비용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었던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기 제조업체. (주)에이티티는 풍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기를 개발하여 친환경적이면서 고효율 에너지 사업을 전문적으로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4월 1일 (주)에이티티로 설립되었다. 2007년에는 인천 부평에 공장을 설립하여 제품생산을 시작하였다. 2008년 6월 경기테크노파크에 입주하였고, 그해 9월 풍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었던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기 제조업체. (주)에이티티는 풍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기를 개발하여 친환경적이면서 고효율 에너지 사업을 전문적으로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4월 1일 (주)에이티티로 설립되었다. 2007년에는 인천 부평에 공장을 설립하여 제품생산을 시작하였다. 2008년 6월 경기테크노파크에 입주하였고, 그해 9월 풍력...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최고화질의 3D 모니터 및 TV 제조업체. (주)에프엠디는 세계최초로 FPR방식의 LCD 3D 모니터를 생산한 회사로서, 여러 개의 3D 관련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한 3D 관련 원천 기술의 확보를 통하여 최첨단 디스플레이 영상기술 개발과 새로운 영상 기술문화 제공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3월 6일 (주)애드뷰로 설립되어 2007년 3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최고화질의 3D 모니터 및 TV 제조업체. (주)에프엠디는 세계최초로 FPR방식의 LCD 3D 모니터를 생산한 회사로서, 여러 개의 3D 관련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한 3D 관련 원천 기술의 확보를 통하여 최첨단 디스플레이 영상기술 개발과 새로운 영상 기술문화 제공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3월 6일 (주)애드뷰로 설립되어 2007년 3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었던 PCB 관련 제조업체. (주)엑큐리스는 PCB/IC 카드 업종의 토탈 솔루션(Total Solution)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1월 대방전자로 설립되었고, 1996년 7월 (주)대방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7년 2월 사업장을 반월공업단지 내 현재의 소재지로 이전하였다. 2000년 3월 (주)엑큐리스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었던 PCB 관련 제조업체. (주)엑큐리스는 PCB/IC 카드 업종의 토탈 솔루션(Total Solution)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1월 대방전자로 설립되었고, 1996년 7월 (주)대방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7년 2월 사업장을 반월공업단지 내 현재의 소재지로 이전하였다. 2000년 3월 (주)엑큐리스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전기 전자 부품 연구소. LG소재부품연구소는 수도권 지역 부품 소재 관련 산학 협력의 일환으로 LG그룹의 전자 부품 제조 전문 기업인 LG이노텍과 그 자매사인 LG마이크론이 공동으로 한양대학교와의 업무 협약 체결을 통하여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내에 설립한 전자 부품 연구소이다. LG소재부품연구소는 LG마이크론과 LG이노텍 양사가 우수 R&D...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여공(汝恭)이며, 호는 백촌(白村)·마암(馬巖). 처음 이름은 김효기(金孝起)였으나, 장인의 이름이 효정(孝貞)이어서 문기로 고쳤다. 영의정에 추증된 김관(金觀)이 아버지이고, 그의 아들 김현석(金玄錫)은 영월군수로 재직 중 아버지와 함께 순절하였다. 김문기는 1399년(정종 1) 충청북도 옥천에서 출생하였다. 1426년 문과에 급제하...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근(汝根). 아버지는 이종식(李宗植)이다. 아들은 호조정랑 이중창(李重昌)과 안동부사 이중화(李重華)이다. 이만근(李萬根)[1646~?]은 홍문관교리와 지제교겸경연시독관을 역임하였다. 묘소는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었다고 하나, 현존 여부는 알 수 없다....
-
여기뜰 은 윗삼천리 아래로 흐르는 삼천천의 주변에 형성된 논밭이다. 뜰을 가로 질러 개천이 흐르는데, 이 개천 주변에 여기풀[정식 명칭은 여뀌]이 많다고 하여 여기뜰이라 불린다. 여뀌는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로 키가 40~90㎝ 정도 자란다. 물고기를 기절시킬 정도의 독성분이 있어서 ‘어독초(魚毒草)’라는 이름도 갖고 있다. 지금은 한낱 잡초로밖에 취급하지 않지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 삼천리마을에 있는 들. 뜰을 가로 질러 흐르는 삼천천[웃삼천이에서는 여기천이라 불렀다]에 여뀌가 많아 여기뜰 또는 으기뜰이라 하였다. 으기뜰은 웃삼천이 아래로 흐르는 삼천천 주변에 형성된 경작지로 전철 4호선 공사 때 금정역과 반월역 사이에 전철 둑을 만들면서 둘로 나누어졌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여량(汝亮, 汝良). 진창군(晉昌君) 강인(姜絪)의 8세손으로 증조부는 강필득(姜必得), 할아버지는 강세정(姜世靖), 아버지는 강준흠(姜浚欽), 어머니는 권빈(權儐)의 딸이다. 강시영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809년(순조 9) 진사가 되고, 1820년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수찬을 지냈다. 1829년 진...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여문(汝文). 아버지는 권상도(權尙度)이다. 권병은 1684년(숙종 10)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유학(幼學)의 신분으로 1713년(숙종 39)에 치러진 생원진사시 증광시(增廣試)에 2등 6위로 합격하였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태초(太初), 호는 여병재(如甁齋). 아버지는 공조판서 김문기(金文起), 어머니는 선산김씨(善山金氏)이며, 처는 영금(英今)이다. 김현석은 생원시를 거쳐 통훈대부에 올라 거창현감겸진주진관병마절도제도위(居昌縣監兼晉州鎭管兵馬節制都尉)에 이르렀다. 이어 양지현감을 거쳐 영월군수에 재임 중 아버지 김문기와 함께 단종 복위에 연루되어 순절하였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여석(汝碩), 호는 이은정(理隱亭). 아버지는 청흥군(淸興君) 한수원(韓壽遠), 어머니는 함평이씨(咸平李氏)로 이영원(李榮元)의 딸이다. 한성보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으며 송시열(宋時烈) 문하에서 수학했다. 음직(蔭職)으로 1658년 돈녕참봉(敦寧參奉)이 되고 이듬해 빙고별검(氷庫別檢), 제용직장 등...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여성 복지 시설. 안산시 평생학습원 평생학습과 여성비전센터는 여성의 능력 개발과 자아실현을 위하여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저소득 여성의 자립 능력을 배양하여 경제적 자립 기반을 조성하며, 여성의 복지 증진과 사회 참여를 확대하고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1993년 11월 18일 「여성회관 설치조례」를 제정 공포하였고, 같은 해 11월 23일...
-
경기도 안산시에서 이루어지는 여성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과정. 여성자치대학은 여성의 잠재 능력을 계발하여 사회 참여를 확대함과 더불어 21세기 지식기반 및 지방화 시대에 부응하는 유능한 여성 인력을 발굴하여 지방자치 참여와 지역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여성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개설된 교육 과정이다. 여성자치대학은 여성 리더십 훈련과 여성 지도자 과정으로 이루어져...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여승(汝承). 할아버지는 사옹원정(司甕院正) 강억(姜億)이고, 아버지는 응교(應敎) 강덕서(姜德瑞)이다. 강윤조는 1568년(선조 1)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1606년(선조 39) 생원이 되었고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내섬시직장(內贍寺直長), 한성부참군을 지냈다. 이후 외직으로 나아가 경상도의 성현도찰방(省峴道...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여온(汝溫), 호는 소곡(巢谷). 아버지는 군수 한배후(韓配厚)이며 한배연(韓配淵)에게 입양되었다. 한사직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으며 이재(李縡)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21년(경종 1)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하다가 벼슬길로 나아가 1740년(영조 16) 정선군수, 의금부도사, 정랑 등을...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성지(成之). 아버지는 성주목사 이사필(李士弼),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부사직을 지낸 권계(權啓)의 딸, 처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슬하에 이상홍(李尙弘), 이상의(李尙毅), 이상관(李尙寬), 이상신(李尙信), 이상근(李尙謹), 이상충(李尙忠), 이상달(李尙達) 등의 아들과 5녀를 두었다. 이우인은 15...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이자 서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여정(汝正), 호는 연객(烟客)·초선(草禪)·구도(舊濤). 증조부는 지평 허열(許悅)이다. 허필은 1735년(영조 11)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과 시·서·화에 전념하여 삼절(三絶)로 불렸다. 함께 교유한 이용휴(李用休), 이광환(李匡煥), 유경종(柳慶種), 강세황(姜世晃), 조중보(...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여중(如衆). 할아버지는 예조참판을 지낸 박유(朴瑜)이고, 아버지는 찰방을 역임한 박여헌(朴黎獻)이다. 어머니는 한림감정(翰林監正) 한산이씨 이희백(李希伯)의 딸이다. 박충생(朴忠生)[1552~?]은 민순의 문인이며,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서 태어났다. 1604년(선조 37) 인제현감과 판관을 지냈고, 이후 호조참관·...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화가. 본관은 탐진(耽津). 자는 사청(思淸)·여청(汝淸), 호는 근재(謹齋). 아버지는 안산군 출신 염부(鹽夫)였다. 최경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그림에 뛰어난 소질을 보여, 아이들과 함께 놀면서 소 채찍으로 땅을 그어 인물과 여마(驢馬)의 형상을 그렸는데, 매우 생기가 있어 촌부들이 모두 말하기를 “이 아이는 그림으로 출세할 것이...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여형(汝亨). 할아버지는 통사랑 최정언(崔挺彦), 아버지는 최두(崔㞳), 어머니는 여주이씨(驪州李氏)로 부사직 이상공(李尙恭)의 딸이다. 동생이 전라좌수사를 지낸 최극태(崔克泰)이다. 최선태는 1666년(현종 7) 선전관을 지내고 삼조(三曹)의 좌랑, 오위도총부도사, 오위도총부경력, 오위도총부부정, 내금위장 등을 지냈다. 외직으로 재령...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홍(汝弘). 아버지는 통덕랑으로 청도군수를 지낸 이현행(李顯行)이다. 아들로 승지 이상로(李商輅)가 있다. 이의종은 1723년(경종 3) 진사가 되어 참봉을 지냈으며, 1726년(영조 2) 성균관에서 수학하면서 이광좌(李光佐), 유봉휘(柳鳳輝), 조태억(趙泰億)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1740년(영조 16) 문과에 급제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소릉(少陵)·오호(五湖)·서산(西山)·파릉(巴陵).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형은 응교 이상홍(李尙弘)이며, 동생은 예조참판을 지낸 이상신(李尙信)이고, 아들은 이지안(李志安)이다....
-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경기도 안산시의 역사. 안산은 예부터 서해안의 교통·교역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문화가 교차하며, 풍부한 물화가 집산하던 곳이었다. 이러한 자연환경과 사회·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학문·교육·문화가 일찍부터 발달하였고, 외세에 대한 저항 의식이 높았다. 안산에서 인류의 자취는 신석기시대부터 찾을 수 있다. 신길동 신석기 유적, 초지동 별망 패총은 이곳이 신석기...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이자 서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여정(汝正), 호는 연객(烟客)·초선(草禪)·구도(舊濤). 증조부는 지평 허열(許悅)이다. 허필은 1735년(영조 11)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과 시·서·화에 전념하여 삼절(三絶)로 불렸다. 함께 교유한 이용휴(李用休), 이광환(李匡煥), 유경종(柳慶種), 강세황(姜世晃), 조중보(...
-
조선 후기의 화가.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천여(天汝), 호는 연담(蓮潭)·국담(菊潭)·취옹(醉翁). 김명국은 한자를 달리하여 김명국(金命國), 김명국(金鳴國)이라고도 표기한다. 아버지는 김중휘(金重輝),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경복(李慶福)의 딸, 처는 동래정씨(東萊鄭氏)이다. 김명국은 도화서(圖畵署)의 화원으로 교수를 지냈다. 1636년(인조 14)과 1643년(인...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을 지낸 김은부(金殷傅), 어머니는 소성백(邵城伯)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현종의 제7비 원평왕후(元平王后), 현종의 제3비 원성왕후(元成王后)와 자매간이다. 원혜왕후는 안산현[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에서 태어났다. 현종 초년에 거란이 침입하여 왕이 나주로 피난하였는데 왕궁으로 귀환하던 도중 공주에 묵...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의 별칭. 안산시가 별호(別號)인 연성으로 불리기 시작한 때는 1463년(세조 9)부터였다. 조선 초기 강희맹(姜希孟)이 안산의 별서(別墅)에 중국에서 가지고 온 연꽃을 심은 뒤부터 연성(蓮城)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에 의하면, 좌찬성 강희맹이 1463년 중추원부사로서 진헌부사가 되어 중국의 난징[南京]을 다녀오는 길에 중국에서도 자...
-
개항기 경기도 안산 출신의 성혜영이 지은 오언절구의 한시. 연성(蓮城)이란 안산의 별칭이다. 「연성계상(蓮城溪上)」을 지은 남파(南坡) 성혜영(成蕙永)[1848~1911]은 ‘안산 15학사’의 의발(衣鉢)을 전수 받았다고 자타가 인정하는 차세대 인사들 중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성혜영과 관련하여 알려진 것이라고는, 그가 오랫동안 방랑을 하면서 시를 썼다는 기록 이외에 행적을 밝힐...
-
940년부터 1914년까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안산군은 원래 고구려의 장항구현(獐項口縣) 또는 고사야홀차현(古斯也忽次縣)이었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757년(경덕왕 16)에 장구군(獐口郡)으로 되었다. 고려 초[940년(태조 23)]에 장구군을 안산군으로 고쳤다. 1018년(현종 9) 5도 양계제가 시행될 때, 안산현이라 하여 수주군(水州郡)[현 수원시]의...
-
1857년 강재홍이 경기도 안산 지역 50여 개 세거 성씨를 수록한 책. 『연성성보』는 1857년 진주강씨 강재홍(姜在鴻)이 시흥군 수암면과 군자면에 거주하던 73개 가문의 50여 개 세거 성씨를 수록한 책이다. 당시 강재홍이 필사본으로 12부를 간행하였고, 1878년 재간하여 여러 문중에서 소장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대부분이 소실되어, 언양김씨 김찬(金燦)이 소장하고 있...
-
일제강점기 경기도 안산·시흥 지역의 문인들이 조직한 한시 창작 모임. 1894년 갑오개혁으로 과거제도가 없어지고, 이로 말미암아 선비의 기개가 점차 쇠약해지고 세상을 가르치고 교화함이 더욱 약해진 것을 안타깝게 여긴 여러 선비들이 한시를 숭상하는 풍습을 다시 일으키고자 연성음사(蓮城吟社)를 설립하였다. 1921년 5월 이운근(李雲根)이 청년과 나이든 선비 10여 명을 모아 시모임을...
-
1774년 강세황이 경기도 안산의 뛰어난 절경 8곳을 노래한 한시. 조선 후기의 가장 뛰어난 문인화가 중 한 사람인 표암(豹庵) 강세황(姜世晃)[1713~1791]은 아버지와 어머니를 여윈 뒤에 궁색한 서울 살림을 접고 32세 때에 처가가 있는 안산(安山)으로 거처를 옮기게 되었다. 그곳에서 61세라는 늦은 나이에 벼슬길에 오를 때까지 궁핍 속에서 학문과 서화에 전념하였는데, 이때...
-
경기도 안산시 지역 내 여러 항구 또는 안산 지역 항구와 국내 인근 지역 여러 항구 사이를 잇는 항로. 연안항로는 같은 나라 안의 각 항구 상호간을 연결하는 항로로 국제간의 항로인 원양항로나 근해항로에 상대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소형선박에 의한 단거리 해상수송로이지만 미국의 동·서 두 해안을 연결하는 경우 등은 근해항로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연안이란 육지와 면한 바다·강·호수...
-
경기도 안산시 지역 내 여러 항구 또는 안산 지역 항구와 국내 인근 지역 여러 항구 사이를 잇는 항로. 연안항로는 같은 나라 안의 각 항구 상호간을 연결하는 항로로 국제간의 항로인 원양항로나 근해항로에 상대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소형선박에 의한 단거리 해상수송로이지만 미국의 동·서 두 해안을 연결하는 경우 등은 근해항로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연안이란 육지와 면한 바다·강·호수...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농어목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경골어류 중에서 가장 큰 무리로 농어과, 전갱이과, 도민어과 등 고급 식용 어류와 낚시 대상 어종이 많다. 농어목의 어류들은 형태가 다양하지만 대개 몸이 납작하며 등지느러미는 1개 또는 2개이고 강한 가시를 가지고 있다.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서는 ‘깍정’이라 하였고, 정약용의 『아언각비(雅...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바다빙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은구어, 은광어, 치리, 열광어라고도 한다. 은어는 살에서 수박향이 나며, 주로 생선회나 구이로 요리하여 먹는다. 몸길이는 약 30㎝이다. 몸은 가늘고 길면서 옆으로 납작하다. 입이 크고, 턱의 뒤끝이 눈 뒤에까지 이르며, 등지느러미는 몸의 중앙에 있고 뒷지느러미는 가운데가 오목하다. 몸은 어두운 청록색을 띤 회색이며,...
-
전통시대 안산 지역에서 남편을 잘 섬기고 절개를 지킨 아내. 열녀는 위기에 처하였을 때 죽음으로써 정조(貞操)를 지켰거나 남편이 죽은 후 개가하지 않고 수절(守節)한 부녀자를 가리키며, 열부(烈婦)·절부(節婦)·절녀(節女)·정녀(貞女)로도 쓰인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임금의 유혹과 강압을 물리치고 남편을 위해 정절을 지킨 도미(都彌) 아내의 이야기와, 자신의 늙은 아버지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사세충렬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세충렬문 이야기」는 병자호란 때 4대 시어머니와 며느리 등이 피난을 갔으나 오랑캐에게 욕을 당할 수 없다 하여 바다에 몸을 던져 자살한 열녀투신담이다. 와동에는 사세충렬문이라는 정문(旌門)[충신·효자·열녀 등을 기리기 위하여 그의 집 앞이나 마을 앞에 세운 붉은 문]을 모신 건물이 있다. 1989년 경기...
-
전통시대 안산 지역에서 남편을 잘 섬기고 절개를 지킨 아내. 열녀는 위기에 처하였을 때 죽음으로써 정조(貞操)를 지켰거나 남편이 죽은 후 개가하지 않고 수절(守節)한 부녀자를 가리키며, 열부(烈婦)·절부(節婦)·절녀(節女)·정녀(貞女)로도 쓰인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임금의 유혹과 강압을 물리치고 남편을 위해 정절을 지킨 도미(都彌) 아내의 이야기와, 자신의 늙은 아버지를...
-
경기도 안산시의 산업 중 소금을 제조하는 업종. 소금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무기질 중 하나이며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서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다. 인류가 소금을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6000년경으로 추정된다. 유목생활을 하던 원시시대에는 우유나 고기를 먹음으로써 그 속에 들어있는 소금 성분을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점차 농경사회로...
-
김복동 옹은 1936년 11월 12일 아버지 김윤지와 어머니 강순장 사이의 8남매 중 위로 누나 하나와 형 둘이 있는 넷째로 태어났다. 호적상 이름은 김복동인데 마을에 동명이인이 있어 동네에서는 아명인 김선용이라고 해야 쉽게 통한다. 형제들은 성장하면서 모두 외지로 나가고 동네에는 시집간 누나만 살고 있어, 김복동 옹은 부모님 제사를 모실 때는 춘천에 있는 큰형님 댁으로...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청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약 25㎝이다. 몸은 긴 타원 모양이고 매우 납작하며, 등은 푸른색 배는 은백색을 띤다. 아가미 뒤에 크고 검은 점이 1개 있으며, 배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모비늘이 발달하여 있다. 몸 위쪽에 작고 검은 점들이 줄지어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진한 노란색을 띤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가 실린 1530년 간행...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청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약 25㎝이다. 몸은 긴 타원 모양이고 매우 납작하며, 등은 푸른색 배는 은백색을 띤다. 아가미 뒤에 크고 검은 점이 1개 있으며, 배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모비늘이 발달하여 있다. 몸 위쪽에 작고 검은 점들이 줄지어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진한 노란색을 띤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가 실린 1530년 간행...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길이 통과하는 산등성이의 낮은 부분. 고개는 산을 넘어가는 능선부로서 삼국시대부터 사람과 물자 교류의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고개는 예부터 공간과 공간을 구분하고 서로 이어주는 교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보통 고개라는 지명이 쓰이지만 이밖에도 재, 치(峙), 현(峴), 영(嶺) 등의 지명 접미사가 쓰이기도 한다...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侍仲)을 지낸 김은부(金殷傅)이고, 어머니는 인천이씨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된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동생은 현종의 네 번째 비인 원혜왕후와 일곱 번째 비인 원평왕후이다. 현종과 사이에 덕종(德宗)과 정종(靖宗)·인평왕후(仁平王后)·경숙공주(景肅公主)를 두었다. 원성왕후(元成王后)[?~1028]는 지금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조선시대 관찰사와 군수의 선정비군. 수암동 관아 터의 복원된 객사로부터 취암 방향으로 100여 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수암동 선정비군은 화강암으로 된 선정비로, 관찰사 박종기 영세불망비 1기와 군수 선정비 3기 등 총 4기가 있다. 군수 선정비는 각각 임세량·김철순·이겸진 군수의 것이다. 선정비는 해당 지역의 관리로 부임한 자 중에 공덕...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용(景用), 호는 영어(穎漁). 아버지는 이조판서 김수근(金洙根)이며, 형은 영의정 김병학(金炳學)이다. 김병국은 경기도 안산현 구룡골[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서 태어났다. 1850년(철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대교(待敎)를 거쳐 1853년 대사성에 올랐다. 1857년 예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병조판서,...
