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하경(夏卿), 호는 매산(梅山)·육우당(六寓堂). 아버지는 지평을 역임한 이지안(李志安),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영제군(寧堤君) 이석령(李錫寧)의 딸, 처는 용인이씨(龍仁李氏) 이후산(李後山)의 딸과 안동권씨(安東權氏) 권대후(權代後)의 딸이다. 아들로 이잠(李潛)과 이익(李瀷)이 있다. 이하진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하경(夏卿), 호는 지곡(芝谷). 증조부는 한덕급(韓德及), 할아버지는 한수원(韓壽遠), 아버지는 판관 한성익(韓聖翼)이다. 청원군(淸原君) 한성보(韓聖輔)에 입양되었다. 한배하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으며 윤증(尹拯) 문하에서 수학했다. 1693년(숙종 19) 통덕랑으로 알성시에 병과 1등으로 급제하...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시행된 동계의 하계원들 명단을 적은 책. 안산 지역 와동을 중심으로 시행되었던 동계는 상계와 하계로 나뉘는데, 이는 또 다른 고문서인 「동내상계좌목(洞內上契座目)」이라는 명칭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계와 하계가 나누어 설치되었던 시기는 18세기 이후로, 상계는 주로 향촌의 사족이 구성원이었고 하계는 일반 평민들로 구성된 조직이었다....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군에서 거주한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을 역임한 정유성(鄭維城)이고, 아버지는 진사 정상징(鄭尙徵)이다.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호조판서를 지낸 이기조(李基祚)의 딸이다. 정제두(鄭齊斗)[1649~1736]는 한성부 반석방(盤石坊)에서 출생하였으며, 어려서는 이상익...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 지역에 은거했던 정제두의 문집. 정제두(鄭齊斗)[1649~1736]의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이다. 조선 후기 대표적인 양명학자이자 강화학파의 시조이다. 정제두는 비록 서울에서 태어나긴 했지만 어려서부터[적어도 5세 이후부터] 안산에서 살았으며, 40대 후반 안산 추곡(楸谷)으로 들어온 후 나이 60세 때까지 이곳에 묻혀 학...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중익(仲益), 호는 저로(樗老). 아버지는 공조좌랑을 지낸 이사언(李士彦)이며, 어머니는 선산김씨(善山金氏)로 김국주(金國柱)의 딸이다. 이우직은 1555년(명종 10) 진사가 되었고, 1558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었다. 그 뒤 박사, 전적, 어천찰방(魚川察訪), 교리 등을 거치고, 세 번이나 암행어사가 되어 수령들의...
-
마을이 처음 생긴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화정동 너빌 마을에서는 조상들의 충효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평상시에는 시제를 지낼 때 후손들에게 선조들의 얼과 정신에 대해 가르쳤다고 한다. 그리고 그 뜻을 이어가기 위해 작은 마을이지만 근대 이전에는 여러 개의 서당을 운영하면서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도록 애썼다. 조선시대에 서당은 가르침과 배움이 시작되는 곳이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과 상록구 부곡동에 있는 공원묘지. 안산시 공설 공원묘지로는 꽃빛공원[구 와동 공설 공원묘지]과 하늘공원[구 부곡동 공설 공원묘지]이 있으며, 공설 묘지는 안산시 관내에 14개소가 있다. 안산시에서는 꽃빛공원과 하늘공원이 도시 공원으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깨끗하고 아름답게 정비하고 있다. 최근 장례 문화가 화장 중심의 문화로 확산되면서 화...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晋州). 아버지는 조선 전기 무신이었던 병조좌랑 하효명(河孝明), 어머니는 절제사 승한(承翰)의 딸이다. 후손으로는 아들 하징(河澄)과 하팽로(河彭老), 하원로(河元老), 하충로(河忠老), 하인로(河仁老) 등 4명의 손자를 두었다. 맏형 하맹순(河孟洵)이 후사 없이 일찍 세상을 떠나자 장남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하복산은 세조조에 선전관(宣傳官)으로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있는 자연마을. 시흥시 장하동 원뒤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마을로 웃버대 아래에 있어 아랫버대[下楊垈]라고 한다. 웃버대는 마을 동남쪽에 있는 강징(姜澂)[1466~1536]의 묘가 풍수로 보아 꾀꼬리가 버드나무 가지에 집을 짓고 사는 앵소유기(鶯巢柳技) 형국이므로 마을 하천 둑에 버드나무를 많이 심은 뒤로 마을을 ‘버들촌’이라 한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유무선 통신장치 제조업체. (주)하이게인안테나는 전파공학·기계공학·건축학이 결합된 철저한 정밀기술의 결집체인 위성안테나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확보하면서 경쟁력을 갖춘 세계적 첨단기업으로 성장·발전해 나가고 있는 기업이다. 1970년 10월 1일 하이게인안테나공업사로 설립되었으며 1978년 2월 22일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78년 3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광 응용기기용 전자기계 엑츄에이터(Actuator) 시스템 전문기업. (주)알비케이이엠디은 일반 디지털 카메라에서만 구현 가능했던 자동초점 기능을 휴대폰용 카메라에서도 구현 가능케 하는 초소형 정밀 구동장치를 개발하고 있는 기업이다. 지난 2005년부터 휴대폰 카메라에 탑재되기 시작하여 2007년부터 적용이 본격화되었으며 타 방식 대비 제품 완성도...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호는 창주(滄州). 할아버지는 하효명(河孝明), 아버지는 인동현감 하복산(河福山), 어머니는 회덕황씨(懷德黃氏)이다. 아들로 하팽로(河彭老), 하원로(河元老), 하충로(河忠老), 하인로(河仁老) 등 4형제를 두었다. 장남 하팽로는 중종 때 정국공신 1등이 되었으나 과거시험에 낙제한 이후 과거에 응시하지 않자 왕이 이 사실을 알고 한탄하였다고...
