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원주민이 된 이주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C030101
지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민

나의 고향은 원곡동이 아니다. 내가 태어나 어른이 되기까지 살았던 곳은 여기에서 멀지 않은 선부리 달미라는 곳이다. 선부리는 지금의 단원구 선부동으로, 반월공단이 조성되면서 공단의 배후 주거 단지로 대규모 택지가 조성된 곳이다. 내가 태어나고 자란 집과 장가가서 다섯 형제를 낳았던 집, 그리고 집 주변에 있던 농토는 모두 없어지고, 이제 그 위에는 다른 사람이 들어와 집을 짓고 살고 있다.

우리 가족은 1978년 이곳 원곡동으로 이사 왔다. 우리 가족만 온 것이 아니라 달미에 살던 이웃 10여 가구가 함께 이사를 왔다. 함께 이사 오지 않은 이웃들은 서울, 수원, 인천, 안양 등으로 새로운 삶을 찾아갔다. 당시 원곡동 이주민단지에는 1978년부터 시작해서 1980년까지 집과 토지를 수용 당했던 원주민들이 이사를 왔다.

시흥시 군자면의 전통 마을 중 반월신도시 건설로 집과 토지가 수용된 선부리, 성곡리, 목내리, 초지리, 원시리, 원곡리 사람들이었다.

이주 당시 우리 가족에게 주어진 것은 231.41㎡ 정도 되는 이주 택지와 평당 일,이천 원 정도로 평가된 농토 보상비 몇 푼이 전부였다. 당시의 보상 제도라는 것이 현실의 삶도 제대로 보상해 주지 않았는데, 더더욱 답답한 것은 미래의 삶에 대해 전혀 고려해 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억울한 마음이 없던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국가의 정책이니 협조를 해야 할 것이고, 항의한다고 뾰족한 결과가 기대되지 않았기에 잠자코 받아들였다. 당시에는 원곡동이 안산시 군자동으로 편입된 뒤여서 군자동 또는 이주민 단지라고 하거나, ‘주택단지’라고 불렀다.

택시를 타면 기사들에게 ‘주택사거리’로 가자고 하면 되었다. 지금 내가 회장으로 있는 이곳 경로당의 이름도 그때부터 쓰던 ‘주택경로당’이다.

이사 후에 가장 시급한 문제는 가장으로서 가족을 먹여 살리는 문제였다. 농사짓는 것 외에는 별다른 지식과 기술이 없었기에 나는 걱정이 많이 되었다. 다행히도 반월공단에 공장이 속속 들어서면서 일자리가 생겨 그곳에 취직을 하였다.

많은 이주민이 반월공단에 취직이 되었지만, 건설 현장의 일용노동자가 되거나 가게를 열어 장사를 시작하는 이웃도 있었다. 이주민 단지를 떠난 사람도 많았고, 심지어는 이곳에 살면서 멀리 화성이나 시흥에 어렵게 농토를 마련하여 그곳까지 왕래하면서 농사를 짓던 사람도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처음에는 출신 마을별로 자주 왕래를 하였지만, 원곡동에 오래 살다 보니 서로의 얼굴을 알게 되고, 모두가 군자면 사람이라는 믿음이 있어서인지, 곧 웃어른에게는 먼저 인사하고 아랫사람에게는 작은 것이라도 돌보아주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마을의 큰 행사가 있거나 문제가 생기면 마을 복지관에 모여 함께 의논을 하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안은 그리 오래가지 못하였다. 마을에 외지인들이 들어오기 시작한 것이다.

반월공단이 성장하자 공장 노동자의 수도 급증하게 되었다. 공단 입구인 원곡동은 공장과 가깝고 서울, 인천, 수원 등과 교통편이 편해 노동자 주거지로 인기가 높았다. 주택 수요가 갑자기 증가했다. 이주 당시 1층까지만 허용되던 집의 건축이 3층까지 허용되었다. 1993년 나는 살던 집을 허물고 3층 다가구 주택을 신축하여 맨 위 층에 우리 가족이 살고 그 아래층 전부를 근로자에게 방을 내주고 세를 받았다. 원곡동은 방세가 싸고, 직장이 가깝고, 교통도 편한데다 식당, 다방, 술집 등 유흥 시설도 많아 노동자들의 주거지로 인기가 높았다. 당시 원곡동은 안산에서 물 좋은 곳으로 통했다.

경기는 좋을 때도 있었지만 나쁠 때도 있었다. 한참 커가던 반월공단의 입주업체들은 1996년 이후 3여 년 동안 극심한 경기 침체에 직면했다. 불경기로 내국인 근로자들도 점차 원곡동을 떠나고 빈방이 늘기 시작하였다. 나의 시름도 커지기 시작하였지만, 그것도 잠깐이었다. 1990년대 초반 무렵부터 마을의 구석에서 한두 명 보이던 조선족 동포들이 점차 증가하더니, 이윽고 중국인[한족]들로 마을의 빈방이 메워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더니 피부색과 언어가 전혀 다른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여 이제는 러시아나 아프리카 사람까지 마을 사람이 되었다.

외국인 노동자가 마을에 들어오는 것에 대해서는 마을 사람들의 의견이 서로 갈린다. 방을 세놓거나 그들을 상대로 장사를 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일부 부정적인 면도 있지만 그들 덕에 먹고 산다”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그들로 인해 마을의 전체 이미지가 안 좋아지고, 실제로 주거 환경이 급속하게 악화되었다고 힘주어 말하는 사람도 있다.

생각해 보면 모두 옳은 이야기이다. 다만 내 생각으로는 과거의 내가 원곡동의 이주를 편하게 받아들였던 것처럼, 마을에 점차로 외국인이 느는 것을 편하게 받아들이려 한다. 그들도 과거의 나처럼 먹고 살려고 살던 고향을 떠나 이국 타지에 와서 고생하고 사는 것이고, 그들이 들어와 살기에 마을이 슬럼화되지 않고 그래도 활기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다만, 일부 외국인들이 아직도 소란을 피우거나 쓰레기를 무단으로 버리지만 그것도 점차로 나아지고 있다. 그들이 마을에 함께 사는 것에 대해 이웃들이 조금 이해하고, 도와준다면 마을은 훨씬 나아질 것이다.

내가 태어나 자란 곳은 원곡동이 아니다. 그러나 나는 이곳 원곡동 허허벌판에다 새 집을 지었고, 아내와 근 30년을 살면서 5형제를 키워 장가를 보냈다. 이제 5형제는 이곳을 떠나 다른 곳에서 각자의 가정을 이루고 잘 살고 있다. 아마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나의 남은 생도 여기 원곡동에서 지내다 마감할 것이다. 나는 당초 이 마을에 이주민으로 왔지만, 이제는 원곡동의 원주민이 되었다.

[정보제공]

  • •  안상목(남, 1937년생, 원곡동 거주, 주택경로당 회장)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