-
개항기에서 현대 안산에 거주하면서 활동한 행정가이자 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구(聖九), 호는 영운(穎雲)·향석(香石)·구룡산인(九龍山人) 등이다. 1878년(고종 15) 특진관(特進官) 김흥규(金興圭)의 아들로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나, 참판 김정규(金貞圭)에게 입양되었다. 양할아버지인 김병국(金炳國)이 영의정을 지낸 바 있으며, 친어머니가 흥선대원군의 외손녀로 당대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제초제 제조업체인 농협케미컬의 제조 공장 . 농협케미컬은 농약 제초제를 제조하는 작물 보호 전문 기업이다. 1956년 12월 12일 한국니코틴(주)로 설립한 이후 1964년 영일화학공업(주)로 상호를 변경하고, 구로공장을 준공하였다. 1978년 대전공장 준공 및 생산 라인을 증설하였고, 이후 구로공장 이전 및 반월공장 준공으로 농약 전문회사로서의...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영중(英仲), 호는 파운(坡雲)이다. 증조부는 오윤상(吳允常), 할아버지는 오치성(吳致成), 아버지는 오우선(吳友善)이며, 오홍선(吳弘善)에게 입양되었다. 1829년(순조 29) 출생하여 1894년(고종 31)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고, 1919년에 세운 묘갈명이 있다. 오준영은 1855년(철...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교(景敎), 호는 영초(穎樵). 아버지는 이조판서 김수근(金洙根)이며, 백부(伯父) 김준근(金浚根)에게 입양되었다. 영은부원군(永恩府院君) 김문근(金汶根)의 조카이다. 후사가 없어 김병유(金炳儒)의 아들 김승규(金昇圭)를 입양하였다. 김병학은 1825년(순조 25)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1853년(철종 4) 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연성회로기판[FPCB] 제조업체. 1990년대 중반 이전 연성회로기판[FPCB] 시장에서는 전자 부품 단위의 회로 연결을 위한 단순한 케이블(Cable) 역할을 하는 단순 모델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 기술 개발과 신뢰성 확보를 통해 핸드폰의 메인 기판으로 사용이 확대되어 왔다. 특히 폴더 타입 핸드폰 굴곡 부위에 회로를 적용...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연성회로기판[FPCB] 제조업체. 1990년대 중반 이전 연성회로기판[FPCB] 시장에서는 전자 부품 단위의 회로 연결을 위한 단순한 케이블(Cable) 역할을 하는 단순 모델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 기술 개발과 신뢰성 확보를 통해 핸드폰의 메인 기판으로 사용이 확대되어 왔다. 특히 폴더 타입 핸드폰 굴곡 부위에 회로를 적용...
-
문화 예술의 한 장르로서 진행되고 현존하는 경기도 안산 지역의 영화. 영화는 여타의 표현매체와는 다른 변별성, 또는 그 변별성을 지닌 매체 그 자체로서 일반적으로는 필름과 촬영기에 의해 그 대상을 분석적으로 포착하여 현상·편집을 통해 영사기에 의해 영사막 상에 종합적으로 재현되는 것을 지칭한다. 영화를 지칭하는 용어로는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film’, ‘movie’, ‘cinem...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공동 주택. 1970년대에 시작된 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일어난 새마을운동의 정신을 발현하고자 가난한 예술인들의 복지 지원, 일반 시민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연 예술의 활성화, 개개인의 예술적 능력 향상을 목표로 예술인들이 모여 예술인복지재단을 결성하였다. 이사장에 이신명(李新明)[본명 이일성(李日聖)] 감독, 부사장 심우섭, 전무이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자동화 설비 제조업체. (주)예은테크는 공장 자동화 설비를 설치·제작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1월 15일 성암시스템으로 설립되었다. 2002년 2월 25일 예은테크를 설립한 뒤, 2003년 1월 4일 (주)예은테크로 법인 전환을 하였다. 2003년 2월 20일 (주)성암시스템을 합병하였고, 2004년 7월 24일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자동화 설비 제조업체. (주)예은테크는 공장 자동화 설비를 설치·제작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1월 15일 성암시스템으로 설립되었다. 2002년 2월 25일 예은테크를 설립한 뒤, 2003년 1월 4일 (주)예은테크로 법인 전환을 하였다. 2003년 2월 20일 (주)성암시스템을 합병하였고, 2004년 7월 24일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오목골공원은 2001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47,210㎡이다. 파고라·산책로와 배드민턴장·철봉 등의 간단한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낮은 야산에는 소나무·단풍나무·상수리나무·후박나무·갈참나무·굴참나무 등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식재되어 있다....
-
현대의 소설가이자 언론인. 오상원은 1929년 평안북도 선천군 신부면에서 출생하여 1985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원당골에 있다. 오상원은 1949년 용산고등학교를 거쳐 1953년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였다. 그 해 동아일보사에 입사한 후 언론계에 투신하는 한편 창작 활동을 하였다. 동아일보사에 입사한 후 1960년에 사회부 기자를 거쳐 그 뒤 동아방송...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사능(士能)·함장(含章), 호는 단원(檀園)·단로(檀老)·단옹(檀翁)·단구(丹邱, 丹丘)·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취화사(醉畵士, 醉畵史, 醉畵師)·첩취옹(輒醉翁)·농한(農漢)·농사옹(農社翁)·대우암(對右庵)·오수당(午睡堂). 증조부는 만호를 지낸 김진창(金震昌), 할아버지는 김수성(金壽星), 아버지는 김석무(金錫武)...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조명 제조업체. 1919년 6월 1일 AEG·SIEMENS&Halske·독일가스등회사 등 3사의 조명 사업을 통합하면서 탄생한 오스람은 독일 지멘스 사가 단독 주주인 지멘스의 자회사로, 세계 150여 개국에 제품을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본사는 뮌헨에 있으며, 오스람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체 직원 수는 총 41,000명이다. 2007년 매출액...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조명 제조업체. 1919년 6월 1일 AEG·SIEMENS&Halske·독일가스등회사 등 3사의 조명 사업을 통합하면서 탄생한 오스람은 독일 지멘스 사가 단독 주주인 지멘스의 자회사로, 세계 150여 개국에 제품을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본사는 뮌헨에 있으며, 오스람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체 직원 수는 총 41,000명이다. 2007년 매출액...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연(聖淵), 호는 석북(石北)·오악산인(五嶽山人).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신호(申澔), 어머니는 이휘(李徽)의 딸, 처는 해남윤씨(海南尹氏)로 윤두서(尹斗緖)의 딸이다. 신광수는 문장으로 뛰어난 강박(姜樸)과 학행과 시문으로 잘 알려진 이덕주(李德冑)의 문하에 출입하였다. 가문이 남인인 때문에 초년부터 관직 진출이...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건중(建中), 호는 오애(浯涯).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에 증직된 김여물(金汝岉)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역임한 김류(金瑬)이다. 아버지는 한성부판윤을 지낸 김경징(金慶徵)이며, 어머니는 고령박씨로 부사 고효성(高孝誠)의 딸이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아버지는 강도검찰사로서 방어 실패의 책임을 지고 사형되었으며...
-
고려 후기 안산 지역에 은거한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할아버지는 개성부좌윤 오천(吳蕆), 아버지는 예부상서 오윤백(吳允伯), 아들은 오빈이다. 오언은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 병마사, 원수, 도순문사를 역임하였다. 우왕 초에 왜적이 울주, 청도, 밀양, 자인, 언양 등지에 침입하자, 원수(元帥)로서 우인열(禹仁烈), 배극렴(裵克廉), 하을지(河乙沚)와 더불어 울주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옥(伯玉), 호는 월곡(月谷). 증조부는 오숙(吳䎘), 할아버지는 오두인(吳斗寅), 생부는 공조정랑 오진주(吳晋周), 생모는 김창협(金昌協)의 딸이다. 숙부(叔父)인 해창위(海昌尉) 오태주(吳泰周)와 현종의 딸인 명안공주(明安公主)에게 입양되었다. 해창위(海昌尉) 오태주(吳泰周)에게 입양되었다. 이재(李縡)의 처질이다. 오원은 이재...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할아버지는 오선(吳璿), 아버지는 개성부좌윤 오천(吳蕆)이며, 아들은 도순무사 오언(吳彦)이다. 오윤백은 1310년(충선왕 2) 문과에 급제하여 예부상서를 역임하였다. 묘소는 본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있었으나 1983년 전라북도 김제시 월촌면 신월리로 이장되었다....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속하였던 산. 신경준이 1769년 편찬한 『산경표(山經表)』에 따르면 한남정맥(漢南正脈)은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끝나는 안성 칠장산(七長山)에서 시작되어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에 이르는 경기도 한강 본류와 남한강의 남쪽 유역을 분수령으로 해발 100m 미만의 낮은 등성이를 연결한 산줄기를 말한다. 한남정맥은 인천광역시와 시흥시, 안산시,...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십완목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 오징어는 오적어, 남어, 흑어(黑魚)라고도 하며, 우리가 주로 먹는 살오징어와 갑오징어로 구분된다. 무침이나 순대, 회, 탕, 포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몸은 머리와 몸통·다리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촉완(觸腕)[긴 두 다리]과 8개의 다리가 있다. 배 쪽에 있는 깔때기는 외투막 속의 바닷물이나 배설물·생식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려각. 오정각은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하였던 이조판서 충의공(忠毅公) 김문기(金文起)와 그의 아들 김현석(金玄錫)의 충신 정문, 탄옹공(炭翁公) 김충주(金忠柱)와 그의 아들 한천공(寒泉公) 김경남(金景南), 그리고 손자 성지당(姓支堂) 김약전(金約前)의 효자 정문을 모신 곳이다. 1851년 경기도 안산의 유생들과...
-
화정동 너빌 마을에 들어서서 중간쯤 올라가면 마을 회관이 나오며, 다시 그곳에서 왼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집들과 산이 만나는 야트막한 언덕이 나오는데, 그곳에 서 있는 커다란 은행나무 옆에 오정각이 있다. 이 오정각(五旌閣)은 마을 주민들에게 오랫동안 정신적인 큰 힘이 되어 왔다. 화정동 29번지에 있는 오정각은 김녕김씨 가문의 충신과 효자를 기려 세워진 정각으...
-
화정동 너빌 마을에 들어서서 중간쯤 올라가면 마을 회관이 나오며, 다시 그곳에서 왼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집들과 산이 만나는 야트막한 언덕이 나오는데, 그곳에 서 있는 커다란 은행나무 옆에 오정각이 있다. 이 오정각(五旌閣)은 마을 주민들에게 오랫동안 정신적인 큰 힘이 되어 왔다. 화정동 29번지에 있는 오정각은 김녕김씨 가문의 충신과 효자를 기려 세워진 정각으...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영중(英仲), 호는 파운(坡雲)이다. 증조부는 오윤상(吳允常), 할아버지는 오치성(吳致成), 아버지는 오우선(吳友善)이며, 오홍선(吳弘善)에게 입양되었다. 1829년(순조 29) 출생하여 1894년(고종 31)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고, 1919년에 세운 묘갈명이 있다. 오준영은 1855년(철...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속하였던 섬. 조선시대 안산 지역의 오질애와 무응고리는 봉수 체계 가운데 제5거에 해당되는 곳이었다. 제5거의 경로는 전라도 순천 방답진에서 출발하여 경기도에 들어와 양성·수원·남양의 해운산을 거처 안산에 이르며, 이는 다시 부평을 지나 양천 개화산에서 한양 목멱산[남산]에 전달되었다. 오질애(烏叱哀) 또는 오질이도(吾叱耳島)로 불리다가, 조선 말기부터...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속하였던 섬. 조선시대 안산 지역의 오질애와 무응고리는 봉수 체계 가운데 제5거에 해당되는 곳이었다. 제5거의 경로는 전라도 순천 방답진에서 출발하여 경기도에 들어와 양성·수원·남양의 해운산을 거처 안산에 이르며, 이는 다시 부평을 지나 양천 개화산에서 한양 목멱산[남산]에 전달되었다. 오질애(烏叱哀) 또는 오질이도(吾叱耳島)로 불리다가, 조선 말기부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십완목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 오징어는 오적어, 남어, 흑어(黑魚)라고도 하며, 우리가 주로 먹는 살오징어와 갑오징어로 구분된다. 무침이나 순대, 회, 탕, 포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몸은 머리와 몸통·다리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촉완(觸腕)[긴 두 다리]과 8개의 다리가 있다. 배 쪽에 있는 깔때기는 외투막 속의 바닷물이나 배설물·생식물...
-
고려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희기(希起). 아버지는 찬성사 오준(吳濬)이다. 오천(吳蕆)[1255~1332]은 1276년(충렬왕 2) 문과에 급제하였고, 1318년(충숙왕 5) 중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쳐 삼사의 좌윤과 개성부좌윤에 이르렀다. 묘소는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있다가, 1983년 전라북도 김제군 월촌면 신월리로 이장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적외선 센서 제조업체. (주)오카스는 MEMS를 기반으로 한 적외선카메라와 소자 분야를 연구·개발 및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12월 (주)오카스로 설립되었다. 2003년 6월 경기테크노파크에 입주하였다. 2004년 8월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였다. 2007년 9월 공정 장비 스퍼터(Sputter)를 설치하였다. (주)오카스는 첨단...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적외선 센서 제조업체. (주)오카스는 MEMS를 기반으로 한 적외선카메라와 소자 분야를 연구·개발 및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12월 (주)오카스로 설립되었다. 2003년 6월 경기테크노파크에 입주하였다. 2004년 8월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였다. 2007년 9월 공정 장비 스퍼터(Sputter)를 설치하였다. (주)오카스는 첨단...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도장(道長), 호는 취몽헌(醉夢軒). 아버지는 형조판서 오두인(吳斗寅), 어머니는 상주황씨(尙州黃氏)로 부사를 지낸 황연(黃挻)의 딸이다. 오태주는 1679년(숙종 5) 현종의 딸인 명안공주(明安公主)와 혼인하여 해창위(海昌尉)에 봉해졌고 명덕대부(明德大夫)에 올랐다. 그 뒤 광덕대부(光德大夫)로 품계가 오르고 오위도총부도총...
-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선칠(璿七)이다. 아버지는 오학영(吳學泳)이고, 어머니는 우봉이씨이다. 1874년(고종 11) 출생하여 1922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다. 오형근은 진사시에 합격한 후 1891년(고종 28)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쳐 비서원승(秘書院丞)에 이르렀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소릉(少陵)·오호(五湖)·서산(西山)·파릉(巴陵).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형은 응교 이상홍(李尙弘)이며, 동생은 예조참판을 지낸 이상신(李尙信)이고, 아들은 이지안(李志安)이다....
-
조선 후기 김희성이 경기도 안산 원당사 계곡에 띠집을 짓고 살면서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김희성(金喜誠)[1722~1791]의 본관은 전주, 자는 중익(仲益), 호는 불염자(不染子)·불염재(不染齋)이다. 본명은 김희겸(金喜謙)이다. 전주김씨는 주로 함경도 일대에 집단으로 거주한 씨족인데, 조선 후기에 와서 어떤 경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일파가 서울로 이주하여 수많은 여항시인을 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소프트웨어 제조업체. (주)옥토테크놀러지는 IT 산업의 대표적 인프라인 PC를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한편, 에너지 절약형·친환경적 PC의 사용 환경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7년 1월 9일 회사명을 소명으로 설립하여 경기테크노파크에 입주하였다. 2008년 (주)옥토테크놀로지로 법인 전환하였다. 멀티PC 솔루션의 개발·생산 및 국...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소프트웨어 제조업체. (주)옥토테크놀러지는 IT 산업의 대표적 인프라인 PC를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한편, 에너지 절약형·친환경적 PC의 사용 환경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7년 1월 9일 회사명을 소명으로 설립하여 경기테크노파크에 입주하였다. 2008년 (주)옥토테크놀로지로 법인 전환하였다. 멀티PC 솔루션의 개발·생산 및 국...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홍장(弘章), 호는 옥포(玉圃)이다. 선조의 부마 진안위(晉安尉) 유적(柳頔)의 12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진형(柳進馨), 아버지는 유승철(柳承哲), 어머니는 남양홍씨이다. 1919년 4형제 중 둘째로 지금의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서 출생하였으며, 1981년 사망하였다. 묘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선영에 있다. 유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문화 체육 시설. 안산올림픽기념관은 친절하고 투명한 시설 대관 업무를 추진하며, 다양한 취미 교실을 운영하여 시민의 여가 선용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시설물을 이용하도록 노력하고 있는 경기도 안산의 대표적인 문화 체육 시설이다. 안산올림픽기념관은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념하고, 온 국민의 성원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수령 130년의 보호수. 엄나무는 높이 30m, 가슴높이 둘레 1.8m에 달하는 두릅나무과의 낙엽 교목이다. 굵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크면서 편평한 가시가 달린다. 잎은 어긋나고 거의 둥글며 가장자리가 단풍잎처럼 5~9개로 갈라진다. 황록색 꽃이 7~8월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둥글며 10월에 검게 익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조선시대 와곡리(瓦谷里)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와곡은 기와를 굽던 마을인 기와골[瓦谷]의 한자 표기이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잉화면 와곡리(瓦谷里) 지역으로, 1912년 와상리(瓦上里)와 와하리(瓦下里)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시흥군 수암면 와리(瓦里)로 합쳐졌다. 1986년 안산시 출범에 따라 안산시 와동이 되었고, 2002년 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와동공원은 1985년 안산시 단원구 와동 지역 주민은 물론 주변 공단 근로자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5년 경기도 안산 지역의 3·1운동을 주도하였던 독립운동가 홍순칠의 기념비가 세워졌다. 총 면적은 56,895㎡이며, 1,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현대식 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마을 단위로 만들었던 조직의 하나. 두레란 동리 단위 또는 마을 단위로 농사일을 공동으로 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서 현대적 의미로는 공동 농업 노동 조직이다. 조선 후기 중남부 지방의 미작지대에서는 이앙법이 실시됨에 따라 집단노동이 요구되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두레가 조직되었다. 한편, 두레는 국가적인 민중...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배드민턴장. 배드민턴은 가장 대표적이고 대중화된 생활체육 종목으로,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는 배드민턴전용경기장이 설치되어 있어 인근 주민의 여가 활동 및 체력 증진에 도움을 주고 있다. 와동배드민턴전용경기장은 2005년 11월 배드민턴 동호인의 저변 확대 및 시민 건강 증진을 도모할 목적으로 안산시에서 총 사업비 26억 7400만 원을 들여 조성하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배드민턴장. 배드민턴은 가장 대표적이고 대중화된 생활체육 종목으로,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는 배드민턴전용경기장이 설치되어 있어 인근 주민의 여가 활동 및 체력 증진에 도움을 주고 있다. 와동배드민턴전용경기장은 2005년 11월 배드민턴 동호인의 저변 확대 및 시민 건강 증진을 도모할 목적으로 안산시에서 총 사업비 26억 7400만 원을 들여 조성하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와동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1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일치의 모후이다. 매년 10월 15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21년 하우현본당 관할의 와리공소로 설립되었다. 이후 천주교 인천교구에 속해 있다가 1970년부터 천주교 수원교구 관할로 이관되었다. 1977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농구 전용 실내 체육관. 와동체육관은 2004년 안산시 단원구 와동 지역 주민은 물론 주변 공단 근로자들의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7,819㎡이다. 체육관 바닥은 국제 규격[26mx41m]이며, 관람석은 1,106석이 마련되어 있다. 부대시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와동제1공원은 안산시 단원구 와동 지역 주민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88,708㎡이다. 약 7,000본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으며, 다목적운동장·어린이놀이터·진입광장·숲동산·산책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단한 체력 단련 시설이 구비되어 있으며, 기타 휴양 및 편의 시설로 파고라·의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와동제1공원은 안산시 단원구 와동 지역 주민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88,708㎡이다. 약 7,000본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으며, 다목적운동장·어린이놀이터·진입광장·숲동산·산책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단한 체력 단련 시설이 구비되어 있으며, 기타 휴양 및 편의 시설로 파고라·의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믿음과 사랑으로 남을 배려할 줄 아는 도덕인, 자신과 공동의 일을 스스로 해결할 줄 아는 자주인, 소질과 재능을 계발하고 신장시켜 능력을 발휘하는 실력인, 새롭게 생각하고 가치 있는 도전을 추구하는 창의인, 심신의 단련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새롭게, 더 넓게’이다. 와동중학교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와동공원은 1985년 안산시 단원구 와동 지역 주민은 물론 주변 공단 근로자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5년 경기도 안산 지역의 3·1운동을 주도하였던 독립운동가 홍순칠의 기념비가 세워졌다. 총 면적은 56,895㎡이며, 1,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현대식 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농구 전용 실내 체육관. 와동체육관은 2004년 안산시 단원구 와동 지역 주민은 물론 주변 공단 근로자들의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7,819㎡이다. 체육관 바닥은 국제 규격[26mx41m]이며, 관람석은 1,106석이 마련되어 있다. 부대시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 시민의 자질을 갖춘 어린이, 창의력과 특기를 지닌 어린이, 외국어 회화 능력과 정보 활용 능력을 지닌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4년 11월 1일 「와동국민학교 설치조례」가 공포되고, 1995년 6월 1일 고잔국민학교[현 고잔초등학교]와 화랑국민학교[현 화랑초등학교]에서 와동국민학교...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와리면을 소개하는 가장 빠른 기록은 조선 후기 영조 때 완성된 『여지도서(輿地圖書)』이다. 이후 1842~1843년 간행된 『경기지(京畿誌)』나 1871년 간행된 『경기읍지(京畿邑誌)』에 수록된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 등에도 언급되어 있다. 조선시대 안산군의 관문에서 서쪽으로 약 12㎞ 떨어진 곳에 위치한 지역이었다. 『여지도서』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개구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와리와 개구리」는 와동의 명칭은 개구리에서 유래되었고, 와동의 와자가 원래는 개구리 와(蛙)자였다고 주장하는 지명유래담이다. 농부는 개구리를 살려 주는 은혜를 베풀고 그에 대한 보은으로 화수분 쌀바가지를 얻었다는 동물보은담이기도 하다. 1983년 경기도 안산시 와동에서 이한기가 채록하여 1990년 내고장안산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풍물놀이. 와리풍물놀이는 다양한 역할을 맡은 춤꾼들과 악기를 연주하는 놀이꾼이 서로 어울려 몸동작이나 진을 구성하며 노는 놀이와 연희이다. 이를 ‘동작리두레풍물놀이’, ‘와상농악(瓦上農樂)’이라고도 한다. 와리풍물놀이의 의상은 민복이라 부르는 흰 바지저고리에 남색 조끼를 입는데, 행전을 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상쇠를 비롯한 모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풍물놀이. 와리풍물놀이는 다양한 역할을 맡은 춤꾼들과 악기를 연주하는 놀이꾼이 서로 어울려 몸동작이나 진을 구성하며 노는 놀이와 연희이다. 이를 ‘동작리두레풍물놀이’, ‘와상농악(瓦上農樂)’이라고도 한다. 와리풍물놀이의 의상은 민복이라 부르는 흰 바지저고리에 남색 조끼를 입는데, 행전을 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상쇠를 비롯한 모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종합경기장. 안산와~스타디움이라는 명칭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경기장 시민들의 화합의 목소리인 ‘와~’, ‘Welcome to Ansan’, 세계적인 도시 ‘World Ansan’, 대부도로 대표되는 ‘Wine Ansan’, 녹색 친환경 도시 ‘Wood Ansan’, 승리자 안산 ‘Winner Ansan’, 여성의 도시 ‘Women An...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엔드밀 제조업체인 YG-1의 제조 공장. YG-1은 국내 최대, 세계 5대 엔드밀(END MILL) 제조업체로서 1981년 양지원공구로 설립되었다. 이후 인천 제1공장·인천 제2공장·안산공장·광주공장을 준공함으로써 국내 관련 업계에서 입지를 확실히 하고 있으며, 중국·영국·프랑스·일본·독일·인도 등 세계 각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국제적인 글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엔드밀 제조업체인 YG-1의 제조 공장. YG-1은 국내 최대, 세계 5대 엔드밀(END MILL) 제조업체로서 1981년 양지원공구로 설립되었다. 이후 인천 제1공장·인천 제2공장·안산공장·광주공장을 준공함으로써 국내 관련 업계에서 입지를 확실히 하고 있으며, 중국·영국·프랑스·일본·독일·인도 등 세계 각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국제적인 글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엔드밀 제조업체인 YG-1의 제조 공장. YG-1은 국내 최대, 세계 5대 엔드밀(END MILL) 제조업체로서 1981년 양지원공구로 설립되었다. 이후 인천 제1공장·인천 제2공장·안산공장·광주공장을 준공함으로써 국내 관련 업계에서 입지를 확실히 하고 있으며, 중국·영국·프랑스·일본·독일·인도 등 세계 각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국제적인 글로...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청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준치는 생선 중에 가장 맛있다 하여 ‘참다운 물고기’라는 뜻의 진어(眞魚)라고도 한다. 또한 초여름이 지나면 완전히 사라졌다가 이듬해 봄에 나타나는 습성 때문에 시어(時魚)라고도 한다. 살 속에 잔가시가 많이 있으나, 예부터 ‘썩어도 준치’라는 말이 있을 만큼 맛이 좋다. 몸길이는 40~50㎝ 정도이다. 등의 외곽선은 직선...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보리새우과에 속하는 갑각류. 대하는 십각목 보리새우과의 갑각류로, 몸집이 큰 새우라는 뜻으로 대하(大蝦)라고 한다. 닭새우·왕새우·해하(海鰕)라고도 하며, 황해를 중심으로 남해 일부 해역에도 분포한다. 살이 많고 맛이 좋아 고급 새우에 속한다. 끌그물어구[引網漁具]를 해저에서 끌어서 고기를 잡는 트롤어업을 통하여 잡거나 양식을 한다. 주로 소금구이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서 왕주물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왕주물」은 대부북동의 종현마을에서 가장 큰 우물에 얽힌 유래담이다. 현재 우물의 모습은 흔적도 없으며, 그 귀신 이야기만이 전승되고 있다. 1996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종현마을에서 이정태가 채록하였는데, 이는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안산시사』 중권에 실려 있다. 안산시 단원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던 자연마을. 조선 선조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주민들이 힘을 합쳐 마을에 침입한 왜인(倭人)을 두들겨 물리쳤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왜두둘기는 본래 압술에 속했던 마을로 압술과 동작리 사이에 있었다. 왜두둘기에는 임씨가 정착한 이래 고성이씨, 안산김씨 등이 세거해 오다가 1987년 안산 신도시계획에 따라 당시 거주하던 28가구 대부분은 와동의 새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던 자연마을. 조선 선조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주민들이 힘을 합쳐 마을에 침입한 왜인(倭人)을 두들겨 물리쳤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왜두둘기는 본래 압술에 속했던 마을로 압술과 동작리 사이에 있었다. 왜두둘기에는 임씨가 정착한 이래 고성이씨, 안산김씨 등이 세거해 오다가 1987년 안산 신도시계획에 따라 당시 거주하던 28가구 대부분은 와동의 새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복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왜병에 복수한 왜독마을 어머니」는 자기 딸을 욕보인 왜병에게 복수한 처녀 어머니의 복수담과, ‘왜독’이란 지명이 ‘왜두들기’로 바뀌게 된 지명유래담이다. 1989년 5월 18일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김순봉[남, 73]으로부터 최내옥·김용덕·강경화·이정임·송현정 등이 채록하였는데, 이는...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육체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중소 규모의 제조업체들이 집중된 산업경제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경기도 안산 지역은 여건상 국내 타 지역에 비해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는 지역이다. 따라서 경기도 안산 지역에는 다양한 국적을 가진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국내 타 지역에 비해 특히 많이 밀집되어 있다. 경기도 안산 지역의 이주노동...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육체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중소 규모의 제조업체들이 집중된 산업경제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경기도 안산 지역은 여건상 국내 타 지역에 비해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는 지역이다. 따라서 경기도 안산 지역에는 다양한 국적을 가진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국내 타 지역에 비해 특히 많이 밀집되어 있다. 경기도 안산 지역의 이주노동...