-
경기도 안산 지역의 지표면에 내린 강수가 모여 흐르는 물길. 지표면에 내린 비나 눈은 사면(斜面)의 최대 경사 방향을 따라 흐르므로 지표면에 물길이 생기게 된다. 이 유수는 좁고 긴 요지(凹地)의 통로를 따라 흐르게 되는데, 이 물을 하천이라 부른다. 한국에서는 큰 강을 강(江), 작은 강을 천(川) 또는 수(水)로 나타내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안산 지역...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晋州). 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로 개성부윤 이존성(李存性)의 딸이다. 하효명은 세종조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1433년 7월 병조좌랑으로 있을 때, 경복궁 근정전 추녀머리가 비로 인해서 무너져 내리자 세종은 대신들에게 보수를 명하였고 하효명은 별좌(別坐)에 임명되어 그 책임을 다하였다. 그 뒤 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과 성포동 경계에 있는 고개. 예로부터 학이 많이 노닐던 고개라 하여 학고개라 하였고, 보통 화고개라 불렀다. 상록구 이동 꽃마을과 성포동 노적봉 사이에 있는 도로로,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왕복 8차선 도로가 되어 현재는 학고개라 부르는 사람이 거의 없다. 안산시 중앙로에서 수인산업도로로 진입하는 IC가 되었으며, 현재는 지대가 많이 낮아져 고개의 모습은 사...
-
경기도 안산시에서 제도적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소 또는 기관. 학교(學校) 또는 배움터는 교육을 위한 장소이다. 대체로 교실과 칠판 등 교육에 필요한 시설을 갖추고, 여러 학생들이 교사의 지도에 따라 지식을 얻는 형태로 교육이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교육제도 하에서 학생들은 일련의 학교들을 거치게 된다. 이와는 달리 특정 기능을 가르치는 곳도 학교로 불린다. 학교의 형태는 교육의 단계...
-
1934년 안산시 화정동 519번지에 설립된 화정간이학교는 해방 이후 새로운 변화를 맞았다. 일제의 압박에서 벗어나 잠시 공백기[1945~1947]를 거친 후, 일제의 잔재를 벗고 새롭게 우리 교육의 틀을 잡아가는 변혁기를 맞아 1947년 4월 30일 화정국민학교로 승격, 개교하게 된 것이다. 이후 화정국민학교는 지역의 초등교육기관으로 크고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1996년 3월...
-
경기도 안산시의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에 설치하는 심의·자문 기구. 학교 운영에 학부모, 교원, 지역 인사가 참여함으로써 학교 정책 결정의 민주성 및 투명성을 확보하고 지역 실정과 학교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심의·자문하는 기구로 국·공립 및 사립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특수학교에서는 반드시 학교운영위원회가 구성·운영되어야 한다. 학교운영위원회는...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호는 학산(鶴山). 아버지는 엄진(嚴縉)이고, 처는 정익천(鄭翊天)의 딸이다. 엄경응의 자세한 이력은 알 수 없고, 다만 1780년(정조 4) 3월 첨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음이 확인되는데 『한국계행보(韓國系行譜)』에 따르면 아마도 수직(壽職)[해마다 정월에 80세 이상의 벼슬아치와 90세 이상의 백성에게 은전으로 주던 벼슬...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몽뢰(夢賚), 호는 구포(鷗浦)·만산(晩山)·학유(學諭). 할아버지는 나윤침(羅允忱)이고, 아버지는 평산부사를 지낸 나급(羅級)이다. 어머니는 광산김씨로 참군(參軍) 김호선(金好善)의 딸이며, 부인은 초계정씨 정엽(鄭曄)의 딸이다. 나만갑(羅萬甲)[1592~1642]은 천성이 순수하고 후덕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봉선(奉先...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과 성포동 경계에 있는 고개. 예로부터 학이 많이 노닐던 고개라 하여 학고개라 하였고, 보통 화고개라 불렀다. 상록구 이동 꽃마을과 성포동 노적봉 사이에 있는 도로로,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왕복 8차선 도로가 되어 현재는 학고개라 부르는 사람이 거의 없다. 안산시 중앙로에서 수인산업도로로 진입하는 IC가 되었으며, 현재는 지대가 많이 낮아져 고개의 모습은 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공부하는 지혜로운 어린이[자주인],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어린이[창의인], 질서 있게 행동하는 예의바른 어린이[도덕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튼튼하며 슬기로운 학현 어린이’이다. 학현초등학교는 2003년 3월 1일 10학급으로 개교하였다. 같은 해 3월 3일...
-
한국의 신흥 도시 대부분이 그렇듯, 안산시에서 전통 시대의 모습을 간직한 곳은 드물다. 특히 산천을 전부 밀어 평지로 만들어 그 위에 공장을 짓고 근로자와 그 가족들이 살 주택과 상점을 지은 반월공단 주위로 전통을 간직한 마을을 찾는 것은 더욱 힘들다. 지금의 국경없는 마을에서 거주하는 사람 중에 태생지가 이 마을인 경우는 거의 없다. 간혹 있다면 1979년 지금의 이주...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민속 명절. 추석은 중추절(仲秋節)이라고 하여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명절이다. 가배(嘉俳)·가위·한가위·월석(月夕)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이래 주요 명절 중 하나였으며 오늘날에는 설날 다음으로 강하게 전승되고 있다. 추석은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일 년 중 가장 풍성한...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극일(克一). 아버지는 부호군 한유(韓侑), 어머니는 장흥임씨(長興任氏)로 봉사 임우견(任右堅)의 딸이다. 음직(蔭職)으로 부사직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산18-6에 있다. 아들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한응인(韓應寅)의 벼슬과 명망이 높아져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안산시의 발전과 역사는 반월공업단지, 시화공업단지와 괘를 같이 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70년대 말 반월공업단지를 조성하는 시기에 공업단지의 배후 도시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계획도시로 조성된 것이 안산시이기 때문이다. 반월공업단지는 1990년대 초 가동되기 시작한 시화공업단지와 함께 안산 지역 경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왔다. 따라서 안산시민의 삶은 반월공업단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천연 가스 산업의 기초 기술 및 이용 기술 개발 연구 기관.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은 「한국가스공사법」에 의거하여 천연 가스 및 에너지 관련 연구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자 설립되었다. 1988년 12월 기업 부설 연구소로 과학기술처로부터 인가를 받았고, 1990년 5월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으로 개원하였다. 1999년 10월 국가 지정 연구실[배관연구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한국국악협회의 안산시 지부. 한국국악협회 안산지부는 안산 지역의 국악 진흥과 향토 문화 보급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9년 4월 4일 근로청소년복지회관에서 발기인 총회를 개최하고 지부 설립을 선언하였다. 같은 해 6월 12일 한국국악협회로부터 정식 인준을 받았으며, 농악·민요·기악·국극·무용 등 5개 분과위원회와 직속 가무단을 두고 활동하며 현재...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는 한국SGI 소속 신종교 단체. SGI는 Soka Gakkai Internationa로 알려진 국제창가학회(國際創價學會)의 영문 약칭으로 일본계 종교 단체이다. 니치렌[日蓮]의 불법(佛法)으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던 종교활동인 창가학회(創價學會)를 1930년 11월 18일 마키구치 쓰네사부로[牧口常三郞]와 도다 조세이[戶田城聖]가 형식화하고 『창...