-
경기도 안산 앞바다의 섬들은 바닷길을 이용하여 중국에서 우리나라 중부, 곧 평택항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꼭 거쳐야 하는 지역이다. 또한 남해에서 서해를 거쳐 서울로 가기 위해서도 반드시 거쳐 가야 하는 중요한 곳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풍도 앞바다는 수심이 깊어 대형 선박이 정박하기에 좋을 뿐만 아니라, 충청도 서산과 당진, 경기도 평택, 중국과의 항로를 사방으로 감시하기 좋은 곳이...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사수(士秀)이며, 호는 피구자(披裘子)·외암(畏庵). 증조부는 선공감정(繕工監正)을 지낸 김약균(金若鈞), 할아버지는 목사(牧使) 김수렴(金粹濂)이고, 아버지는 찰방(察訪) 김훈(金壎)이며, 어머니는 신천강씨(信川康氏)로 부사 강의(康顗)의 딸이다. 아들은 영의정 김류(金瑬)이다. 김여물의 가문은 무신 집안이어서 어려서부터 병서(兵書)...
-
조선 중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용경(龍卿), 호는 저교(渚嶠)·봉음(峯陰). 할아버지는 공조판서 유잠(柳潛), 아버지는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 어머니는 동래정씨(東萊鄭氏)로 정유길(鄭惟吉)의 딸이다. 형은 유희담(柳希聃)이다. 유희안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사복시판관과 사복시첨정을 지냈으며 1628년(인조 6) 조카 유두립...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서 용담불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용담불과 산신제」는 용 모양 같은 연못을 용담불이라 하고, 용의 혀를 닮았다고 해서 용마갈이라 칭한다는 지명유래담이다. 또한 용과 자라가 자갈을 주워가면 사람에게 벌을 내리는 측면에서 보면 일종의 암석재앙담이기도 하다. 1988년 6월 27일 경기도 안산시 사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유진한[남, 51]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에 있는 산자락. 뒷산 모양이 서쪽은 용이 입을 벌리고 있는 형상이고 동쪽은 용의 꼬리처럼 생겼으므로 산 아래 깊은 못은 용담(龍潭), 산자락은 용담뿌리, 위쪽은 용아가리라 하였다. 용아가리에는 예전에 활을 쏘던 활터가 있고, 6·25전쟁 때 반월초등학교가 불에 탔을 때 야외 학습장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용담뿌리 아래로 반월동에서 화성시 비봉으로 이어지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에서 물을 퍼 올리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용두레질 소리」는 긴 용두레로 논에 물을 퍼 올려 대면서 하던 노래이다. 이를 「물품는 소리」라고도 한다. 물을 푸는 농구(農具)에는 용두레·맞두레·무자위 등이 있다. 맞두레는 두레박 양쪽에 줄을 달아 두 사람이 가지런히 작업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무자위나 용두레는 혼자 작업이 가능하다. 1989년 7월 29...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 있는 자연마을. 구봉염전 쪽에 있는 서의산으로부터 바다로 길게 뻗어 나간 끝 지점으로 디딜방아의 방아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871년 제작된 대부도 지도에는 한문으로 방아찧을 ‘용(舂)’자를 써서 용두포(舂頭浦)로 표기되어 있다. 약 150년 전부터 배씨, 최씨, 강씨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였다. 대부도와 떨어진 섬이었으나 약 60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과 사동을 연결하는 도로. 용신로는 수인산업도로 북고개삼거리에서 분기되어 해안로의 사리사거리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와 안산시 상록구청이 인접하고 있으며, 본오동과 안산신도시 2단계 지역 시민이 주로 이용하는 도로이다. 용신로의 전체 길이는 4.67㎞이며, 6차선으로 도로 폭은 30m이다. 용신로의 주요 통과지는 수인산업도로와 상...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侍仲)을 지낸 김은부(金殷傅)이고, 어머니는 인천이씨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된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동생은 현종의 네 번째 비인 원혜왕후와 일곱 번째 비인 원평왕후이다. 현종과 사이에 덕종(德宗)과 정종(靖宗)·인평왕후(仁平王后)·경숙공주(景肅公主)를 두었다. 원성왕후(元成王后)[?~1028]는 지금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용하공원은 2003년 안산시 상록구 이동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13,440㎡이다. 중심광장과 잔디광장 등의 개방 공간과 화장실·주차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게이트볼장과 농구대 등의 체력 단련 시설과 정자쉼터·자전거 보관 시설 등의 편의 시설 및 휴양 시설이 설치되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용하운동장은 2003년 안산시 상록구 사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0,143㎡이다. 풋살구장·게이트볼장·롤러광장·배드민턴장 등의 체육 시설과 각종 운동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2009년 현재 관리자는 안산...
-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진주. 자는 우경(羽卿), 호는 청천(菁川). 할아버지는 강현구(姜鉉九), 아버지는 강규환(姜奎煥)이다. 강재홍은 1835년 안산에서 태어났다. 강재홍은 향리에 우거하면서 많은 문집을 남겼으며, 향리에 세거하고 있는 성씨들의 족보인 『연성성보(蓮城姓譜)』의 정사보(丁巳譜)와 무인보(戊寅譜)를 편집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
-
고주물의 산 역사 박순기 장로는 고주물 마을의 밀양박씨 입향조 박관회의 후손이자, 박거겸 장군의 18세 후손이다. 어려서는 동네 서당에서 공부를 하였는데, 친구인 정완종의 아버지가 훈장이었다. 그리고 조금 후에는 너빌에 살던 박용호 어른이 훈장으로 와서 수학하였다. 당시 같은 또래 30여 명이 거의 서당에서 공부를 하였는데, 박순기 장로는 집안 형편이 어렵고 가난해서...
-
안산시내에서 대부도로 전화를 하려면 전화번호 앞에 반드시 인천 지역번호인 032번호를 붙여야 한다. 1994년 주민투표로 안산시에 편입되기 전에는 인천과 더 가까웠다는 것을 보여 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지리적으로 가까운 시흥시와 화성시, 아니면 그전에 생활 근거지가 되었던 인천광역시를 젖혀 두고 어떻게 대부도는 안산시 단원구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될 것일까? 어떻게...
-
종현 마을의 행정명은 대부북동 8통으로 6개의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현 마을의 ‘이장’과 그 밑에 있는 ‘반장’은 마을의 행정적인 일, 작목반 운영, 기타 마을 일을 맡아서 한다. 이장[통장]의 경우 영농조합대표와 팜스테이대표 등을 겸임하고 있으며, 반장은 통장을 도와서 마을 일을 본다. 이장과 반장 등의 통반 조직 외에 종현 마을에는 다양한 조직들이 운영되고 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냉음극 형광램프 제조업체. 우리ETI주식회사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0년 5월 25일 우리ETI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2003년 광원연구소를 설립하였고, 2006년 대덕사업장을 준공하였다. 우리ETI주식회사는 LCD-TV 시장에서의 선점을 위하여 대형 냉음극 형광램프는 물론 EEFL·U-SHAPE 등...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냉음극 형광램프 제조업체. 우리ETI주식회사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0년 5월 25일 우리ETI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2003년 광원연구소를 설립하였고, 2006년 대덕사업장을 준공하였다. 우리ETI주식회사는 LCD-TV 시장에서의 선점을 위하여 대형 냉음극 형광램프는 물론 EEFL·U-SHAPE 등...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냉음극 형광램프 제조업체. 우리ETI주식회사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0년 5월 25일 우리ETI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2003년 광원연구소를 설립하였고, 2006년 대덕사업장을 준공하였다. 우리ETI주식회사는 LCD-TV 시장에서의 선점을 위하여 대형 냉음극 형광램프는 물론 EEFL·U-SHAPE 등...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의 의료인·의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호는 우봉(又峰)이다. 1896년 출생하여 1973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138번지에 있으며, 묘비는 1983년에 건립되었다. 임명재는 서울 제일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모교에서 조교수로 일하였다. 이어 서울 안국동에서 안동의원을 개업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일본인 의사단체인 경성의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자연마을. 동쪽은 오봉산, 남쪽은 안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마치 우산처럼 둥근 지형 안에 자리 잡은 마을이므로 우산(于山)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 산모퉁이에 있는 마을이어서 우산(隅山)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예전에는 대쟁이를 아랫말, 우산이를 웃말이라 부를 만큼 대쟁이와 한 마을로 불렸다. 우산이는 대쟁이 동북쪽에 있다. 안산신도시 개발 이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자연마을. 동쪽은 오봉산, 남쪽은 안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마치 우산처럼 둥근 지형 안에 자리 잡은 마을이므로 우산(于山)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 산모퉁이에 있는 마을이어서 우산(隅山)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예전에는 대쟁이를 아랫말, 우산이를 웃말이라 부를 만큼 대쟁이와 한 마을로 불렸다. 우산이는 대쟁이 동북쪽에 있다. 안산신도시 개발 이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자연마을. 동쪽은 오봉산, 남쪽은 안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마치 우산처럼 둥근 지형 안에 자리 잡은 마을이므로 우산(于山)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 산모퉁이에 있는 마을이어서 우산(隅山)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예전에는 대쟁이를 아랫말, 우산이를 웃말이라 부를 만큼 대쟁이와 한 마을로 불렸다. 우산이는 대쟁이 동북쪽에 있다. 안산신도시 개발 이전...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문화(文化), 호는 우석(又石)이다. 사육신인 유성원(柳誠源)의 후예이며, 도승지(都承旨) 유효립(柳孝立)의 10세손으로 아버지 유인근(柳寅根)과 어머니 이성희(李聖姬)의 3남매 중 2남이다. 1911년 서울 가산동에서 출생하였고, 1986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동막골에 있다. 1988년 5월에 세운 묘비의 비문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참서대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참서대는 설어(舌魚) 또는 혜저어(鞋底魚), 우설어(牛舌魚), 설대어, 서대, 서대기라고도 한다. 종류로는 참서대, 개서대, 각시서대 등이 있다. 몸길이는 약 27㎝이다. 긴 타원 모양이며, 옆으로 납작하고 눈은 작고 왼쪽에 치우쳐 있다. 주둥이 끝은 둥글고 입은 눈 아래에서 배지느러미 쪽으로 심하게 굽어 있다. 등지느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염색가공, 편직, 봉제 전문 업체. (주)우성염직은 믿을 것은 오직 품질뿐이라는 신념과 손해를 보는 한이 있어도 신용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고객이 만족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신뢰 있는 일류기업이 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8년 2월 28일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에 (주)우성염직이 창립되었다. 1978...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앞바다에서 궁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우음도의 궁살」은 고기를 잡아 임금님께 진상하던 궁살의 내력담이다. 궁살이란 사동 앞바다에 쳐 놓은 그물[독살]을 일컫는다. 1988년 11월 14일 안산시 원곡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이제덕[남, 51]으로부터 이한기가 채록하였는데, 이는 1990년 내고장안산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내고장 안산』에...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 아버지는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낸 안극(安極),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익령(李益齡)의 딸, 처는 창녕성씨(昌寧成氏)로 성순(成純)의 딸이다. 안정복은 1712년(숙종 38) 12월 25일 충청도 제천에서 출생하였다....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백승(伯承), 호는 우정(牛井). 증조부는 예조참판 강징(姜澂), 아버지는 교위 강응서(姜應瑞), 어머니는 용인이씨(龍仁李氏)로 정랑 이영성(李永成)의 딸이다. 강종윤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567년(명종 22) 진사에 오른 후 1596년(선조 29) 남평현감을 거쳤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
개항기 안산 출신의 정치가.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성숙(聲肅)이며, 호는 우정(羽亭)이다. 남양홍씨 남양군파 32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치섭(洪致燮)이고, 아버지는 홍재원(洪在源)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외아들로 태어났다. 홍종우(洪鍾宇)[1850~1913]는 몰락한 양반 가문에서 출생하여 어린 시절 경제적으로 빈곤한 생활을 하였으며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전라남도 고금도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자동차 부속품 제조업체. 우진공업주식회사는 자동차 부속품 및 내연 기관 부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5월 25일 한국 PLUG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69년 3월 공장을 가동하였고, 1981년 6월 공장을 반월공업단지로 이전하였다. 1989년 9월 NGK SPARK PLUG CO., LTD.와 합작 투자 인가를 받았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자동차 부속품 제조업체. 우진공업주식회사는 자동차 부속품 및 내연 기관 부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6년 5월 25일 한국 PLUG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69년 3월 공장을 가동하였고, 1981년 6월 공장을 반월공업단지로 이전하였다. 1989년 9월 NGK SPARK PLUG CO., LTD.와 합작 투자 인가를 받았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우창정기(주)는 자동차 장금 장치 등의 자동차 부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2월 21일 (주)신창전기와 독일 후프(HUF)사의 합작 투자로 법인인 한국후프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1989년 3월 공장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93년 1월 독일 후프(HUF)사의 자본 철수로 (주)신창전기가 인수하여 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우창정기(주)는 자동차 장금 장치 등의 자동차 부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2월 21일 (주)신창전기와 독일 후프(HUF)사의 합작 투자로 법인인 한국후프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1989년 3월 공장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93년 1월 독일 후프(HUF)사의 자본 철수로 (주)신창전기가 인수하여 그...
-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우편, 체신, 금융 기관. 우체국은 주로 우편물의 접수, 운송, 배달과 같은 우정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예금이나 보험 등의 금융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지식경제부의 우정사업본부가 전국 8개 지역에 직할 기관인 체신청을 두고 이러한 사업이나 업무를 총괄적으로 관할하고 있다. 안산시의 우체국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일원의 우정 사업을 총...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바람에 의하여 하늘 높이 올라간 미세한 모래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황토를 우토(雨土)·토우(土雨)라 적었으며, ‘흙비’라고도 불렀다. ‘황사(黃砂)’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이다. 황사에 관한 최초 기록은 174년, 곧 신라 아달라왕 21년으로, ‘우토(雨土)’라는 표현이 처음으로 등장...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치영(穉永), 호는 운강(雲崗). 증조할아버지는 정희보(鄭熙普)이고, 할아버지는 이조참판에 증직된 정육(鄭稑)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정찬흠(鄭燦欽)으로, 이조참판에 증직된 정성흠(鄭星欽)에게 입양되었다. 어머니는 이지회(李之晦)의 딸이다. 정홍경(鄭鴻慶)[1768~?]은 1807년(순조 7) 진사시에 합격하고, 1813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운경(雲卿). 아버지는 승문원정자 유명전(柳命全), 어머니는 초계정씨(草溪鄭氏)로 정원첨(鄭元詹)의 딸, 처는 여흥민씨(驪興閔氏)로 민점(閔點)의 딸이다. 유재는 1673년(현종 14) 진사시에 합격하고 1679년(숙종 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80년 승문원정자로 재직하였는데, 이때 남인 허견(許堅)의 집에 출입했다고 하...
-
조선 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경순(景醇), 호는 사숙재(私淑齋)·운송거사(雲松居士)·국오(菊塢)·만송강(萬松岡). 할아버지는 동북면순무사(東北面巡撫使)를 역임한 강회백(姜淮伯), 아버지는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로 영의정 심온(沈溫)의 딸, 처는 순흥안씨(順興安氏)로 안숭효(安崇孝)의 딸이다. 형은 인순부윤(仁順...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의료인.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성수(性壽), 호는 운암(雲巖)이다. 1891년(고종 28)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서 아버지 김준성(金駿聲)과 어머니 순흥안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나 안산문묘(安山文廟) 직원 김교성(金敎聲)에게 양자로 갔다. 효자 김충주(金忠柱)의 13세손이며 오정각을 건립한 김처일(金處一)의 증손이다. 부인 송수려(宋水麗)와의...