-
경기도 안산시를 관할하고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의 화성수원 지사.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어촌 정비 사업을 시행하고, 농업기반시설을 종합 관리하며, 농업인의 영농 규모 적정화를 촉진함으로써 농업 생산성을 증진시키고 농어촌의 경제 사회적 발전을 이끌고 있는 정부 투자 기관이다.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화성수원지사는 농촌과 어촌 지역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한국농업경영인 중앙연합회 산하 안산 지역 지부. 농업경영인 안산시연합회는 농업인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생산 기술의 과학화, 경영의 합리화, 유통의 선진화, 농업인의 권익 신장, 향토 문화의 계승 발전 등을 통해 복지 농촌 건설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87년 12월 전국농어민후계자협의회로 처음 출범한 뒤 1988년 전국농어민후계자협의회 각...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Resist잉크 전문 제조업체. 한국다이요잉크(주)는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고의 가치 있는 제품의 개발 및 제공을 통하여 고객, 주주 및 종업원, 지역 사회의 행복과 번영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8년 태평양그룹과 일본 태양잉크의 기술제휴 및 합작투자로 한국다이요잉크(주)가 설립되었다. 1989년 열경화형 Resist Ink, UV...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사립 IT 전문 특성화 고등학교. 자기 주도적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창의적인 IT 전문인, 새로운 세계를 능동적으로 선도할 세계적인 한국인, 올바른 가치관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사랑의 실천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꿈, 열정, 나눔’이다.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는 1999년 10월 3일 학교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2000년 6월 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비철금속 정밀주조 제조업체. 한국로스트왁스는 일반 산업용 부품[Commercial Casting Parts]뿐만 아니라 항공기, 선박, 발전설비의 핵심부품[Aerospace Casting Parts]을 개발 및 제조하고 있는 기업이다. 1979년 한국로스트왁스공업(주)로 설립되었다가 한국로스트왁스(주)로 변경되었다. 1989년 기업 부설 정밀주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종합 커넥터 전문 제조업체. 한국몰렉스(주)는 고객 중심 경영과 투명 경영을 원칙으로 가격 경쟁력이 있는 최상 품질의 제품을 개발·공급하여 고객과 더불어 세계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77년 몰렉스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80년 몰렉스 한국영업소를 개설하였다. 1984년 5월 한국몰렉스(주)를 설립하여 서울사무소를 개소했으며 11월에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한국무용협회 산하 안산시 지부. 한국무용협회 안산지부는 안산 지역 무용 인구의 저변 확대와 무용인들의 지위 향상 및 친목 도모를 위해 1993년 3월 설립되었다. 지도자 무용강습회 등을 통해 한국무용의 기본적 소양을 교육하고, 단원예술제[구 별망성예술제] 참가와 한국무용, 발레, 현대 무용 발표 등 다양한 장르의 무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01...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문인협회 산하 안산시 지부. 한국문인협회 안산지부는 산업시설과 더불어 녹지와 전원을 낀 안산의 특색을 조화시켜 향토적 개성을 뚜렷이 하고, 신개발도시가 갖는 무전통성의 취약성을 극복하여 정신적 기반을 쌓는 데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8년 11월 5일 창립준비위원회를 결성한 후, 같은 해 11월 27일 초대 집행부를 구성하여 정관을 통과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미술협회의 안산시 지부. 한국미술협회 안산지부는 한국미술협회 정회원들 및 연고회원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이고 왕성한 창작활동을 전개하면서 현재까지 안산 미술의 활성화를 주도해 오고 있는 미술단체이다. 한국미술협회 안산지부는 안산시민의 정서 함양 및 서해안시대 문화적 중심지로서의 안산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6년 안산문화예술인협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초지동에 있는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산하 안산 지역 지부.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안산지부는 민족 예술을 지향하는 예술인들의 상호 연대와 공동 실천을 통하여 안산 지역의 민족 문화 발전에 헌신하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11월 창립하여 초대 지부장으로 임영태가 취임하였다. 창립 초기부터 안산의 노동자들과 함께 건강한 노동자 문화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행사와 교육...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예방의약품 및 의료용구 전문 제조업체인 (주)한국백신의 제조 공장. (주)한국백신은 예방 백신, 진단 및 치료제, 환경 의약품 등의 연구 개발에 확고한 비전을 가지고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기업이다. 1956년 1월 한국백신(주)로 설립되었으며 1968년 의료용구 제조업 허가를 취득하였다. 1971년 위생용품 제조업 허가를...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산하 안산시 지부. 한국사진작가협회 안산지부는 안산 지역 사진예술의 저변 확대와 사진작가들의 지위 향상과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8년 7월 5일 한국사진작가협회 안산지부 설치 준비위원회가 구성되면서 김영일, 강태수, 김전식, 지종만, 유환영, 정기준, 이봉석, 이진혁, 백상현 등이 1차 발기총회를 하였다. 1998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연구소.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산업기술 향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으로 지난 40여 년간 시험평가 기술개발 및 국제 품질인증 획득 지원을 해왔으며, 산업 현장에 필요한 각종 기술 지원 업무에 주력하여 종합 시험인증기관으로 발전해 왔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안산시험연구센터는 기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경기 지역 총괄 본부. 