-
조선 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자는 백응(伯應), 호는 운정(芸亭). 아버지는 문하시중을 지낸 이경(李坰)이다. 이숙번은 서울 돈의문 밖[현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에서 태어났으며 1393년(태조 2) 조선왕조 개국 후 첫 번째 치러진 과거시험에 급제하였다. 1398년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로 있을 때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
일제강점기와 현대 안산 출신의 의료인. 본관은 김녕(金寧)이고, 호는 운초(雲樵)이다. 공조판서 김문기(金文起)의 14세손으로, 1904년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너빌마을에서 아버지 김봉성(金鳳聲)과 어머니 한양조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971년 6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부인 영일정씨와의 사이에 4남을 두었으며, 묘는 단원구 화정동 너빌마을 뒷산에 있다...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속하였던 산. 신경준이 1769년 편찬한 『산경표(山經表)』에 따르면 한남정맥(漢南正脈)은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끝나는 안성 칠장산(七長山)에서 시작되어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에 이르는 경기도 한강 본류와 남한강의 남쪽 유역을 분수령으로 해발 100m 미만의 낮은 등성이를 연결한 산줄기를 말한다. 한남정맥은 인천광역시와 시흥시, 안산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있는 자연마을. 웃버대는 마을 동남쪽에 있는 강징(姜澂)[1466~1536]의 묘가 풍수로 보아 꾀꼬리가 버드나무 가지에 집을 짓고 사는 앵소유지(鶯巢柳枝) 형국이므로 마을 하천 둑에 버드나무를 많이 심은 뒤로 마을을 ‘버들촌’이라 한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버들촌의 위쪽에 해당하므로 웃버대라 하였다. 일제강점기 말엽까지만 해도 버드나무가 많았으나 주...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금융인. 본관은 김녕(金寧)이다.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김재우(金在雨), 아버지는 진사 김영성(金永聲), 어머니는 여산송씨이다. 전 서울지검장 김용찬(金溶璨)의 동생이다. 1912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서 출생하여 1984년 사망하였다. 묘는 화정동 너빌마을 쑥개골에 있다. 김용각은 1932년 경성제일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37...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원고잔공원은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120,646㎡이다. 4천여 본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으며, 운동 시설로 농구장 1면, 게이트볼장 1면, 족구장 1면, 배트민턴장 2면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밖에 어린이놀이터와 산책로·체력 단련 시설 등이 갖추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윤리를 배워 실천하는 사람을 기른다, 자기를 바르게 알고 자긍하며 주체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기른다, 스스로 탐구하며 합리적으로 사고하여 사물에 밝은 사람을 기른다, 명랑하고 심미적이며 창의적인 강인한 체력을 갖춘 사람을 기른다, 소질을 계발하고 노작의 정신이 투철하여 발전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사람을 기른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원곡공원은 1990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지역 주민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이후 현충일을 기념하기 위해 정상부에 현충탑을 건립하였다. 총 면적은 35,278㎡이다. 약 6,800여 본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으며, 현충탑과 화장실·관리사무소·어린이놀이터·게이트볼장·배드민턴장·산책로·주차장·의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1914년 원상리(元上里)와 모곡리(茅谷里)를 통합하면서 원상리의 ‘원(元)’자와 모곡리의 ‘곡(谷)’자를 취하여 원곡리(元谷里)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와리면 원상리와 모곡리였다가 1914년 두 마을을 합쳐 시흥군 군자면 원곡리가 되었다. 1986년 안산시 출범에 따라 안산시 원곡동이 되어 행정동인 군자동 관할이 되었다. 1988년 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단원보건소 산하의 보건지소. 원곡보건지소는 중국 동포 및 외국인 환자, 노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내과, 치과, 한방 등의 무료 진료를 실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3년 3월 외국인 밀집 주거 지역인 원곡동 국경없는마을에서 중국 동포 및 이주노동자건강지원센터로 시작되었으며 2005년 5월 17일 안산단원보건소 원곡보건지소로 개소하였다. 200...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원곡동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1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노동자 성 요셉이다. 매년 5월 1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1984년 6월 25일 수암성당[현 와동성당]에서 분당되었으며 단원구 원곡동 현 위치에 성전을 건축하여 봉헌 미사를 올린 후 본당 활동을 시작하였다. 원곡동성...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던 수인선 철도역. 수인선 개통과 함께 1937년 8월 5일부터 원곡역이 영업을 시작하였다. 원곡역은 수인선 협궤열차의 철도역으로 영업하다가 1988년 안산선이 개통하면서 폐역되었다. 원곡역은 1994년 9월 1일 폐지되어 철거되었다. 2009년 7월 현재 수인선은 복선전철화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원곡역은 재설치 계획이 없다. 1937년 수인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민주 애국인, 과학 실력인, 질서 예절인, 근검 협동인, 건강 정서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근면, 성실, 창의’이다. 원곡중학교는 1982년 1월 16일 6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1일 개교하였다. 초대 이훈재 교장이 취임하였다. 1990년 11월 5일 다목적교실[체육관]을 준공하였고, 1992년 12월 31...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한 해의 첫 명절.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이라 하고, 설은 세수(歲首)·세초(歲初)·정초(正初)라고 한다. 새해의 첫날이니만큼 행동을 함부로 경망하게 하지 말자는 뜻에서 ‘삼가는 날’이라고도 한다. 우리 고유의 명절 중 가장 큰 명절이다. 설날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한 해의 첫 명절.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이라 하고, 설은 세수(歲首)·세초(歲初)·정초(正初)라고 한다. 새해의 첫날이니만큼 행동을 함부로 경망하게 하지 말자는 뜻에서 ‘삼가는 날’이라고도 한다. 우리 고유의 명절 중 가장 큰 명절이다. 설날은...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 출신의 김진표가 지은 한시. 김진표(金震標)[1614~1671]의 자호(自號)는 동애(東厓), 오애(梧厓), 동리(東籬) 등으로 사용되었다. 김진호의 증조부 김여물(金汝岉)[1548~1592]은 임진왜란 당시 충주의 탄금대 전투에서 전사하였으며, 조부는 인조반정의 1등 원훈(元勳)으로 대제학과 영의정을 지낸 북저(北渚) 김류이다. 아버지 김경징(金慶徵)[15...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고려시대 원당사의 절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불우조를 보면 원당사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 사찰조에는 “원당사가 읍치 동쪽 수리산 아래에 있다. 원당사 뒤편에는 우단(雨壇)이 있으며 뜰에는 작은 탑이 있는데 ‘천희원년(天禧元年)’이라는 네 글자가 새겨져 있어 삼국시대에 창건된 절임을 알 수 있다”고...
-
조선 후기 강희영이 경기도 안산의 원당사에 올라 지은 오언절구의 한시. 「원당사에 올라」는 양산(諒山) 강희영(姜羲永)[1796~1867]의 문집 『양산시고(諒山詩稿)』에 실려 있는 작품이다. 강희영의 아버지 강준흠은 물론이고 아들 강우형 모두 시명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춘산근황혼(春山近黃昏)[봄 산에 황혼이 깃들고] 고사종성만(古寺鐘聲晩)[옛 절 저녁 종소리] 창해귀범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고려시대 원당사의 절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불우조를 보면 원당사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 사찰조에는 “원당사가 읍치 동쪽 수리산 아래에 있다. 원당사 뒤편에는 우단(雨壇)이 있으며 뜰에는 작은 탑이 있는데 ‘천희원년(天禧元年)’이라는 네 글자가 새겨져 있어 삼국시대에 창건된 절임을 알 수 있다”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던 자연마을. 큰백중 동북쪽에 있던 마을로 군사상 요새지여서 고려 때부터 둔전(屯田)[군량 또는 관아의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국가가 지급한 토지]과 둔전병(屯田兵)[군사상 중요지이거나 또는 군대들이 오래 머무는 곳에서 농사를 짓는 병졸]이 경작하던 논배미가 있었으므로 둔배미라 불렀다고 한다. 또 초지동에서 가장 먼저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원당(元堂)...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었던 마이크로광축케이블 제조업체. 마이크로광축케이블[Micro Coaxial Cable]은 머리카락 굵기 정도의 초극세 케이블과 커넥터(connector)를 연결하는 고난도 기술이 필요한 제품으로, 원더풀전자는 우수한 연구진을 바탕으로 국내 기술에 의한 연구 개발 및 양산을 진행하였다. (주)원더풀전자는 마이크로광축케이블[Micro Coaxial Ca...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었던 마이크로광축케이블 제조업체. 마이크로광축케이블[Micro Coaxial Cable]은 머리카락 굵기 정도의 초극세 케이블과 커넥터(connector)를 연결하는 고난도 기술이 필요한 제품으로, 원더풀전자는 우수한 연구진을 바탕으로 국내 기술에 의한 연구 개발 및 양산을 진행하였다. (주)원더풀전자는 마이크로광축케이블[Micro Coaxial Ca...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원백(源伯). 증조할아버지는 이창환(李昌煥)이고, 할아버지는 이경(李坰)이다. 아버지는 좌랑 이태석(李泰錫)이며, 어머니는 생원 윤해수(尹海壽)의 딸이다. 이광식(李光湜)[1690~1754]은 1717년(숙종 43)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중앙의 여러 관직을 거쳤다. 1726년(영조 2) 온양군수로 재직할 때 민가를 헐어 친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자연마을. 마을 남쪽에 있는 산이 풍수로 보아 가마[釜]를 엎어 놓은 형국이어서 가마산[伏釜山]이라 하였으며, 후에 이곳에 취락이 형성되자 산 이름을 따서 가마골이라 하였다. 후대에 내려오면서 개멸[元釜谷]로 통칭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마을 북쪽 지역이 나무가 많고 숲이 우거진 곳이라 하여 만수동(萬樹洞)이라 불렀고, 동쪽 지역이 골짜기 안에 위치...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는 불교 계통의 신종교. 원불교는 우주의 근본 원리인 일원상(一圓相)의 진리를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는 종교로 1916년 소태산(小太山) 박중빈(朴重彬)[1891~1943]이 창시하였다. 개교 표어는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이며 진리적 신앙과 사실적 도덕 훈련을 통하여 낙원 세계를 실현시키려는 이상을 내세우고 있다. 교단을 총괄하기 위하...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侍仲)을 지낸 김은부(金殷傅)이고, 어머니는 인천이씨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된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동생은 현종의 네 번째 비인 원혜왕후와 일곱 번째 비인 원평왕후이다. 현종과 사이에 덕종(德宗)과 정종(靖宗)·인평왕후(仁平王后)·경숙공주(景肅公主)를 두었다. 원성왕후(元成王后)[?~1028]는 지금의...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侍仲)을 지낸 김은부(金殷傅)이고, 어머니는 인천이씨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된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동생은 현종의 네 번째 비인 원혜왕후와 일곱 번째 비인 원평왕후이다. 현종과 사이에 덕종(德宗)과 정종(靖宗)·인평왕후(仁平王后)·경숙공주(景肅公主)를 두었다. 원성왕후(元成王后)[?~1028]는 지금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원숙(源叔). 판서 이계남(李季男)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이태석(李泰錫)이며, 어머니는 조수(趙琇)의 딸이다. 형은 호조참의를 지낸 이광직(李光溭)이다. 이광익(李光瀷)[1703~1780]은 1733년(영조 9) 문과에 형과 함께 급제하였다. 1743년(영조 19) 사헌부지평을 거쳐 사간원정언·사헌부장령·사간원헌납·한성부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1914년 안산군 와리면 원하리(元下里)와 시우동(時雨洞)을 통합하면서 원하리의 ‘원’자와 시우동의 ‘시’자를 취하여 원시리(元時里)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와리면 원하리와 시우동 지역으로, 1914년 두 지역을 합쳐 시흥군 군자면 원시리가 되었다. 1986년 안산시 출범에 따라 안산시 원시동이 되어 행정동인 원초동 관할이 되었다. 19...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원시운동장은 1981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지역 주민은 물론 인근 공업단지 근로자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2008년 5월 축구장을 인조 잔디로 보수하였다. 총 면적은 23,703㎡이다. 가로, 세로 105mx68m의 축구장이...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한 해의 첫 명절.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이라 하고, 설은 세수(歲首)·세초(歲初)·정초(正初)라고 한다. 새해의 첫날이니만큼 행동을 함부로 경망하게 하지 말자는 뜻에서 ‘삼가는 날’이라고도 한다. 우리 고유의 명절 중 가장 큰 명절이다. 설날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건강한 신체와 건전한 정신을 지닌 사람, 자신과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스스로 힘쓰는 사람, 창의적 사고를 갖고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는 사람, 타인을 배려하며 옳은 일을 실천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원일중학교는 1989년 1월 26일 5학급 설립 인가받아, 3월 1일 개교하였다. 1990년 3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예절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실천하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기능을 연마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을 튼튼히 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기본이 바로 되고 슬기로운 원일 어린이’이다. 1986년 12월 4일 원일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7년 3월 1일 20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
나의 고향은 원곡동이 아니다. 내가 태어나 어른이 되기까지 살았던 곳은 여기에서 멀지 않은 선부리 달미라는 곳이다. 선부리는 지금의 단원구 선부동으로, 반월공단이 조성되면서 공단의 배후 주거 단지로 대규모 택지가 조성된 곳이다. 내가 태어나고 자란 집과 장가가서 다섯 형제를 낳았던 집, 그리고 집 주변에 있던 농토는 모두 없어지고, 이제 그 위에는 다른 사람이 들어와 집을 짓고 살...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원중(源仲). 할아버지는 이경(李坰)이고, 아버지는 이태석(李泰錫)이며, 어머니는 생원 윤해수(尹海壽)의 딸이다. 형은 사헌부집의와 한성부좌윤 등을 지낸 이광익(李光瀷)이다. 이광직(李光溭)[1692~?]은 1733년(영조 9) 문과에 동생과 함께 급제하였다. 오랫동안 사헌부지평·사간원정언·사헌부장령 등을 번갈아 역임하였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원지(元之), 호는 현석(玄石)·서석(瑞石). 할아버지는 부사직 한경남(韓敬男), 아버지는 우의정 한응인(韓應寅)이다. 사위로 선조의 열째 아들 흥안군(興安君) 이제(李瑅)가 있었으나 이괄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한인급은 경기도 안산 월곡면 사사리(沙士里)[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다....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을 지낸 김은부(金殷傅), 어머니는 소성백(邵城伯)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현종의 제3비 원성왕후(元成王后), 제4비 원혜왕후(元惠王后)와 자매간이다 원평왕후는 안산현[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에서 태어났다. 현종 초년에 거란이 침입하여 왕이 나주로 피난하였는데, 왕궁으로 귀환하던 도중 공주에 묵게 되었...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던 자연마을. 큰백중 동북쪽에 있던 마을로 군사상 요새지여서 고려 때부터 둔전(屯田)[군량 또는 관아의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국가가 지급한 토지]과 둔전병(屯田兵)[군사상 중요지이거나 또는 군대들이 오래 머무는 곳에서 농사를 짓는 병졸]이 경작하던 논배미가 있었으므로 둔배미라 불렀다고 한다. 또 초지동에서 가장 먼저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원당(元堂)...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원포공원은 안산 2단계 신도시 개발 당시 쾌적한 주거 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한국수자원공사에서 반월공업단지와 주거 지역 사이에 완충녹지대로 2004년에 조성하였다. 원포공원의 부지 면적은 101,491㎡이며, 공원 내에는 교목 16,044본과 관목 9,700본 등 총 25,744본의 나무를 심었다. 주요 시설로는 그늘막 3개와 벤치...
-
고려 전기 안산 출신의 왕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시중을 지낸 김은부(金殷傅), 어머니는 소성백(邵城伯)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현종의 제7비 원평왕후(元平王后), 현종의 제3비 원성왕후(元成王后)와 자매간이다. 원혜왕후는 안산현[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에서 태어났다. 현종 초년에 거란이 침입하여 왕이 나주로 피난하였는데 왕궁으로 귀환하던 도중 공주에 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 있는 자연마을. 고주물은 밀양박씨가 처음 터를 잡은 마을로, 안산시 화정영어마을[옛 화정초등학교] 앞에 있는 우물이 풍수로 보아 매화꽃이 떨어지는 형국[梅花落地形]이고, 오랜 옛날 이곳에서 선화(仙花)라는 꽃이 피어서 꽃우물이라 했으며, 또한 매화꽃이 피었다 하여 꽃우물이라 했다고 한다. 그 후 마을 이름도 우물 이름을 따 꽃우물이라 하였는데, 점차...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옥(伯玉), 호는 월곡(月谷). 증조부는 오숙(吳䎘), 할아버지는 오두인(吳斗寅), 생부는 공조정랑 오진주(吳晋周), 생모는 김창협(金昌協)의 딸이다. 숙부(叔父)인 해창위(海昌尉) 오태주(吳泰周)와 현종의 딸인 명안공주(明安公主)에게 입양되었다. 해창위(海昌尉) 오태주(吳泰周)에게 입양되었다. 이재(李縡)의 처질이다. 오원은 이재...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득지(得之), 호는 월곡(月谷).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7세손으로 할아버지는 부사직 한경남(韓敬男), 아버지는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한응인(韓應寅),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현감 이담령(李聃齡)의 딸이고, 처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딸이다. 한덕급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월곡면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 조선 후기 영조 때 완성된 『여지도서(輿地圖書)』이다. 하지만 이때는 안산군 관할이 아닌 광주군 관할이었다. 이후 1906년(고종 43)에 반포된 칙령 제49호 「지방 구역 조정 건」에 따라 처음으로 안산군 소속으로 등장하였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월곡면 호적에 편입된 호(戶)는 351호로 나타난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주기적·전승적·반복적·의례적으로 거행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행위.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주기에 반복하여 거행하는 주기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를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일 년 혹은 수년을 단위로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 의례이기에 시계성과 주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민속 명절. 추석은 중추절(仲秋節)이라고 하여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명절이다. 가배(嘉俳)·가위·한가위·월석(月夕)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이래 주요 명절 중 하나였으며 오늘날에는 설날 다음으로 강하게 전승되고 있다. 추석은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일 년 중 가장 풍성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던 자연마을. 본래의 이름은 월입피(月入陂)로 달이 지고 해가 뜨는 언덕바지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다리피가 되었다. 조선시대에 ‘1논줄[지금의 시흥시 논곡동 논줄] 2다리피’라고 할 만큼 안산에서는 명성이 높았던 마을이었고, 월입피주막이 유명하였다. 해마다 음력 10월 1일 마을 동북쪽에 있는 도당산에서 당제를 지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조선시대의 월입피(月入陂)·월피(月陂)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월입피는 ‘해[달] 뜨는 언덕에 있는 마을’을 뜻하는 다리피[月入陂]의 한자 표기이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잉화면 월피리였다가 1914년 시흥군 수암면 월피리가 되었다. 1986년 안산시 출범에 따라 안산시 월피동이 되어 행정동인 수암동 관할이 되었다. 1991년 행정동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월피동 고인돌군은 경기도 안산 지역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고인돌 유적지 가운데 하나로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 안산천변에 위치해 있다. 1978년 경희대학교박물관에서 월피동 고인돌 2기를 조사하였고, 1983년 한양대학교박물관에서 4기를 확인하였다. 1978년 경희대학교박물관의 조사에 의하면 고인돌의 하부 구조는 지석 없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월피동 고인돌군은 경기도 안산 지역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고인돌 유적지 가운데 하나로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 안산천변에 위치해 있다. 1978년 경희대학교박물관에서 월피동 고인돌 2기를 조사하였고, 1983년 한양대학교박물관에서 4기를 확인하였다. 1978년 경희대학교박물관의 조사에 의하면 고인돌의 하부 구조는 지석 없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월피동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1지구 소속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한국의 모든 성인 성녀이다. 1995년 9월 14일 수암성당[현 와동성당]에서 분당되었으며 상록구 월피동 현 위치에 성전 건축에 착수하였다. 1999년 4월 25일 봉헌미사를 보고 본격적인 본당 활동을 전개하였다. 2003년 9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및 공작 기계 제조업체인 (주)위아의 제조 공장. 현대위아는 자동차 부품과 공작 기계 전문 제조업체로서 1976년 (주)기아기공으로 설립되었다. 창립 이후 공작 기계 및 자동차용 변속기를 생산하고, 국내 최초의 머시닝센터를 개발한 바 있다. 1986년 대한중기공업 창원공장을 인수·통합하고, 창원 남산공장 및 창원 정동공장·광주공장·반...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진주목사를 지낸 김성경(金星慶)이고, 어머니는 한국부인(韓國夫人) 평양조씨이다. 김정경(金定卿)[1345~1419]은 고려 후기에 군부사총랑을 역임하였고, 조선왕조가 들어서자 태조 이성계를 지지하였다. 삼군절도사를 거쳐 이조전서를 지냈다. 특히 재임 중에 인사를 잘하였다. 1404년(태종 4) 좌군도총제를 거쳐 1408년...
-
삼천리 마을에서는 약 50여 년 전까지도 터미산에서 산신제를 지내고, 마을 입구의 서낭당에서 서낭제를 지냈다. 터미산 산신제는 삼천리 마을 사람들이 모두 참여하는 중요한 마을 제사였다. 산신제는 매년 정월 대보름 안에 천문역법을 잘 아는 마을 어른이 정하는 길일을 택하여 터미산 정상 부근의 서낭[참나무]에서 지냈는데, 제관은 지난 1년간 집안에 좋은 일이 생긴...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덕조(德祖), 호는 해암(海巖). 할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역임한 유명현(柳命賢), 아버지는 성균진사였던 유뢰(柳耒), 어머니 사천목씨(泗川睦氏)로 목임일(睦林一)의 딸이다. 유경종의 가문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남인계 가문으로 조부대의 유명천(柳命天), 유명현, 유명견(柳命堅), 유명전(柳命全)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의 유교의 연원과 전개 및 현황. 유교는 중국의 고대 봉건 국가의 사상·이념 등을 집대성한 것으로, 충(忠)과 효(孝)를 기본으로 각종 예법을 강조하고 있다. 인(仁)을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 이념으로 삼고,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윤리학이자 정치학이다. 우리나라에 전래된 유교의 특징으로는 첫째, 우...
-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유교와 관련된 유적. 우리나라에 전래된 유교는 삼국의 발생을 전후하여 한사군(漢四郡)[BC 108~AD 313]이 설치되면서 중국 문물의 유입과 더불어 유교사상이 도입되었다는 견해가 있다. 그래서 삼국시대 초기 고대국가가 성립되면서 유교문화의 수용이 더욱 확산되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유교의 기본 윤리인 삼강오륜은 전통사회의 일상적 실천원리로서 가장 중요한 역...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원피가공 및 가죽 제조업체. 3M POWER[MAN, MANAGEMENT, MARKETING]라는 케치 프레이즈와 고품질 및 고부가가치의 창출이라는 경영 방침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최신 설비의 생산 체제 확보 등 세계 최고의 피혁 회사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기업이다. 1974년 4월 신진피혁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86...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자산(子山). 아버지는 유명현(柳命賢),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우(許堣)의 딸, 처는 사천목씨(泗川睦氏) 목천민(睦天民)의 딸과 안동권씨(安東權氏) 권중경(權重經)의 딸이다. 유래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11년(숙종 37) 진사시에 합격한 뒤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1726년(영조 2) 12월 성균...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유린(幼麟), 호는 양강(楊江).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좌랑을 지낸 윤엄(尹儼)이고, 할아버지는 공조참의를 역임한 윤민헌(尹民獻)이다. 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윤강(尹絳)이며, 어머니는 유익(柳杙)의 딸이다. 부인은 판중추부사 이정영(李正英)의 딸이고, 동생은 정승을 지낸 윤지선(尹趾善)과 윤지완(尹趾完)이다. 윤지인(尹趾仁)...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백고(伯固), 호는 모산(茅山). 아버지는 사성(司成) 유영(柳潁),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고, 처는 광주이씨(廣州李氏) 이억(李億)의 딸이다. 동생이 이조판서를 지낸 유명천(柳命天)과 유명현(柳命賢)이다. 유명견은 1672년(현종 13) 별시문과에 병과 6등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에 제수된 후 사간원정언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사완(士完). 아버지는 사성(司成) 유영(柳潁),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며, 처는 청주한씨(淸州韓氏) 한강(韓崗)의 딸과 초계정씨(草溪鄭氏) 정원첨(鄭元詹)의 딸이다. 동생은 이조참판을 지낸 유명견(柳命堅), 이조판서를 지낸 유명천(柳命天)과 유명현(柳命賢)이다. 백부는 유적(柳頔), 백모는 전주이씨(全州李...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사원(士元), 호는 퇴당(退堂)·청헌(菁軒). 아버지는 사성(司成) 유영(柳潁),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며, 처는 고령신씨(高靈申氏) 신기한(申起漢)의 딸과 한양조씨(漢陽趙氏) 조송년(趙松年)의 딸이다. 양부는 강원도관찰사 유석(柳碩), 양모는 광주이씨(廣州李氏)로 이정겸(李廷謙)의 딸이...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사희(士希), 호는 정재(靜齋). 아버지는 사성(司成) 유영(柳潁),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며, 처는 평산신씨(平山申氏) 신명유(申命儒)의 딸과 양천허씨(陽川許氏) 허우(許遇)의 딸이다. 유명현은 1675년(현종 14)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후 부수찬, 사인, 부제학을 지냈고...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홍장(弘章), 호는 옥포(玉圃)이다. 선조의 부마 진안위(晉安尉) 유적(柳頔)의 12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진형(柳進馨), 아버지는 유승철(柳承哲), 어머니는 남양홍씨이다. 1919년 4형제 중 둘째로 지금의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서 출생하였으며, 1981년 사망하였다. 묘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선영에 있다. 유문...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홍장(弘章), 호는 옥포(玉圃)이다. 선조의 부마 진안위(晉安尉) 유적(柳頔)의 12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진형(柳進馨), 아버지는 유승철(柳承哲), 어머니는 남양홍씨이다. 1919년 4형제 중 둘째로 지금의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서 출생하였으며, 1981년 사망하였다. 묘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선영에 있다. 유문...