반월공업단지는 1978년에 조성사업을 시작하여 1987년에 준공되었으며, 시화공업단지는 1986년에 조성사업을 시작하여 2002년에 준공되었다. 반월·시화공업단지의 총면적은 31.942㎢이며, 입주 대상 업종은 제조업, 첨단기술산업, 지식산업, 정보통신산업, 보관창고업, 운송업 등이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안전보건공단 산하 경기 서부 지역 관할 지사. 안전보건공단 경기서부지사는 근로자의 안전 유지 및 보건 증진과 사업주의 재해 예방 활동을 유도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7년 4월 8일 안산산업안전기술지도원[4개 부서]으로 개원하였고, 1998년 12월 6개 부서로 조직을 확대하였다. 2001년 11월 인원을 늘리고 팀제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하 연구 기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안산연구센터는 생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용화 기술 개발·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설립되었다. 「중소기업의 경영안정 및 구조조정 촉진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1989년 10월 12일 산업계 생산 기술의 종합적 연구 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한국생...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는 국립 정신지체아 특수교육기관. 바르게 살아가는 생활인, 스스로 해결하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을 튼튼히 하는 건강인, 아름다움을 가꾸어 가는 정서인, 소질을 키워 가는 기능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선진학교는 1990년 3월 1일 개교하여, 유치부·초·중·고등 과정 총 146명의 학생이 입학하였다. 1992년 3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시화 지역 본부. 1976년 12월 4일 도시계획구역 및 개발제한구역 결정고시에 따라 1976년 12월 27일 산업기지개발공사 반월건설사무소가 개소하였다. 1977년 3월 30일 안산1단계 공사가 착수되었으며 1977년 6월 18일에는 반월특수지역 개발기본계획이 결정 고시 되었다. 1991년 10월 11일 안산2단계 공사 착수에 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시화지역본부의 산하 조직. 한국수자원공사 시화지역본부 MTV[멀티테크노밸리]사업처는 관리처, 조력사업처, 송신사업처와 더불어 한국수자원공사 시화지역본부 산하에 있는 주요 사업 조직의 하나이다. 현재 시화호의 안정적 수질 확보와 더불어 자연환경과 첨단산업이 함께하는 21세기 디지털시대를 이끌어 갈 미래지향적 첨단복합 산업단지인 시화M...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시화지역본부의 산하 조직. 한국수자원공사 시화지역본부 MTV[멀티테크노밸리]사업처는 관리처, 조력사업처, 송신사업처와 더불어 한국수자원공사 시화지역본부 산하에 있는 주요 사업 조직의 하나이다. 현재 시화호의 안정적 수질 확보와 더불어 자연환경과 첨단산업이 함께하는 21세기 디지털시대를 이끌어 갈 미래지향적 첨단복합 산업단지인 시화M...
-
1991년에 창립된 한국 실학에 대한 전문 연구 학회. 한국실학학회는 한국의 실학에 대해 개별적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국내 연구자들을 결집하여 실학 연구의 양적 영역을 확대하고 질적 발전을 기하기 위하여 결성되었다. 1991년 3월 16일 한국실학연구회로 창립되어 1999년부터 학회지 『한국실학연구』를 간행하고 있으며, 2002년 6월 학회 명칭을 한국실학학회로 변경하였다. 이...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는 한국SGI 소속 신종교 단체. SGI는 Soka Gakkai Internationa로 알려진 국제창가학회(國際創價學會)의 영문 약칭으로 일본계 종교 단체이다. 니치렌[日蓮]의 불법(佛法)으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던 종교활동인 창가학회(創價學會)를 1930년 11월 18일 마키구치 쓰네사부로[牧口常三郞]와 도다 조세이[戶田城聖]가 형식화하고 『창...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연극협회 산하 안산시 지부. 한국연극협회 안산지부는 안산 지역 연극예술의 진흥과 연극인들의 친목 도모 및 반월공업단지에서 일하는 연극 가족들의 동참을 통한 새로운 예술문화의 형성을 위하여 1990년 11월 6일 설립되었다. 별망성예술제[현 단원예술제]를 순수 민간 주도로 성공시키는 데 노력하였고, 1988년~1989년에는 자체 예산을 들여 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산하 안산시 지부.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안산지부는 안산 지역에서 활동하거나 지역에 연고를 둔 연예인들에 대한 단합과 지역 활성화를 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0년 9월 한국연예협회 안산지부가 설립되었으며, 2008년 한류 열풍의 영향으로 연예부문도 예술의 일부라는 인식하에 사단법인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안산지부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한국영화인협회 산하 안산시 지부. 한국영화인협회 안산지부는 안산시민의 정서 함양 및 우수영화 보급을 위해 설립되었다. 1986년 안산문화예술협의회 산하 단체로 가입하여 활동을 시작한 후 1989년 10월 21일 한국영화인협회 안산지부로 창립하였다. 1990년 5월 18일 정식 인준을 받았으며 초대부터 5대까지는 최석규가, 6대부터 8대까지는 김영...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의 안산시 지부. 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 안산지부는 안산 지역 문화예술 활동의 구심체로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6년 8월 설립된 안산문화예술인협의회를 모체로 활동하다가 1990년 5월 사단법인 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 안산지부 설립을 발기하여, 7월 1일 인준서를 교부받아 정식으로 발족하였으며 장동휘 초대 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의 안산시 지부. 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 안산지부는 안산 지역 문화예술 활동의 구심체로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6년 8월 설립된 안산문화예술인협의회를 모체로 활동하다가 1990년 5월 사단법인 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 안산지부 설립을 발기하여, 7월 1일 인준서를 교부받아 정식으로 발족하였으며 장동휘 초대 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한국와이퍼(주)는 ‘드높은 기상, 강인한 의지, 올바른 생활’이라는 사훈 아래 최고의 품질 시대에 최고의 Wiper Blade를 공급하여 한국 최고의 자동차 부품 메이커로 성장해 나가고 있는 기업이다. 1987년 3월 한국와이퍼(주)가 설립되었으며 1988년에는 기아자동차에, 1990년에는 현대자동차에 납품을 개시하였다....