-
경기도 안산시 일대에서 유복자의 재산 찾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8년 경기도청에서 발간한 『경기도 전설지』에 수록되어 있는 것을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안산시사』에 재수록하였다. “원참, 별일도 다 있네. 어린 새댁이 상제(喪制)가 된 신랑한테 잠자리를 같이했다는 증서를 써 달라 하니.” 이것은 신랑 부친의 장사 마당에서 뭇사람끼리 웃고 쑥덕거리...
-
경기도 시흥 지역[조선시대 안산군]에서 유부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유부자」의 전승 지역이 시흥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나 전해지는 지역이 불분명한 설화이다. 다만 호랑이에 대한 내용은 상록구 사동 지역에 전승되는 「소금등거리 소금장수」 설화와 흡사하다. 1988년 경기도청에서 발간한 『경기도 전설지』에서 발췌하여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안산시사』 중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식품 포장재 제조업체인 (주)유상의 제조 공장. (주)유상은 미래포장산업의 경쟁력이 단순한 고객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니즈(Needs)를 뛰어 넘어 고객에게 감동을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가치의 창조에 있다는 신념 아래 지난 30여 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품질...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덕보(德甫), 호는 개산(皆山). 아버지는 사옹원정 유시회(柳時會),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상주판관(尙州判官) 권길(權吉)의 딸, 처는 광주이씨(廣州李氏)로 이정혐(李廷馦)의 딸이다. 유석은 1613년(광해군 5) 진사시에 합격하고, 1625년(인조 3) 별시문과에 병과 6등으로 급제하였다. 1625년 홍문관정자로 있을 때 선...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유석의 묘와 신도비. 유석[1595~165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덕보(德甫), 호는 개산(皆山)이다. 정언 유격(柳格)의 손자로, 사옹원시정(司饔院寺正) 유시회(柳時會)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로 권길(權吉)의 딸이다. 1613년(광해군 5)에 진사를 거쳐 1624년(인조 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중건(仲健), 호는 기정(碁汀). 아버지는 유격(柳格),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희천(李希天)의 딸, 처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이대화(李大禾)의 딸이다. 형은 사옹원정을 지낸 유시회(柳時會)이다. 유시행은 1589년(선조 22) 진사시에 합격하여 태천현감(泰川縣監)을 지냈다. 1599년 별시문과에 병과 6등으로 급제하여 사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중가(仲嘉), 호는 수촌(水村)·성산(星山). 아버지는 유격(柳格),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희천(李希天)의 딸이다. 유시회는 1589년(선조 22)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00년 용천군수를 역임하였으며 이후 호조정랑, 회양부사, 중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612년(광해군 4) 평산부사를 지냈으며, 1620년에는 선산부사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1동에 있는 원격진료시스템 및 원격상담시스템 구축업체. (주)유신씨엔씨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의 의료 솔루션 연구 및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주)유신씨앤씨 법인을 설립하였으며, 2007년 5월 벤처기업으로 지정받았다. 같은 해 6월에는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
-
경기도 안산 지역 인근 바다에서 서식하는 연체동물. 호독어는 갑오징어목 꼴뚜기과의 연체동물로 유어(柔魚), 골독어, 망조어(望潮魚), 장어, 반소, 꼴뚜기라고도 한다. 오징어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크기가 작으며, 서해의 얕은 바다에서 많이 잡힌다. 주로 젓갈을 만들어 먹는다. 좌우 대칭으로 몸통은 길쭉하며 뼈는 얇고 투명하며 각질로 되어 있다. 다리는 10개이며, 다리를 포함한 몸길...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세이(洗耳), 호는 유항(柳巷). 아버지는 교리(校理) 유시행(柳時行),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이대화(李大禾)의 딸, 처는 진주강씨(晋州姜氏) 강홍적(姜弘勣)의 딸과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다. 유영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밑에서 교육을 받았는데 글재주가 비상하여 9세에 세인들의 칭송을 받을 만한 시...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문화(文化), 호는 우석(又石)이다. 사육신인 유성원(柳誠源)의 후예이며, 도승지(都承旨) 유효립(柳孝立)의 10세손으로 아버지 유인근(柳寅根)과 어머니 이성희(李聖姬)의 3남매 중 2남이다. 1911년 서울 가산동에서 출생하였고, 1986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동막골에 있다. 1988년 5월에 세운 묘비의 비문은...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문화(文化), 호는 우석(又石)이다. 사육신인 유성원(柳誠源)의 후예이며, 도승지(都承旨) 유효립(柳孝立)의 10세손으로 아버지 유인근(柳寅根)과 어머니 이성희(李聖姬)의 3남매 중 2남이다. 1911년 서울 가산동에서 출생하였고, 1986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동막골에 있다. 1988년 5월에 세운 묘비의 비문은...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진옥(振玉), 호는 창소(蒼巢). 할아버지는 유정열(柳庭說), 아버지는 유운흡(柳雲翕), 어머니는 청주한씨(淸州韓氏)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준겸(韓浚謙)의 5세손 한덕용(韓德龍)의 딸이다. 안산십오학사(安山十五學士)의 한 사람인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의 손녀사위이다. 유원명은 1794년(정조 18) 정시문...
-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관인. 본관은 진주(晋州)이고, 자는 주명(周鳴), 호는 모산(帽山)·백산(白山)이다. 아버지는 처사(處士) 유방이다. 1851년(철종 2) 출생하였고 1945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다. 유원성은 1874년(고종 11)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897년에는 법부주사로서 고종이 원구단에서 고유제를 지낼 때 재랑(齋郞)으로 참여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RFID 관련 소재 부품 개발 및 제조업체. (주)유웨이브는 신용카드를 대체할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스마트칩 관련 응용 제품의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2008년 5월 14일 법인을 설립하였다. 2015년 11월 29일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서 현재의 위치인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당쟁이로 14[신...
-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晋州), 아버지는 유원형(柳遠衡)이다. 1870년(고종 7)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출생으로 3·1운동 당시에는 지금의 상록구 월피동에 거주하고 있었다. 묘는 상록구 부곡동에 있다. 유익수는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전국적으로 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그는 1919년 3월 30일 능곡리의 윤병소(尹秉昭), 와리(瓦...
-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晋州), 아버지는 유원형(柳遠衡)이다. 1870년(고종 7)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출생으로 3·1운동 당시에는 지금의 상록구 월피동에 거주하고 있었다. 묘는 상록구 부곡동에 있다. 유익수는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전국적으로 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그는 1919년 3월 30일 능곡리의 윤병소(尹秉昭), 와리(瓦...
-
조선 전기의 열녀. 본관은 동래(東萊). 할아버지는 부사를 지낸 정복겸(鄭福謙)이고, 아버지는 좌의정을 역임한 정유길(鄭惟吉)이다. 남편은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이며, 셋째 딸이 광해군과 혼인하여 임금의 장모가 되었다. 유자신의 아내 동래정씨[1541~1620]는 1554년(명종 9) 출가하여 시부모 봉양에 정성을 다하였다. 임금을 사위로 두었으나 평소와 다름없이...
-
조선 전기의 열녀. 본관은 동래(東萊). 할아버지는 부사를 지낸 정복겸(鄭福謙)이고, 아버지는 좌의정을 역임한 정유길(鄭惟吉)이다. 남편은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이며, 셋째 딸이 광해군과 혼인하여 임금의 장모가 되었다. 유자신의 아내 동래정씨[1541~1620]는 1554년(명종 9) 출가하여 시부모 봉양에 정성을 다하였다. 임금을 사위로 두었으나 평소와 다름없이...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운경(雲卿). 아버지는 승문원정자 유명전(柳命全), 어머니는 초계정씨(草溪鄭氏)로 정원첨(鄭元詹)의 딸, 처는 여흥민씨(驪興閔氏)로 민점(閔點)의 딸이다. 유재는 1673년(현종 14) 진사시에 합격하고 1679년(숙종 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80년 승문원정자로 재직하였는데, 이때 남인 허견(許堅)의 집에 출입했다고 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의관이자 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대이(大而), 호는 문성(文城). 아버지는 숙종 때 두창(痘瘡)[천연두) 치료로 이름이 높았던 의관이자 행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던 유상(柳瑺)이다. 유중림(柳重臨)[1705~1771]은 여러 형제 중 유일하게 아버지의 의술을 이어받았다. 1721년(경종 1) 진사가 되었고 처음에는 업유(業儒)를 지내는 등 군문(軍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철도 차량 부품 제조업체. 유진기공산업은 철도 차량 부품을 제작·공급하며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생산 라인 구축과 생산기술 혁신을 통해 무한 경쟁 시대에 대비하고, 첨단 기술력과 품질 시스템을 토대로 높은 품질의 산업용 컴프레서(compressor)[압축기]를 제작하여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종합 컴프레서 업체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익지(益之), 호는 유천(柳川). 증조부는 정선군수 한승원(韓承元), 할아버지는 한여필(韓汝弼), 아버지는 경성판관(鏡城判官) 한효윤(韓孝胤), 어머니는 예빈시정(禮賓寺正) 신건(申健)의 딸이다. 인조의 장인이다. 한준겸은 1579년(선조 12) 생원과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585년에 태릉참봉에 천거되었으며, 이듬해에 별시문과에 병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百拙齋)·유촌(柳村).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6세손으로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경주김씨로 현감(縣監)을 지낸 김만일(金萬鎰)의 딸이다. 사헌부감찰을 지낸 한응굉(韓應宏)이 동생이다. 한응인의 후손에서 문과 급제자 37명, 무과 급제자 24명, 정1품 4...
-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유아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 기관. 유치원은 「교육법」에 의해 설치·운영되는 교육과학기술부 관할의 교육 기관으로 재정 형태에 따라 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으로 구분된다. 공립 유치원은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주를 이루며, 사립 유치원은 개인, 법인, 종교 단체 등 설립 주체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다. 2009년 3월 현재 경기도 안산시에는 초등학교 병설 유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3동에 있는 보안장비 전문업체. (주)유피에스정보통신은 CCTV, DVR, 화상인식시스템 등 보안 관련 연구개발 및 특허를 통하여 고객의 편안한 생활과 안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1998년 3월 28일 한국보안시스템을 설립하였다. 1998년 CCTV사업부, 1999년 DVR 사업부를 개설하였다. 2003년 4월 (주)유피에스정보통신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세이(洗耳), 호는 유항(柳巷). 아버지는 교리(校理) 유시행(柳時行),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이대화(李大禾)의 딸, 처는 진주강씨(晋州姜氏) 강홍적(姜弘勣)의 딸과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다. 유영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밑에서 교육을 받았는데 글재주가 비상하여 9세에 세인들의 칭송을 받을 만한 시...
-
경기도 안산 출신의 문화예술인. 본관은 진주. 자는 화일(華日), 호는 창농(倡農)·화은(華隱)이고, 초명은 유해창(海昶)이다. 유방(柳霶)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원성(柳遠聲)이고 아버지는 유한수(柳漢秀)이다. 유갑수(柳甲秀)에게 입양되었다. 유해엽은 부곡동 매미골에 있는 경성당에서 거주하며 지역의 역사를 알리는 데 힘을 다했다. 묘소는 상록구 부곡동 선산에 있다. 유해엽은 휘...
-
경기도 안산 출신의 문화예술인. 본관은 진주. 자는 화일(華日), 호는 창농(倡農)·화은(華隱)이고, 초명은 유해창(海昶)이다. 유방(柳霶)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원성(柳遠聲)이고 아버지는 유한수(柳漢秀)이다. 유갑수(柳甲秀)에게 입양되었다. 유해엽은 부곡동 매미골에 있는 경성당에서 거주하며 지역의 역사를 알리는 데 힘을 다했다. 묘소는 상록구 부곡동 선산에 있다. 유해엽은 휘...
-
조선 중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용경(龍卿), 호는 저교(渚嶠)·봉음(峯陰). 할아버지는 공조판서 유잠(柳潛), 아버지는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 어머니는 동래정씨(東萊鄭氏)로 정유길(鄭惟吉)의 딸이다. 형은 유희담(柳希聃)이다. 유희안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사복시판관과 사복시첨정을 지냈으며 1628년(인조 6) 조카 유두립...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섬. 안산시 대부도에서 남서쪽으로 약 20㎞ 떨어진 곳에 위치한 육도는 안산시 풍도동에 속해 있는 섬으로, 북위 37°04′40″ 동경 126°27′50″[미육도]에 위치해 있다. 육도는 풍도에서 뱃길로 20분 거리에 있는 끝눅섬·가운데눅섬·육도·질마섬·정초리섬·물우녀 여섯 개의 섬을 통틀어 부르는 이름이기도 하다. 사람이 사는 섬은 가장 큰 섬...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아이가 태어나서 만 한 살이 될 때까지 치르는 모든 의례. 육아의례는 출산 후부터 이루어지는 수유·목욕·첫 외출·작명·백일·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이를 ‘출생의례’, ‘성장의례(成長儀禮)’라고도 한다. 이러한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백일·돌 등을 들 수 있다. 아이가 태어나서...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하경(夏卿), 호는 매산(梅山)·육우당(六寓堂). 아버지는 지평을 역임한 이지안(李志安),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영제군(寧堤君) 이석령(李錫寧)의 딸, 처는 용인이씨(龍仁李氏) 이후산(李後山)의 딸과 안동권씨(安東權氏) 권대후(權代後)의 딸이다. 아들로 이잠(李潛)과 이익(李瀷)이 있다. 이하진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
-
시화방조제가 완공되면서 육지가 된 대부도 종현 마을 사람들의 생활에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육지가 되기 전 종현 마을 사람들의 삶은 섬 사람 모습 그대로였다. 종현 마을에서는 1960년대 말부터 굴과 바지락 양식을 시작했는데 그 이전에는 농사와 연안어업에 종사했다. 어업은 배를 타고 나가는 어업과 얕은 바다에 그물을 치는 어살 등으로 나뉘는데, 종현 마을은 배를 타고...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자준(子駿), 호는 무곡(無谷). 증조부는 윤지함(尹之諴), 할아버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아버지는 공조참의 윤민헌(尹民獻)이다. 윤강은 1624년(인조 2)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626년 예문관검열에 제수되었다. 그 후 예문관봉교, 사간원정언, 홍문관교리를 역임하고, 1642년 사은겸진주사(謝恩兼陳奏使...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윤강의 묘와 신도비. 윤강[1597~1667]의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자준(子駿), 호는 무곡(無谷)이다. 공조참의 윤민헌(尹民獻)의 아들이다. 1624년(인조 2)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예문관에서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1626년 검열이 되었다. 효종 때 대사간으로 있다가 한때는 충원현감(忠原縣監)으로 나갔으며,...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 자는 자산(子山). 할아버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아버지는 부사 윤민철(尹民哲)이다. 윤구는 조상의 음덕으로 선공감역에 임명된 후 내섬시주부, 사헌부감찰, 광흥창주부를 지내고, 군위현감과 포천현감을 역임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었다고 한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현세(顯世), 호는 지산(芝山). 증조부는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 할아버지는 윤지함(尹之諴), 아버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어머니는 예조판서 김주(金澍)의 딸이다. 윤민일은 형 윤민헌(尹民獻)과 같이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88년(선조 21) 생원과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596년 별...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익세(翼世), 호는 태비(苔扉). 증조부는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 할아버지는 윤지함(尹之諴), 아버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어머니는 예조판서 김주(金澍)의 딸이다. 윤민헌은 동생 윤민일(尹民逸)과 같이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88년(선조 2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문음으로 선...
-
일제강점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명(異名)은 윤병소(尹秉昭)이다. 1893년(고종 30) 경기도 수원군 음덕면[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 출신으로 3·1운동 당시에는 수암면 능곡리 182번지에 거주하고 있었다. 윤병소는 1919년 3월 30일 시흥군 수암면[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수암동] 일대의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동하였다. 그는 이해 3월 29일 이봉구(李鳳求)로...
-
일제강점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명(異名)은 윤병소(尹秉昭)이다. 1893년(고종 30) 경기도 수원군 음덕면[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 출신으로 3·1운동 당시에는 수암면 능곡리 182번지에 거주하고 있었다. 윤병소는 1919년 3월 30일 시흥군 수암면[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수암동] 일대의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동하였다. 그는 이해 3월 29일 이봉구(李鳳求)로...
-
개항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초명은 윤승수(承洙)이고, 자는 정여(正汝)이며, 호는 동계(東溪)이다. 할아버지는 윤완(尹琬)이고, 아버지는 윤종응(尹鍾應)이다. 어머니는 군수를 지낸 박진수(朴晋壽)의 딸이다. 묘소는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었으나, 신도시 건설로 인하여 화장되었다. 윤승필(尹承弼)[1857~1928]은 1882년(고종 19) 증광문과에 병과...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친일파.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친일파 윤길병(尹吉炳)의 형이다. 윤시병(尹始炳)[1860~1931]은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충청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1898년(고종 35) 만민공동회와 독립협회에 가담하여 개화파로 활동하였고, 독립협회가 해산된 후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서울에 진주한 일본군의 통역을 하였다. 이때 송병준(宋秉畯)을 만...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이자 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사숙(思叔), 호는 송암(松巖, 松庵). 증조부는 윤승유(尹承柳), 할아버지는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 아버지는 윤지함(尹之諴)이다. 윤엄은 1564년(명종 19) 진사시에 합격하고, 1572년(선조 5)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정자와 승문원저작을 거쳐 봉상시직장이 되고, 호조좌랑을 거쳐 장수현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수보(受甫). 증조부는 공조참의 윤민헌(尹民獻),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윤강(尹絳), 아버지는 윤지인(尹趾仁), 어머니는 이정영(李正英)의 딸이다. 윤용은 1714년(숙종 40) 생원시와 진사시에 동시에 합격하고, 1722년(경종 2) 참봉으로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후 여러 관직을 거쳐 함경감사로 재직 중이던 1743년 정...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초명은 윤상일(尙逸), 자는 휴경(休卿). 증조부는 이조판서 윤강(尹絳), 할아버지는 좌의정 윤지선(尹趾善), 아버지는 윤정(尹定)이다. 윤이일은 문음으로 관직에 진출한 후 1748년(영조 24) 서부도사와 사릉령(思陵令)을 지내고 아산현감을 역임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다....
-
개항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자는 치세(穉世)이고, 호는 정석(貞石)이다. 아버지는 진사 윤완(尹琬)이다. 묘소는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었으나,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화장되었다. 윤종영(尹鍾永)[1839~1905]은 1874년(고종 11) 진사시에 합격한 후 1891년(고종 2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장예원과 홍문관의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예조참의·...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계린(季麟). 증조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할아버지는 공조참의 윤민헌(尹民獻), 아버지는 이조판서 윤강(尹絳)이다. 윤지경은 1686년(숙종 12) 진사시에 합격한 후 포천, 고양, 안성, 함흥, 영천, 삼척, 황주 등지의 지방관을 지내고 군자감정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었으나 신도시 건설로 이장되었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중린(仲麟), 호는 두포(杜浦). 증조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할아버지는 공조참의 윤민헌(尹民獻), 아버지는 이조판서 윤강(尹絳), 어머니는 지돈녕부사 정광성(鄭廣成)의 딸이다. 아우는 우의정 윤지완(尹趾完)이다. 윤지선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서 성장하였다. 1660년(현종 1) 통덕랑으로서 진사시에 합격...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숙린(叔麟), 호는 동산(東山). 증조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할아버지는 공조참의 윤민헌(尹民獻), 아버지는 이조판서 윤강(尹絳), 어머니는 지돈녕부사 정광성(鄭廣成)의 딸이다. 형은 좌의정 윤지선(尹趾善)이다. 윤지완은 1657년(효종 8) 통덕랑으로서 생원시에 합격하고,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유린(幼麟), 호는 양강(楊江).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좌랑을 지낸 윤엄(尹儼)이고, 할아버지는 공조참의를 역임한 윤민헌(尹民獻)이다. 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윤강(尹絳)이며, 어머니는 유익(柳杙)의 딸이다. 부인은 판중추부사 이정영(李正英)의 딸이고, 동생은 정승을 지낸 윤지선(尹趾善)과 윤지완(尹趾完)이다. 윤지인(尹趾仁)...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증조부는 윤덕항(尹德恒), 할아버지는 윤전(尹晪), 아버지는 윤행리(尹行履), 어머니는 김이후(金頤厚)의 딸이다. 윤진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생원시에 합격하고, 1803년(순조 3) 별시에 병과로 급제한 후 승문원정자를 역임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다가 신도시 개발 당시 화장되었다....
-
조선 후기의 효자이자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이원(而遠), 호는 율강(栗崗)·촌로(村老). 아버지는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내고 좌승지에 증직된 김찬(金讚)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이다. 효자 김성발(金聲發)·김성옥(金聲玉)의 형이다. 김성대는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부모를 모시고 산골 깊숙이 들어가 살았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게 되자 약제와 음식을 손수 마련하였으...