-
경기도 안산 지역을 중심으로 보존·전승되거나 공연이 이루어지는 한국의 전통음악 또는 그 관련 사람이나 단체. 국악은 한국음악의 준말이며 한국음악이란 한국에서 연주되는 모든 음악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이미 한국에 뿌리를 내린 음악 또는 한국적 토양에서 나온 음악을 가리킨다. 여기서 이미 한국에 뿌리를 내린 음악을 전통음악이라 함은 시대적으로는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1910년 이전부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있는 한국음악협회 산하 안산시 지부. 한국음악협회 안산지부는 안산시민의 정서 함양 및 후진 양성을 위해 설립되었다. 안산문화예술협의회 산하 단체로 활동을 하면서 1986년 8월 18일 한국음악협회 안산지부가 설립되었다. 1997년 12월 16일 한국음악협회로부터 정식으로 설립 인준을 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예술제, 음악회, 경연대회, 연주회 등 각...
-
안산시는 서울특별시에서 남서쪽으로 35㎞ 지점인 시흥시와 화성시의 접경 구릉지대에 위치한 신 공업도시이다. 수도권의 계획도시로 조성되어 한국의 근대화와 함께 성장해 온 도시답게 공업화의 상징인 반월공업단지 및 시화공업단지가 배후에 자리 잡고 있으며, 1970~1980년대의 산업 발전에 힘입어 전국 곳곳에서 인구가 유입되었다. 그리하여 안산시의 인구는 매년 두 자리 수치의 인구 증가...
-
원곡동에 제일 많이 거주하는 민족은 어느 민족일까? 답은 바로 한민족(韓民族)이다. 그 한민족도 세분해 보면, 국내 출신의 한민족도 많지만, 중국에서 온 조선족 동포도 많이 산다. 원곡동은 얼핏 보면 동남아시아 국가 출신의 외국인이 많이 사는 것으로 착각할 수 있으나, 외양으로는 구분이 쉽게 되지 않아서 그렇지 실제로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
-
그의 이름은 나빅이다. 원래 그의 조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의 하나인 방글라데시이다. 2008년, 한국 나이로 그는 마흔세 살이다. 1991년 관광을 겸해 한국에 왔다가 눌러 앉은 뒤로, 비자 갱신 문제로 중간에 방글라데시를 다녀온 것을 제외하곤 18년간 계속되는 한국 생활이다. 경기도 광주가 친정인 아내와 결혼한 그는 이제 곳 한국인이 될 것이다. 그의 한국 생활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한국전기연구원 안산 지역 분원. 한국전기연구원 안산분원은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전기 관련 분야 산업 원천, 실용화, 공익성 기술 연구 개발 및 성과 확산, 전기 관련 분야의 시험·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1976년 12월 29일 재단법인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로 설립되었다. 1981년 1월 20일 한국통신기술연구소와 통합하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물 처리 전문 기업. 휴비스워터는 세계 유수의 물 처리 회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물 처리 초일류 기업으로 철저한 품질과 기술을 바탕으로 원자력·수화력·열병합 등의 발전소나 대규모 산업용 플랜트에 필수적인 순수한 물을 제공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휴비스워터는 깨끗한 물을 지키는 파수꾼으로서 고객 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액체 포장 용기 제조업체. (주)한국팩키지는 식품용 포장 용기 제조 및 판매 분야에만 사업 역량을 집중하여 국내외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중견기업으로 SD운동[자기계발 등 소집단활동]과 UP GRADE 480이라는 경영 개선 활동을 통해 고객에게는 상품 가치를, 주주에게는 자산 가치를, 그리고 종업원에게는 미래 가치를 극대화 한다는 가치 경...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었던 해양 과학기술 연구 개발 기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종합적인 해양 개발 정책 수립 및 추진을 위한 해양 자원 개발, 해양 환경 보전, 해양 오염 방지 등 해양 과학기술 증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73년 10월 30일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부설 해양개발연구소로 설립되었고, 1981년 1월 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부설 해양연구소로 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한국후꼬꾸(주)는 경쟁사보다 앞서가는 회사, 고객으로부터 신뢰받는 회사, 판매한 제품에 대해 책임지는 회사를 기본 방침으로 하여 창조와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21C를 열어가는 최선진 기술의 연구 개발에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 기업이다. 1987년 (주)일본FUKOFU와 합작하여 한국후꼬꾸(주)를 설립하였다. 1999년 한국심...
-
경기도 안산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글 교육 프로그램. 경기도 안산 지역은 시화공업단지와 반월공업단지를 배후로 건설된 신도시로 1990년대 후반부터 외국인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되고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 가정도 늘어나게 되면서 국내 최대의 외국인 밀집 지역이 되었다. 2007년 통계에 의하면 안산 지역의 외국인은 32,983명에 이르며 미등록 법외 외국인 노동자까지 포함하면 4만여...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초명은 이조휴(李祖休)·이심휴(李心休), 자는 사엄(士儼), 호는 담촌(澹村)·한남옹(漢南翁)·평천옹(坪川翁). 아버지는 이속(李涑)이고,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이복휴(李福休)[1729~1800]는 1752년(영조 28) 진사가 되고, 1762년(영조 38)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주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별검으로 임명되었다. 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수도권 광역 지하철 과천-안산선의 역.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이 개통됨에 따라 설치된 금정~안산 구간의 중간 역으로서 영업을 하고 있다. 1937년 수인선 개통 당시 주변 지역명인 일리에서 따왔으나, 1988년 인근의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를 고려하여 안산선이 개통하면서 역명을 변경하였다 1937년 수인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득지(得之), 호는 월곡(月谷).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7세손으로 할아버지는 부사직 한경남(韓敬男), 아버지는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한응인(韓應寅),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현감 이담령(李聃齡)의 딸이고, 처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딸이다. 한덕급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종합 병원. 2006년 5월 9일 의료법인 대아의료재단의 설립과 더불어 초대 오일성 이사장이 취임했으며, 진료 과목 18개 과, 허가 병상 396병상으로 의료 기관 개설 허가를 받아 진료를 개시하였다. 같은 해 11월 대아의료재단 한도병원 개원식을 거행했으며 12월에는 지역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었다. 2007년 2월 한도병원 노동조합이 설립되었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경(士卿). 아버지는 판관 한성일(韓聖一)이며, 어머니는 함양여씨(咸陽呂氏)로 장령 여회제(呂會齊)의 딸이다. 한배두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10년(숙종 36) 생원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갔다. 이때 성균관의 재임(齋任)으로 있으면서 삼일제(三日製)에서 수석을 차지한 이광보(李匡輔)가 윤증(尹拯)이 죽...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하경(夏卿), 호는 지곡(芝谷). 증조부는 한덕급(韓德及), 할아버지는 한수원(韓壽遠), 아버지는 판관 한성익(韓聖翼)이다. 청원군(淸原君) 한성보(韓聖輔)에 입양되었다. 한배하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으며 윤증(尹拯) 문하에서 수학했다. 1693년(숙종 19) 통덕랑으로 알성시에 병과 1등으로 급제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체원(體元). 증조할아버지는 한수원(韓壽遠)이고, 할아버지는 한성보(韓聖輔)이다. 아버지는 청은군(淸恩君) 한배하(韓配夏)이며, 어머니는 참봉(參奉) 이오(李悟)의 딸이고, 부인은 이익수(李益壽)의 딸이다. 한사선(韓師善)[1690~1735]은 1713년(숙종 39) 생원시에 합격하고 1722년(경종 2) 알성시 병과에 3등...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여온(汝溫), 호는 소곡(巢谷). 아버지는 군수 한배후(韓配厚)이며 한배연(韓配淵)에게 입양되었다. 한사직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으며 이재(李縡)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21년(경종 1)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하다가 벼슬길로 나아가 1740년(영조 16) 정선군수, 의금부도사, 정랑 등을...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 아버지는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낸 안극(安極),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익령(李益齡)의 딸, 처는 창녕성씨(昌寧成氏)로 성순(成純)의 딸이다. 안정복은 1712년(숙종 38) 12월 25일 충청도 제천에서 출생하였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과 성곡동에 있는 토탈 홈인테리어 전문 기업인 한샘의 제조 공장. (주)한샘은 국내 최초로 홈인테리어 아이템 유통업이라는 새로운 도메인을 개척하여 가구, 조명, 패브릭, 소품에 이르는 모든 인테리어 아이템을 침실, 거실, 자녀방, 부엌, 서재 등 주택의 모든 공간별로 코디네이션한 패키지 설계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으로 세계 수준의 디자인 역량과 품질을 바탕...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여석(汝碩), 호는 이은정(理隱亭). 아버지는 청흥군(淸興君) 한수원(韓壽遠), 어머니는 함평이씨(咸平李氏)로 이영원(李榮元)의 딸이다. 한성보는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으며 송시열(宋時烈) 문하에서 수학했다. 음직(蔭職)으로 1658년 돈녕참봉(敦寧參奉)이 되고 이듬해 빙고별검(氷庫別檢), 제용직장 등...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 아버지는 이조참판 한건(韓健), 어머니는 상주김씨(尙州金氏)로 박사 김정용(金貞用)의 딸이다. 증손이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한응인(韓應寅)이다. 음직(蔭職)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부호군(副護軍)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다. 한응인의 현달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폭넓은 교육을 통하여 근면하고 정직하며 겸손한 교양인, 전공 분야의 심오한 이론과 고도의 기술을 겸비한 전문인, 다양한 학문의 지식을 사회에 응용할 수 있는 실용인, 문화적 다원성을 이해하고 국제사회에서 활약할 수 있는 세계인, 지역 사회와 국가 나아가서 인류 사회의 번영에 공헌하는 봉사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
윗삼천리 조희복 씨 집 앞에는 말라 죽은 향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이 향나무 아래쪽에 이제는 사람들이 쓰지 않아 덮어 버렸지만 과거에는 우물이 있었단다. 이 향나무를 돌아 좁은 농로로 들어가면 나오는 터널을 지나면 감절대가 나온다. 그리하여 이 감절대를 지나 들어가면 안산시의 숨겨진 마을이라는 삼천리에서도 더욱 숨겨진 마을이 나오는데, 바로 구석말이다. 구...