-
경기도 안산시에서 재배되는 특산식물. 밤나무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높이는 15m, 직경은 1m 정도이다. 나무껍질은 암갈색 또는 암회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작은가지는 자줏빛이 또는 적갈색으로서 단모 또는 성모가 있으나 없어진다. 밤은 9~10월에 익고 견과는 한 송이 당 3개 또는 1개씩 들어 있으며, 지름 2.5~4㎝로서 짙은 갈색으로 익는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포장재 제조업체인 율촌화학(주)의 제조 공장. 율촌화학(주)는 농심그룹의 계열사로 주요 사업은 합성수지 포장재, 골판지 및 골판지 상자 등의 포장재 제조이다. 경기도 안산시에 연포 1공장[TUBE포함], 이형지 공장, 연포 2공장, 필름 1공장[CARRIER TAPE 포함], 필름 2공장, 포승공장[OPP필름·전분용기]이 있고, 경상남도 양산시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 삼천리마을에 있는 들. 뜰을 가로 질러 흐르는 삼천천[웃삼천이에서는 여기천이라 불렀다]에 여뀌가 많아 여기뜰 또는 으기뜰이라 하였다. 으기뜰은 웃삼천이 아래로 흐르는 삼천천 주변에 형성된 경작지로 전철 4호선 공사 때 금정역과 반월역 사이에 전철 둑을 만들면서 둘로 나누어졌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바다빙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은구어, 은광어, 치리, 열광어라고도 한다. 은어는 살에서 수박향이 나며, 주로 생선회나 구이로 요리하여 먹는다. 몸길이는 약 30㎝이다. 몸은 가늘고 길면서 옆으로 납작하다. 입이 크고, 턱의 뒤끝이 눈 뒤에까지 이르며, 등지느러미는 몸의 중앙에 있고 뒷지느러미는 가운데가 오목하다. 몸은 어두운 청록색을 띤 회색이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바다빙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은구어, 은광어, 치리, 열광어라고도 한다. 은어는 살에서 수박향이 나며, 주로 생선회나 구이로 요리하여 먹는다. 몸길이는 약 30㎝이다. 몸은 가늘고 길면서 옆으로 납작하다. 입이 크고, 턱의 뒤끝이 눈 뒤에까지 이르며, 등지느러미는 몸의 중앙에 있고 뒷지느러미는 가운데가 오목하다. 몸은 어두운 청록색을 띤 회색이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뱅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10㎝ 이하이다. 가늘고 길며 머리는 옆으로 납작한 편이다. 입은 크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어서 입이 위를 향해 열린다. 등지느러미는 몸의 후반부에 있고, 가슴지느러미 기부에 육질이 발달되어 있다. 수컷의 뒷지느러미 기부에는 17~18개의 비늘이 있으며, 암컷에 비해 수컷이 작다. 몸은 살아 있을 때는 투명하고...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바다빙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은구어, 은광어, 치리, 열광어라고도 한다. 은어는 살에서 수박향이 나며, 주로 생선회나 구이로 요리하여 먹는다. 몸길이는 약 30㎝이다. 몸은 가늘고 길면서 옆으로 납작하다. 입이 크고, 턱의 뒤끝이 눈 뒤에까지 이르며, 등지느러미는 몸의 중앙에 있고 뒷지느러미는 가운데가 오목하다. 몸은 어두운 청록색을 띤 회색이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에서 은우물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은우물」은 날이 가물어 농사짓기가 힘들 때에 고사를 올리면 반드시 비가 내렸다는 우물영험담이다. 1988년 경기도 안산시 장상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강희갑[남, 60]으로부터 이한기가 채록하였는데, 이는 1988년 시흥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시흥군지』에 실려 있다.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은하수공원은 2003년 안산시 상록구 사동 지역 주민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17,543㎡이다. 농구장·게이트볼장·철봉대·평균대·시소·미끄럼틀·허리 돌리기 기구 등의 다양한 체육 시설과 어린이놀이터·파고라·음수대·주차장 등의 각종 시설이 들어서 있다. 현재 은하수공원은 주택가에 위치하...
-
경기도 안산시에서 예금을 받거나 대출, 어음 거래, 증권 인수 등을 주 업무로 하는 금융 기관. 은행은 개인과 단체의 자금을 보관·관리하며 사회 각 부문에 존재하는 유휴 자금을 모아 자본의 재생산을 위한 곳에 공급함으로써 경제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금융 기관 및 조직을 말한다. 은행은 주로 중앙은행, 일반[시중] 은행, 특수 은행으로 분류된다. 1970년대 후반 경기도 안산 지역...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서 장유신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은혜 갚은 장유신」은 부모가 없어 방랑하는 불쌍한 고아를 데려다가 길러준 장재상의 은혜를 갚고자 숙민의 아들[장재상의 손자]이 역적의 아들로 낙인 찍혀 죽을 고비에 이르자 자신의 아들과 바꿔치기 하여 장재상의 대를 이어 주었다는 유신 부부의 보은담이다. 1989년 6월 3일 경기도 안산시 이동으로 현지조사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소속 교회. 은혜와진리교회 안산성전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5동에 있는 은혜와진리교회 소속 36개 지회 중의 하나이다. 은혜와진리교회는 요한복음 1장 17절에 기록되어 있는 ‘은혜와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온 것’이라는 구절을 근거로 만들어진 명칭으로 세계 선교의 전극화, 일천교회의 개척,...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댕이골에서 매년 10월에 열리는 전통음식 문화축제. 댕이골은 10여 년 전부터 상록구 사동 1347~1352번지 일대 댕이길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음식을 주요 메뉴로 하는 음식점들이 모이면서 자연스럽게 먹을거리 마을이 형성되었다. 현재는 한정식, 오리요리, 고깃집, 장어요리, 해물요리, 보양식, 전통찻집 등 다양한 전문 음식점 30여 곳이 자리하게 되었다....
-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주로 목소리나 악기를 통하여 음(音)으로 나타내는 경기도 안산 지역의 소리 예술. 음악은 형식미와 감정표현을 위해 성악과 기악을 결합한 예술로 서양 음악의 경우 리듬, 선율, 화성이 주요 요소이며 그밖에 음조, 음색, 기악편성법 등이 포함된다. 음악은 민족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모든 인간사회에 스며들어 있는 예술로 의식, 예배, 의사소통, 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있는 산. 산봉우리가 마치 매의 형상과 비슷하여 매봉이라 하고, 응봉(鷹峯) 또는 매봉재라고도 한다. 지장골[지장촌] 뒤에 있는 산으로, 수암봉[395m]과 연결되어 있다. 산봉우리는 바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높이는 334.7m이다....
-
개항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엄주한은 본관은 영월(寧越)이며 자는 응여(應如)이다. 아버지는 엄헌영(嚴獻永),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로 박승휘(朴承輝)의 딸이고, 처는 박성수(朴性壽)의 딸이다. 양부는 승지(承旨) 엄돈영(嚴敦永)이다. 묘소는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장곡(獐谷)에 있다. 엄주한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살았다. 1877년(고종 14) 진사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소속 안산 지역 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 안산지사는 국민의 건강 증진과 사회 보장의 증진 도모라는 정책 아래 안산 지역 76만 명의 건강 관리 업무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3년 12월 16일 「의료보험법」을 제정하였고, 1977년 7월 1일부터 500인 이상의 사업자를 대상으로 「의료보험법」을 적용하였다. 1979년 1월부터 공...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의백(懿伯). 아버지는 권남수(權南壽)이다. 권병규는 1824년(순조 24)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유학(幼學)의 신분으로 1867년(고종 4)에 치러진 생원진사시 식년시(式年試)에서 3등 56위로 합격하였다....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쳐 한말에 이르기까지 안산 지역에서 국가의 운명이 위급할 때 자발적으로 조직된 순수한 민간 병사들. 고려사의 기록에 의하면 원종의 개경 환도 결정으로 삼별초군이 강화도 점거가 어려워지자 서해안의 도서를 거치면서 진도로 근거지를 옮기게 되었는데, 남하하는 도중에 처음 정박했던 지역이 대부도 옆의 영흥도였다. 하지만 여몽연합군은 감히 이를 공격할 엄두도 내지 못...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입고 생활하였던 복장. 사람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비슷한 성장과정을 겪게 되며,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특별한 의례를 치르게 된다. 전통사회에서는 이러한 의례를 중요시 여겼으며 이러한 의식을 거행할 때 특별한 의복을 준비하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안산 지역의 사람들 역시 혼례나 돌잔치, 상례, 제례와 같은 의례를 행할 때 특별한 의복...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의숙(儀叔), 호는 화천(花川).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경익(李景翼)이다. 이수봉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33년(영조 9) 진사가 되었고, 1740년(영조 16) 문과에 급제한 뒤 지평, 정언, 장령, 헌납, 사간, 집의 등을 역임하였다. 재직 시 평안병사 이일제(李日躋)가 성을 쌓을 때 백성들한테 재물을...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의전(義田), 호는 신암(愼庵)이다. 아버지는 김정락(金定洛)이다. 1882년(고종 19) 지금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김경념은 5세에 한문과 서예를 사사하였고, 약관 20세에 사서삼경(四書三經)과 독학으로 사학과 법제·경제학을 두루 섭렵하였다. 1897년 신문화 수입을 주창하면서 부조금제의 폐지...
-
경기도 안산시에서 재배되는 특산식물. 사자 발바닥 모양처럼 생긴 쑥이라는 뜻에서 사자족애(獅子足艾)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산쑥, 빙대(氷臺), 의초(醫草), 애호(艾蒿), 사재발쑥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70㎝로 자라며 줄기가 다소 굵고 곧게 자란다. 잎 모양은 사자 발바닥 모양으로 단순하게 갈라져 있으며 잎 끝이 뾰족하고 약간 위로 오므라진 형태이다. 안산 지방의 물산에 대한 자료...
-
고주물에서 시흥시 능곡리의 능골마을로 넘어가는 곳에 있는 고개가 ‘소목고개’ 또는 ‘서모고개’라고 불리는 곳이다. 지금은 고개 너머로 시흥시 능곡지구에 대규모 택지개발로 아파트단지가 들어서고 있어 사람들이 거의 이용하지 않지만 옛날에는 제법 큰 길로 통했다. 소목고개라고 불리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이 고개가 지금은 비록 시흥시로 넘...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정조(庭藻), 호는 정헌(貞軒)·금옹(錦翁)·금대관(錦帶館)·소릉(少陵). 아버지는 이용휴(李用休), 어머니는 진주유씨(晋州柳氏)로 유헌장(柳憲章)의 딸, 처는 해주정씨(海州鄭氏)로 정운유(鄭運維)의 딸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 성호 이익(李瀷)의 종손(從孫)이며, 우리나라 사람으로 최초의 천주교 영세교인인 이승훈(李...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의경(猗卿). 증조할아버지는 선조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창군(慶昌君)이고, 아버지는 영평군(永平君) 이완(李浣)이다.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들은 1750년(영조 26) 문과에 급제한 이정렬(李廷烈)[1708~?]이다. 이거(李椐)[1688~1754]는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역임하였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서는 그가 종친부의 하인...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중응(仲應). 증조할아버지는 이세분(李世芬)이고, 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을 지낸 이광형(李光亨)이다. 아버지는 이활(李佸)이며, 어머니는 한서(韓湑)의 딸이다. 형은 1553년 별시에 합격하고 사헌부장령을 지낸 이경우(李慶祐)이다. 이경희(李慶禧)[1508~?]는 1546년(명종 1) 진사가 되었고, 1562년(명종 17) 문과에 급제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이경희의 묘. 이경희[1508~?]의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중응(仲應)이다. 이세분(李世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광형(李光亨)이며, 아버지는 이활(李佸)이고, 어머니는 한서(韓湑)의 딸이다. 1546년(명종 1) 진사시에 합격하고, 1562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양주목사를 지냈다. 손자 이언척(李言惕)의 공으...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인지(引之), 호는 귀헌(龜軒)·귀봉(龜峰). 아버지는 광흥창승을 지낸 이의인(李依仁)이고, 어머니는 송구윤(宋九贇)의 딸이다. 아내는 정보(鄭保)의 딸이다. 이계손(李繼孫)[1423~1484]은 장인인 정보에게서 수학하였으며, 1447년(세종 29) 생원이 되었고 그해 문과에 급제하였다. 1453년(단종 1) 사간원정언, 이듬해에는...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물기(勿欺), 호는 이곡산인(梨谷散人). 할아버지는 참봉 이활(李佸)이고, 아버지는 양주목사를 지낸 이경희(李慶禧)이다. 이충가는 음직(蔭職)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통훈대부에 올랐으며, 군자감부정, 석성현감(石城縣監), 임천군수(林川郡守), 예천군수 등을 지냈다. 특히 예천군수로 있던 중 경상도순검어사(慶尙道巡檢御史) 유간(柳澗)은 이충...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던 자연마을. 조선시대에 바닷물이 큰뱅골[船谷]까지 이르러 배가 닿았다 하여 배 ‘선(船)’자를 따서 배골[船谷]이라 하였는데, 후대에 이르러 뱅골이 되었다. 『전의이씨족보』에는 이골[梨谷]로 기록되어 있다. 큰뱅골에서 마을 북쪽 지역은 웃말, 동남쪽 지역은 건넌말, 서쪽 지역은 아랫말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와리면 선곡리라 하였다. 조선...
-
국경없는 마을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느끼는 첫 이미지는 이국적이라는 점이다. 특히 안산역 앞 지하고가에서 원곡본동주민센터에 이르는 국경없는 거리를 지나거나, 외환은행에서 원곡공원으로 난 원본1길을 걷다보면 이곳은 ‘한국이 아니다’라는 착각에 빠질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영화 촬영장처럼도 보인다. 주변에 걸어 다니는 사람들이 그렇고, 양옆 거리에 들어선 가게의 간판이 그렇고...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자연(子淵). 판서 이계남(李季男)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이배(李培)이고,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이명석(李命錫)이다. 어머니는 조창구(曺昌久)의 딸이다. 이광보(李光溥)[1694~1773]는 1715년(숙종 41)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었고, 그 뒤 사헌부장령·사간원헌납·사헌부집의·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원백(源伯). 증조할아버지는 이창환(李昌煥)이고, 할아버지는 이경(李坰)이다. 아버지는 좌랑 이태석(李泰錫)이며, 어머니는 생원 윤해수(尹海壽)의 딸이다. 이광식(李光湜)[1690~1754]은 1717년(숙종 43)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중앙의 여러 관직을 거쳤다. 1726년(영조 2) 온양군수로 재직할 때 민가를 헐어 친구...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원숙(源叔). 판서 이계남(李季男)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이태석(李泰錫)이며, 어머니는 조수(趙琇)의 딸이다. 형은 호조참의를 지낸 이광직(李光溭)이다. 이광익(李光瀷)[1703~1780]은 1733년(영조 9) 문과에 형과 함께 급제하였다. 1743년(영조 19) 사헌부지평을 거쳐 사간원정언·사헌부장령·사간원헌납·한성부좌...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원중(源仲). 할아버지는 이경(李坰)이고, 아버지는 이태석(李泰錫)이며, 어머니는 생원 윤해수(尹海壽)의 딸이다. 형은 사헌부집의와 한성부좌윤 등을 지낸 이광익(李光瀷)이다. 이광직(李光溭)[1692~?]은 1733년(영조 9) 문과에 동생과 함께 급제하였다. 오랫동안 사헌부지평·사간원정언·사헌부장령 등을 번갈아 역임하였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명서(明瑞), 호는 동애(東厓). 예조참판을 지낸 이상신(李尙信)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연휴(李延休)이다. 이광환(李匡煥)[1702~?]은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문학·예술 활동을 벌인 안산15학사 가운데 한 사람으로, 강세황(姜世晃)과 교유 관계가 돈독하였다. 유경종(柳慶種)이 안산15학사의 면면에 대한 평을 하였는데,...
-
국경없는 마을은 한국에서 외국인 밀집도가 가장 높은 곳이다. 당연하게 마을에서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상점들을 만날 수 있다. 상점의 주 고객은 외국인 노동자들이지만 간혹 한국인도 눈에 띈다. 상점에는 국산품도 있지만 외국에 나가야 보거나 살 수 있는 이국적인 물건들이 많다. 그래서인지 사지는 않지만, 호기심에 들려 구경만 하는 이도 많고, 우연히 사용해 보고...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노경(魯卿), 호는 관백헌(觀白軒). 할아버지는 한성부판윤을 지낸 이숭호(李崇祜)이고, 아버지는 형조판서를 역임한 이재학(李在學)이며, 어머니는 정동현(鄭東鉉)의 딸이다. 이규현(李奎鉉)[1777~1844]은 1812년(순조 12) 제주도에서 귤이 올라온 것을 기념하여 시행한 감제(柑製)에서 수석을 차지하였고, 이듬해 증광문...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이길(而吉), 호는 당사(棠沙). 증조부는 민귀손(閔龜孫), 할아버지는 민제인(閔齊仁), 아버지는 현령 민사안(閔思安), 어머니는 함안여씨(咸安呂氏)로 여공정(呂公正)의 딸이다. 민여경은 1572년(선조 5)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후 여러 관직을 거쳐 1581년 예조좌랑에 재임 중 파직되기도 하였다. 1588년 사헌부지평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3동에 있는 PZT 분야 연구개발 및 제조업체. 이노스텍은 NT[나노기술],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기술]용 소재 분야의 연구 개발을 통해 연쇄 파급 효과가 커질 수 있도록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1998년 6월 23일 설립되었다. 센서 및 비휘발성 메모리소자[FeRAM]의 핵심 원료인 PZT[납·지르코늄·티타늄 복합산화물] 솔젤(sol-gel)...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공후(公厚), 호는 해석(海石). 할아버지는 형조판서를 지낸 이규현(李奎鉉)이고, 아버지는 의령현감을 역임한 이원응(李源膺)이며, 어머니는 조운성(趙雲成)의 딸이다. 이돈상(李敦相)[1815~?]은 1848년(헌종 14) 생원이 되었다. 판관으로 있으면서 1864년(고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대사간에 중용되었다. 이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조선시대 이 지역에 다섯 마을이 있었는데 광주 읍치(邑治)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견아상입지(犬牙相入地)였기 때문에 일리·이리·삼리·사리·오리 등으로 편의상 부르던 것이 마을 이름으로 굳어진 듯하다. 조선시대에 광주군 성곶면 이리였다가 1906년 안산군 성곶면 이리가 되었다. 1914년 수원군 반월면 이리가 되었고, 1949년 화성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수령 370년의 보호수. 느티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를 맺으며 10월에 익는다. 잎은 계유(鷄油)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이동공원은 2003년 안산시 상록구 이동 지역 주민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28,710㎡이다. 운동장·광장·산책로 등과 농구장·족구장·철봉대·평행봉 등의 각종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기타 편익 시설 및 휴양 시설로 음수대·파고라·의자 등이 설치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안산의 입향조이자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춘보(春甫), 호는 설호(雪湖). 외할아버지는 부제학을 지낸 홍경신(洪慶臣)이며, 아버지는 참봉을 역임한 이관(李灌)이다. 이동식(李東植)[1629~1705]은 1675년(숙종 1)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문장이 훌륭하여 명망이 높았으나, 허목(許穆)의 비위에 거슬려 제주교수로 좌천되었다. 제주에서 돌아온 뒤 성균관전적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서 마을 풍속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동의 독특한 풍속」은 이동에 있는 각 자연부락의 지역별 독특한 금기의 풍속을 소재로 이야기가 구성되어 있다. 즉 이동에 소속된 자연부락인 도관·움트기·양지편·조구나리·고잔마을 등에서 지역별 특성에 따라서 하면 안 되는 일을 알려주는 금기담이다. 1989년 6월 1일 경기도 안산시 이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
인간은 호기심의 동물이다. 그래서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을 떠나면 으레 큰 불편이 따른다는 것을 알면서도 끊임없이 생소한 곳으로 가보려고 한다. 원곡동을 거닐다 보면, 마을 주민에게는 친근하고 편리한 곳이지만, 외지인들이 보면 생소한 곳들을 만나곤 한다. 원곡동에는 은행이 아주 많다. 좁은 동네에 외환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농협지점이 있고, 신협과 새마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립(而立), 호는 청은(淸隱).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司宰監正)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형이 응교 이상홍(李尙弘)과 이상의(李尙毅)이다. 이상신은 1588년(선조 21) 진사가 되었고, 이듬해 문과에 급제한 뒤 예문관봉교를 거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근(汝根). 아버지는 이종식(李宗植)이다. 아들은 호조정랑 이중창(李重昌)과 안동부사 이중화(李重華)이다. 이만근(李萬根)[1646~?]은 홍문관교리와 지제교겸경연시독관을 역임하였다. 묘소는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었다고 하나, 현존 여부는 알 수 없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순수(醇叟), 호는 두산(杜山). 아버지는 실학자 이익(李瀷)이고, 어머니는 사천목씨로 진사 목천건(睦天建)의 딸이다.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맹휴(李孟休)[1713~1751]는 용모가 빼어나고 말소리가 우렁찼으며, 한 번 보면 모르는 것이 없어 다섯 살 때 육십갑자와 구귀법(九歸法)을 모두 외었다고 한다. 관직에 오를 때까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던 자연마을. 능안 서쪽에 있던 마을로 돌배나무가 많이 자생하고 있어 배나무라 하였는데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배나물로 되었다고 한다. 남쪽 지역은 큰말, 북쪽 지역은 작은말이라 불렀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와리면 이목리(梨木里) 지역이었다. 전주이씨, 안동김씨 등의 세거지로 1979년 폐동 때 60여 호가 거주하였다. 지금은 반월공업단지가 조성되...
-
조선 후기의 문신. 이범기(李範箕)[1847~1888]는 통정대부에 올랐으며, 승정원좌부승지를 역임하였다. 묘소는 안산시 단원구 본오동 각골마을에 있었는데,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1984년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 북양리로 이장되었다....
-
현대의 기업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백옥(伯玉), 호는 창산(昌山)이다. 이찬우(李纘雨)의 아들이며, 삼성(三星) 창업주 이병철(李秉喆)의 형이다. 1905년(?) 출생하여 1971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옛 안산향교 위에 있고, 1974년에 세운 묘비의 비문은 이일해(李一海)가 짓고, 글씨는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이 썼다. 이병각은 하회봉(河晦峰)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초명은 이조휴(李祖休)·이심휴(李心休), 자는 사엄(士儼), 호는 담촌(澹村)·한남옹(漢南翁)·평천옹(坪川翁). 아버지는 이속(李涑)이고,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이복휴(李福休)[1729~1800]는 1752년(영조 28) 진사가 되고, 1762년(영조 38)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주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별검으로 임명되었다. 그...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봉문은 1890년(고종 27)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출생하였다. 이봉문은 1919년 3월 30일 당시 수암면 수암리 비석거리에서 면민 2,000여 명과 함께 행진하면서 만세를 불렀다. 순사의 해산 명령에 따르지 않고 태극기를 떠받들고 읍내로 행진하여 주재소·보통학교·면사무소·공자묘 앞에서 만세 시위 행진을 하였다. 해산 후 수...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몽석(夢錫), 호는 수은(睡隱). 증조할아버지는 병조판서를 지낸 이계손(李繼孫)이고, 아버지는 이공려(李公礪)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종실인 청연수(淸淵守) 이숙의(李叔義)의 딸이다. 이사필(李士弼)[1503~1556]은 1525년(중종 20) 생원이 되었고, 1538년(중종 33) 문과에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승정원주서...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유생.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자목(子木), 호는 목재(木齋)·소미(少眉). 아버지는 이광휴(李廣休), 어머니는 해주정씨(海州鄭氏)로 정덕녕(鄭德寧)의 딸이다. 양부는 이병휴(李秉休), 양모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달(許達)의 딸이다. 성호(星湖) 이익(李瀷)은 종조(從祖)가 된다. 이삼환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40년(영조 16) 종...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일경(一卿). 아버지는 호조참판을 지낸 이석(李晳),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이다. 이상기는 경기도 안산군 초산면 산현리[현 시흥시 산현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병환이 나자 변의 맛을 보아 병의 상태를 살피는 등 정성을 다하여 간호하였고, 병이 낫게 해달라고 하늘에 기도하였다. 그 효성의 지극함이 아버지가 세상을 떠날...
-
현대의 시인이자 수필가·언론인. 본관은 전의(全義), 필명은 이오류(李午柳), 호는 소향(素鄕)이다. 이근영(李根泳)의 4남으로 1916년 경기도 부천군 계남면 궁리[지금의 서울시 구로구 궁동]에서 출생하였다. 1973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 남현교회 묘지에 있다. 1976년에 친우들이 뜻을 모아 이상로의 대표 작품인 시 「밤이 새면」을 새긴 시비(詩碑)를 세웠...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태소(太素). 아버지는 수찬·교리를 지낸 이의중(李毅中)이다. 아들이 이복일(李復一)이다. 이상로는 1744년(영조 20) 진사가 된 후 사복시첨정을 거쳤으며, 1773년(영조 49) 문과에 급제하였다. 임금의 특명으로 지평에 올랐고 또 영조가 아버지 이의중을 추억하고 사간·부수찬·첨지·승지로 승진시켜 특별히 제수했다. 정조가 즉위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립(而立), 호는 청은(淸隱).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司宰監正)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형이 응교 이상홍(李尙弘)과 이상의(李尙毅)이다. 이상신은 1588년(선조 21) 진사가 되었고, 이듬해 문과에 급제한 뒤 예문관봉교를 거쳐...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소릉(少陵)·오호(五湖)·서산(西山)·파릉(巴陵).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형은 응교 이상홍(李尙弘)이며, 동생은 예조참판을 지낸 이상신(李尙信)이고, 아들은 이지안(李志安)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사청(士淸). 아버지는 단양군수를 지낸 이충길(李忠吉), 어머니는 용인이씨(龍仁李氏)이다. 이상하는 1621년(광해군 13)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냈다. 1644년(인조 22) 좌의정 심기원(沈器遠)이 이일원(李一元) 등과 모의하여 회은군(懷恩君) 이덕인(李德仁)을 임금으로 추대하려 했을 때 이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중(而重), 호는 춘주(春州).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고, 아내는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의 딸이다. 동생이 이상의(李尙毅)와 예조참판 이상신(李尙信)이며, 한음 이덕형(李德馨)과는 동서지간이다. 이상홍은 1579...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의숙(儀叔), 호는 화천(花川).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경익(李景翼)이다. 이수봉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33년(영조 9) 진사가 되었고, 1740년(영조 16) 문과에 급제한 뒤 지평, 정언, 장령, 헌납, 사간, 집의 등을 역임하였다. 재직 시 평안병사 이일제(李日躋)가 성을 쌓을 때 백성들한테 재물을...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옥(伯玉). 고조부는 효령대군, 아버지는 음평부수(陰平副守) 이효손(李孝孫), 어머니는 의령남씨(宜寧南氏)이다. 이숙은 기량이 넓고 커서 젊어서는 학문만 좋아하고 생업에 관여하지 않았으며, 처신에 법도가 있어 친구도 반드시 골라서 사귀었다. 만년에 부모의 뜻을 알아차리고 사직서남부참봉(社稷署南部參奉)으로 관직에 나아갔다. 1538년...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이숙(頤叔), 호는 현재(玄齋)·묵선(墨禪). 증조부는 영의정 심지원(沈之源), 할아버지는 심익창(沈益昌), 아버지는 포도를 잘 그렸던 심정주(沈廷胄), 외할아버지는 포도와 인물을 잘 그렸던 정유승(鄭惟升)이다. 사촌형의 아들 심욱진(沈郁鎭)을 양자로 들였다. 심사정 가문은 할아버지 심익창의 과옥(科獄)[조선시대 과...
-
조선 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자는 백응(伯應), 호는 운정(芸亭). 아버지는 문하시중을 지낸 이경(李坰)이다. 이숙번은 서울 돈의문 밖[현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에서 태어났으며 1393년(태조 2) 조선왕조 개국 후 첫 번째 치러진 과거시험에 급제하였다. 1398년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로 있을 때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초명은 이숙인(李淑仁). 아버지는 봉화현감을 지낸 이유(李猷)이며, 어머니는 수원최씨(水原崔氏)로 지제고(知制誥) 최수자(崔守雌)의 딸이다. 이의인은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송라리에서 태어났다. 1417년(태종 17) 사마시에 올라 1440년(세종 22) 천거로 동와서직장(東瓦署直長)에 제수되었다. 그 후 여러 관직을 거쳐 1448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덕이(德而). 할아버지는 한성부판관 이의규(李宜揆), 아버지는 호조좌랑 이보순(李普淳), 어머니는 김성유(金聖游)의 딸이다. 덕산현감 이보흥(李普興)에게 입양되었다. 이숭호는 1753년(영조 28) 진사시에 합격하고, 1761년 문과에 급제한 뒤 이듬해 세자시강원설서가 되었다. 이후 정언, 낭청, 헌납, 지평 등을 지냈으며, 성리학에...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는 아라비아의 예언자 무하마드를 따르는 종교. 이슬람교는 그리스도교, 불교와 함께 세계 3대 종교의 하나이며 ‘알라 이외에 신은 없다’는 것을 신조로 하는 유일신 신앙이다. 유럽에서는 무하마드교로, 중국에서는 회회교(回回敎) 또는 청진교(淸眞敎)로, 우리나라에서는 이슬람교 또는 회교(回敎)라 부르며 신도는 무슬림이라고 한다. 경전은 코란으로 전지전능(全知全能...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향토사학자이자 서지학자. 필명은 이승언(李承彦)이다. 1945년 출생하여 2002년 사망하였다. 이한기는 당시의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 논곡리에서 태어났다. 1960년대부터 지역의 문화 발전에 관심을 갖고 옛것을 발굴하고 연구하며, 후세를 위해 이를 보존하겠다는 일념으로 주변에 흩어져 있는 신문과 고서적, 사료들을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1979년 본격적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초명은 이조휴(李祖休)·이심휴(李心休), 자는 사엄(士儼), 호는 담촌(澹村)·한남옹(漢南翁)·평천옹(坪川翁). 아버지는 이속(李涑)이고,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이복휴(李福休)[1729~1800]는 1752년(영조 28) 진사가 되고, 1762년(영조 38)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주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별검으로 임명되었다. 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안산시는 시화공업단지 내 근로자들에게 운동 공간을 제공하여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 휴식 공간을 확보할 목적으로 2001년에 22호 근린공원을 조성하였다. 22호 근린공원의 부지 면적은 125,258㎡이며, 주요 시설에는 축구장과 야구장 겸용 운동장, 농구장, 배구장, 주차 250면의 주차장, 화장실 5개소, 그늘막 3개, 벤치 7...
-
강이나 바다를 통로로 선박이 지나다니는 길을 뱃길[航路]이라고도 한다. 뱃길은 원칙적으로는 두 지점 사이의 최단거리를 택하지만 지형·기상·해상·경제·항해기술 등 여러 조건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배의 통행이 가장 쉬운 항로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뱃길은 전통시대 국가 재정원인 세곡미를 지방에서 중앙으로 운송하는 데 가장 적합하였다. 그리하여 고려시대 이래로 세곡의 운송이 중시되면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 자는 구이(久而). 할아버지는 양주목사 이경희(李慶禧)이고, 아버지는 군자감부정을 지낸 이충가(李忠可)이다. 이언항은 1603년(선조 3) 문과에 급제하여 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뱅골에 있다. 1670년(현종 11) 이언항의 증손 이의발(李義發)이 묘갈을 썼는데, 묘갈에는 이언항의 관직이 ‘절충장군행용양위부사과(...
-
현대의 시인이자 수필가·언론인. 본관은 전의(全義), 필명은 이오류(李午柳), 호는 소향(素鄕)이다. 이근영(李根泳)의 4남으로 1916년 경기도 부천군 계남면 궁리[지금의 서울시 구로구 궁동]에서 출생하였다. 1973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 남현교회 묘지에 있다. 1976년에 친우들이 뜻을 모아 이상로의 대표 작품인 시 「밤이 새면」을 새긴 시비(詩碑)를 세웠...
-
조선 후기 안산에서 활동한 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경명(景命), 호는 혜환재(惠寰齋). 아버지는 이침(李沈), 어머니는 초계정씨(草溪鄭氏) 정약(鄭鑰)의 딸과 한양조씨(漢陽趙氏) 조구석(趙九錫)의 딸, 처는 진주유씨(晋州柳氏) 유헌장(柳憲章)의 딸이다. 아들은 이가환(李家煥)이다. 이잠(李潛), 이익(李瀷)이 숙부이며 이맹휴(李孟休)가 종제(從弟)이다. 이용휴는 현재의...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여주. 자는 계익(系益). 아버지는 공조좌랑을 지낸 이사언(李士彦)이며, 어머니는 선산김씨(善山金氏)이다. 이우량은 문음(門蔭)으로 정6품 무산계(武散階)인 돈용교위(敦勇校尉)의 자급을 받았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다가 신도시 건설로 경기도 여주군 흥천면 귀백리로 이장되었다. 1716년(숙종 42) 건립한 묘비의 비문은 후손 이국휴(李國...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여주. 자는 중경(仲敬). 아버지는 사과 이사철(李士哲)이며, 어머니는 진주하씨(晋州河氏)이다. 이우승은 어려서부터 무예에 뛰어나 인조 때 무과에 급제한 뒤 선전관청(宣傳官廳)과 오위(五衛)의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1632년(인조 10)경에 온성도호부사(穩城都護府使)를 지냈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노적봉 동편 기슭에 있다. 병조판서에 추...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성지(成之). 아버지는 성주목사 이사필(李士弼),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부사직을 지낸 권계(權啓)의 딸, 처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슬하에 이상홍(李尙弘), 이상의(李尙毅), 이상관(李尙寬), 이상신(李尙信), 이상근(李尙謹), 이상충(李尙忠), 이상달(李尙達) 등의 아들과 5녀를 두었다. 이우인은 15...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아버지는 문화현감(文化縣監)을 지낸 이인현(李仁賢)이며, 어머니는 흥해최씨(興海崔氏)로 최사원(崔泗源)의 딸이다. 이우정은 음직(蔭職)으로 여러 관직을 거친 뒤 병조참판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산87번지에 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중익(仲益), 호는 저로(樗老). 아버지는 공조좌랑을 지낸 이사언(李士彦)이며, 어머니는 선산김씨(善山金氏)로 김국주(金國柱)의 딸이다. 이우직은 1555년(명종 10) 진사가 되었고, 1558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었다. 그 뒤 박사, 전적, 어천찰방(魚川察訪), 교리 등을 거치고, 세 번이나 암행어사가 되어 수령들의...
-
조선 후기의 효자이자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이원(而遠), 호는 율강(栗崗)·촌로(村老). 아버지는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내고 좌승지에 증직된 김찬(金讚)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이다. 효자 김성발(金聲發)·김성옥(金聲玉)의 형이다. 김성대는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부모를 모시고 산골 깊숙이 들어가 살았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게 되자 약제와 음식을 손수 마련하였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소릉(少陵)·오호(五湖)·서산(西山)·파릉(巴陵).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형은 응교 이상홍(李尙弘)이며, 동생은 예조참판을 지낸 이상신(李尙信)이고, 아들은 이지안(李志安)이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초명은 이원경(李源庚), 자는 치명(穉明), 호는 종산(鍾山). 증조부는 이숭호(李崇祜), 할아버지는 대사헌 이재학(李在學), 아버지는 형조판서 이규현(李奎鉉), 어머니는 반남박씨(潘南朴氏)로 형조판서를 지낸 박사소(朴師邵)의 딸이다. 이원명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829년(순조 29)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초명은 이원경(李源庚), 자는 치명(穉明), 호는 종산(鍾山). 증조부는 이숭호(李崇祜), 할아버지는 대사헌 이재학(李在學), 아버지는 형조판서 이규현(李奎鉉), 어머니는 반남박씨(潘南朴氏)로 형조판서를 지낸 박사소(朴師邵)의 딸이다. 이원명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829년(순조 29)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
-
조선시대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열녀. 이원발의 아내 전주최씨는 경기도 안산에서 생활하였다. 이원발(李元發)에게 출가하여 시부모를 극진히 봉양하였으며 남편을 대할 때에도 예의에 벗어나는 일이 없었다. 영조 대에 정문(旌門)이 내려졌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여석(汝碩), 호는 이은정(理隱亭). 아버지는 청흥군(淸興君) 한수원(韓壽遠), 어머니는 함평이씨(咸平李氏)로 이영원(李榮元)의 딸이다. 한성보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으며 송시열(宋時烈) 문하에서 수학했다. 음직(蔭職)으로 1658년 돈녕참봉(敦寧參奉)이 되고 이듬해 빙고별검(氷庫別檢), 제용직장 등...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초명은 이숙인(李淑仁). 아버지는 봉화현감을 지낸 이유(李猷)이며, 어머니는 수원최씨(水原崔氏)로 지제고(知制誥) 최수자(崔守雌)의 딸이다. 이의인은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송라리에서 태어났다. 1417년(태종 17) 사마시에 올라 1440년(세종 22) 천거로 동와서직장(東瓦署直長)에 제수되었다. 그 후 여러 관직을 거쳐 1448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홍(汝弘). 아버지는 통덕랑으로 청도군수를 지낸 이현행(李顯行)이다. 아들로 승지 이상로(李商輅)가 있다. 이의종은 1723년(경종 3) 진사가 되어 참봉을 지냈으며, 1726년(영조 2) 성균관에서 수학하면서 이광좌(李光佐), 유봉휘(柳鳳輝), 조태억(趙泰億)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1740년(영조 16) 문과에 급제하...
-
조선 후기 안산에서 활동한 유생이자 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자신(子新), 호는 성호(星湖). 아버지는 이하진(李夏鎭),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권대후(權大後)의 딸, 처는 고령신씨(高靈申氏) 신필청(申必淸)의 딸과 사천목씨(泗川睦氏) 목천건(睦天健)의 딸이다. 이익은 1681년(숙종 7) 10월 18일 아버지 이하진의 유배지인 평안북도 운산에서 태어났다. 1682...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익의 묘. 실학의 대가인 이익[1681~1763]의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자신(子新), 호는 성호(星湖)이다. 부친 이하진(李夏鎭)이 1681년(숙종 7) 평안도 운산으로 유배 갔을 때 그곳에서 태어났다. 이듬해 부친을 여의고 선영(先塋)이 있는 안산으로 돌아왔으며, 형 이잠(李潛)에게 글을 배웠다. 1706년(숙종 32)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광주군수(廣州郡守)를 지낸 이제(李瑅)이며, 어머니는 경주이씨(慶州李氏)로 감찰 이원(李原)의 딸이다. 아들이 병조참판 이우정(李宇禎)이다. 음직(蔭職)으로 여러 관직을 거친 뒤 문화현감(文化縣監)을 역임하였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산87번지에 있으며, 199...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인현의 묘. 이인현[1570~1636]은 이재의 아들로 통훈대부(通訓大夫)·문화현감(文化縣監)·충양위(忠讓衛)를 지냈으며, 병자호란 때 강도(江都)에서 순절했다. 안산시청에서 단원구청으로 가다가보면 안산문화예술의전당이 나온다. 이인현 선생 묘는 그 건너편 산 정상부인 고잔동 산87번지에 있다. 이인현 선생 묘는 원래 고잔동 산8...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중연(仲淵), 호는 섬계(剡溪)·서산(西山). 아버지는 이하진(李夏鎭), 어머니는 용인이씨(龍仁李氏)로 이후산(李後山)의 딸, 처는 동복오씨(同福吳氏)로 오시복(吳始復)의 딸이다. 동생이 성호(星湖) 이익(李瀷)이다. 이잠은 한양 소정동(小貞洞)에서 출생하였으며 안산 첨성촌[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서 우거했다. 1...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성중(聖中), 호는 지포(芝浦). 증조부는 한성부판관을 지낸 이의규(李宜揆), 할아버지는 호조좌랑 이보순(李普淳), 아버지는 형조판서 이숭호(李崇祜)이다. 이재학은 1770년(영조 46) 문과에 급제한 뒤 정자, 수찬을 거쳐 교리가 되었다. 1776년 시독관(侍讀官)으로 있으면서 신분 질서의 문란함을 지적하며 명분을 바르게 하고 기강을...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이정(而精), 호는 잠재(潛齋)·정암(靜庵). 판서를 지낸 김정경(金定卿)의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생원 김광오(金光澳), 아버지는 김휘(金暉)이다. 김취려는 퇴계(退溪) 이황(李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내직으로 지평과 집의를 지냈으며, 외직으로 나아가 평산(平山), 죽산(竹山), 수원, 적성(積城)의 지방관을 역임하였다. 율곡(栗谷...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 자는 중진(仲進). 증조부는 양주목사 이경희(李慶禧), 할아버지는 군자감부정 이충가(李忠可),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이언항(李言恒)이며, 형이 이정제(李廷濟)이다. 이정승은 서반직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정5품인 과의교위(果毅校尉)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뱅골에 있다....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국악인. 이정업은 이성룡(李聖龍)의 손자이며, 이태평(李泰平)의 아들로 대대로 피리·해금·호적·북의 명인 가문이었다. 이정업은 1908년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출생하였고, 1973년 3월 20일 간암 등 합병증으로 타계하여 경기도 고양시 벽제에서 화장되었다. 이정업은 8세 때부터 예인의 길에 들어서 동이 트기도 전에 일어나 산에 올라...
-
경기도 안산 출신의 기업인.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송보(松甫)이다. 1920년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이석돈(李奭敦)이며, 어머니는 강춘선(姜春先)이다. 1982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림동 산22 가족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이정익은 1932년 안산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37년 선린상업학교 졸업 후 1946년 부평에...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 자는 중즙(仲楫). 증조부는 양주목사 이경희(李慶禧), 할아버지는 군자감부정 이충가(李忠可),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이언항(李言恒)이며, 동생이 이정승(李廷升)이다. 이정제는 서반직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정5품인 과의교위(果毅校尉)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뱅골에 있다....
-
안산시의 중심에서 삼천리 마을로 가기 위해서는, 수인산업도로를 타고 가다 용담길을 지난 뒤 반월길에서 반월농업협동조합 건물 앞에서 옆으로 난 좁은 길을 타고 가야 한다. 아니면 반월장터에서 반월역을 지난 뒤 전철둑 아래를 거쳐 윗삼천리로 들어오는 길을 이용해야 한다. 안산 시내를 거쳐 반월동까지 들어오는 시내버스는 일반버스 노선 3개와 좌석버스 노선 1개가 있다. 그러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초명은 이조휴(李祖休)·이심휴(李心休), 자는 사엄(士儼), 호는 담촌(澹村)·한남옹(漢南翁)·평천옹(坪川翁). 아버지는 이속(李涑)이고,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이복휴(李福休)[1729~1800]는 1752년(영조 28) 진사가 되고, 1762년(영조 38)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주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별검으로 임명되었다. 그...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원주. 자는 성대(盛大). 할아버지는 부호군 이중검(李重儉)이고, 아버지는 부호군 이명진(李命鎭)이다. 이종해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진사를 거쳐 장연현감겸절제도위(長淵縣監兼節制都尉)를 지낸 뒤 태안군수를 역임하였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육체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중소 규모의 제조업체들이 집중된 산업경제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경기도 안산 지역은 여건상 국내 타 지역에 비해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는 지역이다. 따라서 경기도 안산 지역에는 다양한 국적을 가진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국내 타 지역에 비해 특히 많이 밀집되어 있다. 경기도 안산 지역의 이주노동...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중(而重), 호는 춘주(春州).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고, 아내는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의 딸이다. 동생이 이상의(李尙毅)와 예조참판 이상신(李尙信)이며, 한음 이덕형(李德馨)과는 동서지간이다. 이상홍은 1579...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중약(仲約). 아버지는 부호군 이사익(李師益)이며, 주부 이사성(李師聖)에게 입양되었다. 이중검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32년(영조 8) 무과에 합격하여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며 그 뒤 장원서별제, 사헌부감찰, 벽사도찰방(碧沙道察訪), 부사과, 종사관 등을 지냈다. 1751년(영조 27) 호랑이를 잡은 공...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호는 동파(東坡) 또는 서호(西湖). 아버지는 지제교 이만근(李萬根)이고, 동생이 안동부사를 지낸 이중화(李重華)이다. 이중창은 오도일(吳道一)한테 배웠으며, 진사에 오른 후 호조정랑을 지냈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었으나 현존 여부는 알 수 없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성륜(省倫). 아버지는 지제교 이만근(李萬根)이고, 형이 호조정랑 이중창(李重昌)이다. 이중화는 안동부사를 역임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었으나 현존 여부는 알 수 없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수옹(粹翁). 아버지는 병조판서 이계손(李繼孫)이고, 어머니는 연일정씨(延日鄭氏)이다. 이지시는 1498년(연산군 3) 음직으로 군기시별좌(軍器寺別坐)에 임명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종부시주부를 역임하였고, 1504년(연산군 10) 제천현감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다가 신도시 건설로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영...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존오(存吾). 증조부는 이사필(李士弼), 할아버지는 첨정 이우인(李友仁)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이상의(李尙毅)이며, 어머니는 윤현(尹晛)의 딸이다. 이지안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정언창(鄭彦窓)의 문하에서 허목(許穆)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1633년(인조 11) 진사가 되어 선릉참봉(宣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이진(而進), 호는 취금(醉琴). 할아버지는 좌승지 강응서(姜應瑞), 아버지는 현감 강종윤(姜宗胤), 어머니는 노경린(盧景麟)의 딸, 처는 임극순(林克恂)의 딸이다. 강면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05년(선조 38) 진사시에 합격하고 1610년(광해군 2) 별시...
-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자선가. 이찬은 본관이 경주(慶州)로, 한말에서 1920년대 초까지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지역의 재산가로 이름을 떨쳤다. 이찬은 부농(富農)의 아들로 태어나 생존해 있을 당시만 해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 일원의 토지는 거의 그의 소유라 할 만큼 대지주였다. 대부분의 농토는 많은 소작인들에 의해 경작되었다. 이찬은 마음이 소박하고 인정이 두터워 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과 군포시 둔대동의 경계에 있는 고개. 반월동 남산뜰에서 반월저수지 왼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둔터[둔터골]가 나오는데, 현재는 군포시에 속하지만 전에는 반월면 둔대리이었다. 이 마을에서 서쪽 산등성이 고개를 넘어가면 안산에 이르게 된다. 안산 지역에서 수원을 가려면 이천이고개를 넘어 둔터·대감·대야미를 거쳐야 하는데, 피치 못할 사정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과 군포시 둔대동의 경계에 있는 고개. 반월동 남산뜰에서 반월저수지 왼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둔터[둔터골]가 나오는데, 현재는 군포시에 속하지만 전에는 반월면 둔대리이었다. 이 마을에서 서쪽 산등성이 고개를 넘어가면 안산에 이르게 된다. 안산 지역에서 수원을 가려면 이천이고개를 넘어 둔터·대감·대야미를 거쳐야 하는데, 피치 못할 사정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물기(勿欺), 호는 이곡산인(梨谷散人). 할아버지는 참봉 이활(李佸)이고, 아버지는 양주목사를 지낸 이경희(李慶禧)이다. 이충가는 음직(蔭職)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통훈대부에 올랐으며, 군자감부정, 석성현감(石城縣監), 임천군수(林川郡守), 예천군수 등을 지냈다. 특히 예천군수로 있던 중 경상도순검어사(慶尙道巡檢御史) 유간(柳澗)은 이충...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 아버지는 양주목사를 지낸 이계광(李繼光)이고, 어머니는 함양김씨(咸陽金氏)로 판서 김지(金知)의 딸이다. 이팽수는 음직(蔭職)으로 여러 관직을 거친 뒤 1590년(선조 23) 평난공신(平難功臣)에 녹훈되었고 벼슬이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에 이르렀다. 묘소는 서울시 은평구 진관외동에 있다....
-
개항기 문신이자 친일파. 이하영은 경주이씨(慶州李氏)로 자는 치행(致行), 호는 금산(琴山)이다. 경상도 동래군[현 부산광역시]에서 출생하여 소년기에는 상업에 종사했다. 일본인 상인과 미국선교사 알렌을 통하여 익힌 어학 실력이 출중하여 일찍부터 일본어를 익혔고, 국내에 영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전무할 때 영어를 배워 고종의 통역을 맡게 되었다. 집안이 양반 가문도 아니고...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하경(夏卿), 호는 매산(梅山)·육우당(六寓堂). 아버지는 지평을 역임한 이지안(李志安),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영제군(寧堤君) 이석령(李錫寧)의 딸, 처는 용인이씨(龍仁李氏) 이후산(李後山)의 딸과 안동권씨(安東權氏) 권대후(權代後)의 딸이다. 아들로 이잠(李潛)과 이익(李瀷)이 있다. 이하진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향토사학자이자 서지학자. 필명은 이승언(李承彦)이다. 1945년 출생하여 2002년 사망하였다. 이한기는 당시의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 논곡리에서 태어났다. 1960년대부터 지역의 문화 발전에 관심을 갖고 옛것을 발굴하고 연구하며, 후세를 위해 이를 보존하겠다는 일념으로 주변에 흩어져 있는 신문과 고서적, 사료들을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1979년 본격적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이함일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와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을 역임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본오동 각골에 있다가 경기도 화성군 남양면 북양리로 이장되었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이헌(而憲). 아버지는 강종윤(姜宗胤), 어머니는 곡산노씨(谷山盧氏)이다. 강칙은 1617년(광해군 9)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선교(宣敎)로서 1621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같은 해 신지익(申之益)과 이이첨(李爾瞻)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벌이면서 이이첨의 충성스러움과 굳은 절개를 강력하게 변호하는 상소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사능(士能). 아버지는 공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公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 이담(李湛)이다. 이현행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1727년(영조 3) 진사시에 합격하고 청도군수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본오동 각골 상봉에 있다가 도시화로 경기도 화성군 남양면 북양리로 이장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던 자연마을. 조선시대 중엽 마을 동쪽 연안으로 배[梨]가 들어왔다 하여 배옷[梨湖]이라 하였고, 포구는 이호포(梨湖浦)라 불렀다. 마을 북쪽 지역을 웃말, 서남쪽 지역을 아랫말, 동남쪽 지역을 동끝, 동북쪽 지역을 우중굴이라 불렀다. 본오동은 조선시대에 성곶면의 행정구역을 조정할 때 1리~4리는 쉽게 마을 명칭이 결정되었으나 배옷 주민들과 선암동(...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사는 예의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깊이 생각하며 새로움을 찾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긍지와 자부심을 갖는 이호인 육성’이다. 이호초등학교는 1997년 1월 4일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3일 10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8년 2월 18일 제1회...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익세(翼世), 호는 태비(苔扉). 증조부는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 할아버지는 윤지함(尹之諴), 아버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어머니는 예조판서 김주(金澍)의 딸이다. 윤민헌은 동생 윤민일(尹民逸)과 같이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88년(선조 2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문음으로 선...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익지(益之), 호는 유천(柳川). 증조부는 정선군수 한승원(韓承元), 할아버지는 한여필(韓汝弼), 아버지는 경성판관(鏡城判官) 한효윤(韓孝胤), 어머니는 예빈시정(禮賓寺正) 신건(申健)의 딸이다. 인조의 장인이다. 한준겸은 1579년(선조 12) 생원과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585년에 태릉참봉에 천거되었으며, 이듬해에 별시문과에 병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기중(期中), 호는 표운(豹雲)·정은(貞隱). 증조부는 표암(豹庵) 강세황(姜世晃), 할아버지는 강빈(姜儐), 아버지는 현감 강이구(姜彛九), 어머니는 남리익(南履益)의 딸이다. 강세황 이후 후손들이 안산에 우거하였다. 강로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837년(헌종 3) 진사시를 거쳐 1848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성중(聖中), 호는 지포(芝浦). 증조부는 한성부판관을 지낸 이의규(李宜揆), 할아버지는 호조좌랑 이보순(李普淳), 아버지는 형조판서 이숭호(李崇祜)이다. 이재학은 1770년(영조 46) 문과에 급제한 뒤 정자, 수찬을 거쳐 교리가 되었다. 1776년 시독관(侍讀官)으로 있으면서 신분 질서의 문란함을 지적하며 명분을 바르게 하고 기강을...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소릉(少陵)·오호(五湖)·서산(西山)·파릉(巴陵). 증조부는 이공려(李公礪), 할아버지는 집의 이사필(李士弼), 아버지는 사재감정 이우인(李友仁),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형은 응교 이상홍(李尙弘)이며, 동생은 예조참판을 지낸 이상신(李尙信)이고, 아들은 이지안(李志安)이다....
-
경기도 안산시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자연 상태의 습지를 모방하여 설계하고 건설, 운영하는 습지. 습지는 연안습지와 내륙습지로 분류되며, 형태로는 자연습지·복원습지·조성습지·인공습지로 분류된다. 습지의 유형으로는 표층유로습지와 표층하유로습지와 함께, 이들은 결합한 혼성 시스템이 있다. 습지 생태계는 자연의 정화조로 지구상의 어떤 생태계보다 생산성이 높은 곳이다. 습지의 기능 및...
-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하는 시민 집단의 계수. 1986년 1월 1일 안산시가 시(市)로 승격된 이후 10년간[1986년~1995년]의 인구 증가율은 18.3%였다. 이는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국 평균 인구 증가율이 2% 미만이었고 경기도의 평균 인구 증가율이 4.6%였던 것과 비교하면 4~10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시기 안산시의 폭발적인 인구 증가세를 충분히 반영하고도 남는 수치이...
-
경기도 안산시에 분포하고 있는 인문지리적 요소. 인문지리학은 인문 현상과 관련된 지리학의 한 분야로 자연지리학에 대립되는 계통지리학이다. 또한 지표상에서 일어나는 인문지리적 요소를 공간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문지리학은 다른 많은 학문 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연구 대상은 경제·교통·관광·도시·문화·사회·역사·인구·정치·취락 등 여러 가지 분야로 나누어진다. 안산시는...
-
조선 후기 안산에서 활동한 왕후. 본관은 덕수(德水). 아버지는 조선시대 한문학 4대가 중 한 사람인 신풍부원군(新豊府院君) 장유(張維), 어머니는 안동김씨(安東金氏)로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딸, 남편은 효종(孝宗)이다. 자녀로 현종(顯宗), 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淑明公主), 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淑敬公主) 등 1남 5녀를 두었다. 오빠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인숙(仁叔), 호는 좌명암(左明庵)·좌암(左庵). 할아버지는 정희보(鄭熙普)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에 증직된 정육(鄭稑)이다. 정찬흠(鄭燦欽)[1740~1823]은 음직으로 출사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1817년(순조 17)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1819년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묘소는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의 시낭운동장[옛 양궁경...
-
대부도에는 조선시대 이괄(李适)의 난을 피해 도망가다 대부도에 잠시 들렀다고 전해지는 인조(仁祖) 임금과 관련한 설화가 많다. 이런 이야기들이 적힌 문헌은 발견되지 않아 역사적인 사실 여부에 대해서는 좀 더 정확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만약 이것이 사실이었다면 서울과 떨어진, 게다가 육지도 아닌 외딴 섬에 왕이 들렀다는 것은 당시 섬마을 사람들에게 전무후무한 사건이었을 것...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에서 인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인조 임금과 대부도 처녀」는 이괄(李适)[1587~1624]의 난을 피하여 피난 온 인조 임금에 대한 대부도 처녀의 절의담이자 인조 임금의 보은담으로 이루어져 있다. 1989년 옹진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옹진군지』에 수록되었다[채록일자, 채록자, 제보자 미상]. 1997년 경기도 안산시 대부북동 종현마을...
-
종현 마을은 시화방조제를 지나 대부도에서 약 2㎞쯤 동쪽 방향으로 가다가 영흥화력발전소 길로 접어들면서부터 시작된다. 법정동은 대부북동이며 행정동은 대부동이다. 종현 마을은 대부도의 중심에 위치한 곳으로 주민 대부분이 반농반어의 생업에 종사하는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이다. 예전에는 종현마을을 북을 두드린다는 의미의 ‘북두리’라고도 불렀다. 마을의 형상을 보면 마을 뒷산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서 은행나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인조와 은행나무」는 인조(仁祖)가 이괄(李适)[1587~1624]의 난을 피해 풍도에 피난 온 기념으로 후망산 정상 부근에 은행나무 두 그루를 심었다는 식물유래담이다. 1989년 옹진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옹진군지』에 수록했다[채록일자, 채록자, 제보자 미상]. 1997년 경기도 안산시 풍도동으로 현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인지(引之), 호는 귀헌(龜軒)·귀봉(龜峰). 아버지는 광흥창승을 지낸 이의인(李依仁)이고, 어머니는 송구윤(宋九贇)의 딸이다. 아내는 정보(鄭保)의 딸이다. 이계손(李繼孫)[1423~1484]은 장인인 정보에게서 수학하였으며, 1447년(세종 29) 생원이 되었고 그해 문과에 급제하였다. 1453년(단종 1) 사간원정언, 이듬해에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정밀 부품 제조업체. 미래 정보화 시대, 첨단 디스플레이 세상의 선두업체라는 비전과 고객은 항상 옳다라는 이념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평판 디스플레이 부품 전문회사로 성장해 나가고 있는 기업이다. 1987년 11월 세종산업사로 설립되었다. 1988년 3월 삼성전자(주)의 부품 공급업체로 등록되었으며 1992년 (주)세종으로 법인 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관세 행정 기관. 안산세관은 국가 기관으로서 기획재정부의 외청인 관세청에 소속되어 있고 인천본부세관의 권역내 세관으로 편제되어 있다. 안산세관은 경기도 안산 지역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세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5년 3월 6일 수원세관 반월출장소로 개소하였다. 1990년 4월 9일 인천본부세관 소속 안산세관으로 승격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3동에 있는 보안장비 제조 및 유통업체. (주)인컴씨는 21세기 최첨단 디지털보안시스템을 통한 국민의 안전과 재산 보호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2년 9월 인컴씨를 설립하였다. 2003년 3월 주식회사 인컴씨 법인을 설립하였고, 7월 경기테크노파크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5월 전국 37개 지사 및 A/S센터를 정식 개설하였으며, 2007년 12월 한덕수 대...
-
풍도에 인터넷이 설치된 것은 2001년이다. 처음 설치된 곳은 마을청년회관으로, 안산시에서 컴퓨터와 프린터 등을 무상으로 제공하였다. 당시 풍도에는 풍도분교 재학생 9명 등 주민 148명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낙도여서 일반 전화선 외에는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아 인터넷 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처음 인터넷이 설치되었을 때는 아이는 물론 어른까지 마냥 신기해했다고 한다. 전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FPCB 제조업체. 인터플렉스는 ‘최우선 고객만족’이라는 경영 이념 아래 철저한 고객 지향적 사고와 행동으로 고객 만족을 극대화하고, 또한 플렉서블(Flexible) PCB 국내 선도업체로서의 노하우와 지속적인 신제품 개발을 바탕으로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코리아써키트를 발족하고 FPC(flexible printed ci...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잉화면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 조선 후기 영조 때 완성된 『여지도서(輿地圖書)』이다. 이후 1842~1843년 간행된 『경기지(京畿誌)』나 1871년 간행된 『경기읍지(京畿邑誌)』에 수록된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 등에도 언급되어 있다. 조선시대 안산군의 관문에서 서쪽으로 약 10㎞ 떨어진 곳에 위치한 지역이었다. 『여지도서』에 따...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일경(一卿). 아버지는 호조참판을 지낸 이석(李晳),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이다. 이상기는 경기도 안산군 초산면 산현리[현 시흥시 산현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병환이 나자 변의 맛을 보아 병의 상태를 살피는 등 정성을 다하여 간호하였고, 병이 낫게 해달라고 하늘에 기도하였다. 그 효성의 지극함이 아버지가 세상을 떠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케이블 제조업체. 일광전자재료는 품질·환경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사전적이며 예방적인 활동을 수립하며, 품질 향상과 생산량 증가를 위해 노력하고, 확실한 판매망 구축 및 신제품 개발 지원 확대를 통하여 전자통신 부품용 리드와이어와 알루미늄와이어, 통신케이블선재 분야에 앞장서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3년 삼아전자재료로 설립되었다가 1995년 일광...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조선시대 이 지역에 다섯 마을이 있었는데 광주 읍치(邑治)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견아상입지(犬牙相入地)였기 때문에 일리·이리·삼리·사리·오리 등으로 편의상 부르던 것이 마을 이름으로 굳어진 듯하다. 조선시대에 광주군 성곶면 일리(一里)였다가 1906년 안산군 성곶면 일리가 되었다. 1914년 수원군 반월면 일리가 되었고, 1949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수령 150년의 보호수. 느티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를 맺으며 10월에 익는다. 잎은 계유(鷄油)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 일동공원은 라스베이거스공원이라고도 불린다. 미국의 라스베이거스 시에도 안산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일동공원은 미국과 한국 간의 국제 교류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1987년 경기도 안산시와 미국의 라스베이거스 시가 자매결연을 맺었는데, 일동공원은 이를 기념하는 것과 더불어 안산시 상록구 일동 지역 주민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련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성당.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내 안산1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주보성인은 성 마르코 복음사가이다. 매년 4월 25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안산성마르코성당은 2006년 9월 26일 본오동성당에서 분당되어 일동성당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2009년 2월 15일 안산시 일동 90-4번지[일동로 6] 성전...
-
삼천리마을에 근대화된 고구마 재배법을 전파한 오오야마[大山]라는 일본인이 언제 안산 지역에 들어왔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그의 처가가 육군 장성 집안이라는 이야기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당시 상당한 권력을 배경으로 활동했을 것으로 짐작해 본다. 1933년 7월 27일자 『매일신보』의 “牛豚 1頭 鷄 30首 每戶마다 飼育 -漸滅하든 팔곡진흥기세 산본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과 시흥시 군자동에 걸쳐 있는 산. 본래의 산명은 군자산(君子山)인데 조선 말엽에 군자봉으로 바뀌었다. 서촌(西村)[옛 군자면]을 묵묵히 지켜 온 수호산으로 봉우리가 하나라 하여 일봉산(一峰山), 또는 산의 내령이 서쪽으로만 뻗었다 하여 서령산(西嶺山)이란 별칭이 붙었다. 산의 유래에 대하여는 설이 구구하다. 군자동 구지정 출신인 풍수지리 연구가 지창룡(...
-
경기도 안산 지역의 주민들이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평생의례는 한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 평생을 살아가면서 중요한 순간순간마다 겪게 되는 의례를 말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부모의 부양을 받아 성장하여 성인이 되고, 혼인하여 자식을 낳아 가족을 이룬다. 늙어서는 자식으로부터 부양을 받다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겪게 되는 각 단계(段階)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활동한 옥장(玉匠). 일석(一石) 김용철 옥장은 1941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연구소를 차려 옥공예 연구에 매진하다가 2005년 사망하였으며, 현재 둘째 아들인 김성운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보조자로 지정되어 명맥을 잇고 있다. 김용철은 여섯 살 되던 해 한국으로 건너왔다. 16세이던 1955년 통학길에 우연히 이웃 노인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일성신약의 완제 의약품 제조 공장. 일성신약은 의약용 약제품 제조업체로, 주요 사업은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원료의 제조, 가공 및 판매이다. 2015년 12월 31일 기준 납입자본금은 133억 원이며, 매출액은 617억 4511만 6천 원이다. 2016년 3월 현재 대표이사는 윤석근이며, 총 252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일신방직의 원사 제조 공장. 1951년 전남방직으로 설립되어, 1961년 일신방직으로 분할 설립되었다. 1966년 신동교역을 인수하여 신동으로 회사 이름을 바꾸었다. 1973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고, 1975년 형남장학회를 설립하여 1988년 일신문화재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84년 일신방직 반월공장을 준공하였으며, 1987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PE 필름 제조업체. 일신화학공업주식회사는 새롭게 창출되는 세계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중장기 목표로 설정하여, 정직과 신용으로 과학 영농과 포장 산업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회사로 성장 발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7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 일신화학공업사로 설립되었다가, 1972년 일신화학공업...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카시트와 봉제완구·가구 원단 제조업체. 일정실업주식회사는 고객의 이익이 곧 회사의 이익이라는 경영 이념 아래 다양한 고급 제품의 생산과 품질보증 실현을 통하여 고객들에게 만족을 제공하며, 모든 거래에서 신용 제일주의로 모든 직원이 책임을 다해 산업용 섬유 산업계를 선도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3년 일정실업주식회사를...
-
1910년부터 1945년 8월 15일 해방될 때까지 경기도 안산의 역사. 일제는 1910년 8월 29일 조선을 병합하는 강제 조약을 체결하고 통감부를 확장·개조하여 식민지 최고통치기구인 조선총독부를 설립하였다. 이어 일제는 강점 직후인 1910년 9월 ‘조선총독부관제’와 ‘조선총독부중추원관제’ 등의 법령을 반포하여 지배기구의 기본 골격을 마련하고, 아울러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를...
-
1941년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면서 삼천리 마을의 고구마에도 변화가 찾아왔다. 거듭되는 전쟁으로 식량과 물자가 부족해지자, 일제는 전쟁을 계속하는 데 필요한 물자를 후방에서 동원해 갔다. 그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것이 식량의 약탈이었다. 부족한 식량과 물자를 한국에서 약탈한 결과 한국에서는 더욱 식량이 부족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고구마가 구황작물로 각광을 받았다. 고구마는 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일진전기의 케이블류 제조 공장. 일진전기는 1967년 설립되었다. 1978년 인천광역시 부평공장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1982년 일진전기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1984년 일진전기 반월공장 준공식을 가졌다. 1986년 수원 일진을 산업단지로 신축 이전하였으며, 1987년 전기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90년 배전자동화 시스템[ADS]을 한...
-
남해안에서 주로 생산되는 전복은 자연산과 양식으로 나뉘는데, 자연산은 주로 깨끗한 바다의 수심이 일정한 곳에서 자라며, 대부분 해녀나 잠수부에 의해서 채취되고 있다. 물론 가격은 양식에 비해 훨씬 높은 편이다. 양식의 경우 주로 방류에 의한 양식과 채롱에 의한 수하 양식, 육상수조식 전복 양식이 대표적이다. 방류에 의한 양식은 전복의 먹이인 해조류가 풍부한 해역에 전복씨...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의 의료인·의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호는 우봉(又峰)이다. 1896년 출생하여 1973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138번지에 있으며, 묘비는 1983년에 건립되었다. 임명재는 서울 제일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모교에서 조교수로 일하였다. 이어 서울 안국동에서 안동의원을 개업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일본인 의사단체인 경성의사...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절경(節卿). 증조부는 임서(林㥠), 할아버지는 임연(林堜), 아버지는 임종유(林宗儒)이다. 임세검은 1684년(숙종 10) 진사시에 합격하고 문음으로 등용되어 여러 관직을 거쳐 1705년(숙종 31) 고산현감(高山縣監)으로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사간원사간과 사헌부집의를 역임하고 단양군수로 나갔다가 임지에서 세상을 떠났다....
-
경기도 안산시의 산업 중 산림을 유지·조성하고 이를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업종. 임업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변해왔다. 초기에는 천연림(天然林)을 벌채하여 생산된 목재를 이용하는 것에 국한된 원시적인 약탈 행위를 의미하였다. 그리고 중기에는 산림을 인공적으로 조성 및 보육하여 임산물의 영속적인 수확을 꾀하는 육성적인 토지 생산 활동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임업은 산림을 합...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자시(子時), 호는 재간(在澗)·간옹(澗翁). 아버지는 응교 임광(任珖),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로 부호군 홍인(洪隣)의 딸, 처는 의령남씨(宜寧南氏)로 남태온(南泰溫)의 딸이다. 임희성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41년(영조 17) 생원시에 합격하고 음보로 효릉참봉(孝陵參奉)을 거쳐 사재감직장(司宰監直長...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인쇄 잉크 제조업체. 회사의 성장 기반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인간 존중의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프린터 소모품 및 IT·전자 부품 소재산업의 세계적인 선도 기업을 목표로 성장해 나가고 있는 업체이다. 1992년 (주)잉크테크가 설립되었다. 1999년 기업 부설연구소를 설립했으며 2000년에 본사 및 공장을 반월공업단지로 확장 이전하였다. 2001년...
-
조선시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잉화면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 조선 후기 영조 때 완성된 『여지도서(輿地圖書)』이다. 이후 1842~1843년 간행된 『경기지(京畿誌)』나 1871년 간행된 『경기읍지(京畿邑誌)』에 수록된 「안산군읍지(安山郡邑誌)」 등에도 언급되어 있다. 조선시대 안산군의 관문에서 서쪽으로 약 10㎞ 떨어진 곳에 위치한 지역이었다. 『여지도서』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