-
윗삼천리 조희복 씨 집 앞에는 말라 죽은 향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이 향나무 아래쪽에 이제는 사람들이 쓰지 않아 덮어 버렸지만 과거에는 우물이 있었단다. 이 향나무를 돌아 좁은 농로로 들어가면 나오는 터널을 지나면 감절대가 나온다. 그리하여 이 감절대를 지나 들어가면 안산시의 숨겨진 마을이라는 삼천리에서도 더욱 숨겨진 마을이 나오는데, 바로 구석말이다. 구...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만경(晩卿). 아버지는 한종유(韓宗裕), 어머니는 부평이씨(富平李氏)로 도승지(都承旨) 이섭원(李燮元)의 딸이다. 한용성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다. 1795년(정조 19) 생원시에 합격하여 음직(蔭職)으로 1818년 정릉참봉, 감찰 등을 지내고 1824년 지평현감(砥平縣監)에 이르렀다. 선조들의 유적...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한건(韓健), 아버지는 부호군 한세좌(韓世佐), 어머니는 영산신씨(靈山辛氏)로 첨정 신순정(辛舜鼎)의 딸이다. 손자가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한응인(韓應寅)이다. 한유는 음직(蔭職)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부호군에 이르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산18-6번지에 있다. 손자 한응인의 명망과 벼슬이 높아져 좌찬...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6세손으로 아버지는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이고, 어머니는 경주김씨로 현감을 지낸 김만일(金萬鎰)의 딸이다. 둘째 아들로 태어나 수사(水使) 한계남(韓繼男)에게 입양되었다. 우의정을 역임한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한응인(韓應寅)[1554~1614]이 형이다. 한응굉(韓應宏)은 음직(蔭職...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百拙齋)·유촌(柳村).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6세손으로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경주김씨로 현감(縣監)을 지낸 김만일(金萬鎰)의 딸이다. 사헌부감찰을 지낸 한응굉(韓應宏)이 동생이다. 한응인의 후손에서 문과 급제자 37명, 무과 급제자 24명, 정1품 4...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한응인의 묘역. 한응인(韓應寅)[1554~1614]은 조선 선조(宣祖)[1552~1608] 때 문신으로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白拙齋),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부사직 한경남(韓敬男)의 아들로 태어났다. 1576년(선조 9)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알성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으로 뽑혔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한응인의 묘역. 한응인(韓應寅)[1554~1614]은 조선 선조(宣祖)[1552~1608] 때 문신으로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白拙齋),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부사직 한경남(韓敬男)의 아들로 태어났다. 1576년(선조 9)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알성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으로 뽑혔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청주한씨 충정공파 문중 사당에서 소장하고 있는 한응인의 초상화와 재실 유물. 한응인 영정 및 재실 유물 일괄은 조선 선조 때 문신으로 활약한 한응인(韓應寅)[1554~1614]의 초상화 한 점과 초상화를 모셔 두었던 사당 안에 남아 있는 9점의 목제 제사 도구들이다. 초상화는 한응인이 호성원종 공신에 책록되었을 때인 17세기 초 도화서 서원에 의해 그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원지(元之), 호는 현석(玄石)·서석(瑞石). 할아버지는 부사직 한경남(韓敬男), 아버지는 우의정 한응인(韓應寅)이다. 사위로 선조의 열째 아들 흥안군(興安君) 이제(李瑅)가 있었으나 이괄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한인급은 경기도 안산 월곡면 사사리(沙士里)[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익지(益之), 호는 유천(柳川). 증조부는 정선군수 한승원(韓承元), 할아버지는 한여필(韓汝弼), 아버지는 경성판관(鏡城判官) 한효윤(韓孝胤), 어머니는 예빈시정(禮賓寺正) 신건(申健)의 딸이다. 인조의 장인이다. 한준겸은 1579년(선조 12) 생원과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585년에 태릉참봉에 천거되었으며, 이듬해에 별시문과에 병과...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공후(公厚). 아버지는 진사 한용덕(韓用德), 어머니는 동래정씨(東萊鄭氏)로 정존공(鄭存恭)의 딸이다. 한중리는 1805년(순조 5) 생원시에 급제하고, 1809년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음직(蔭職)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연풍현감(延豊縣監)을 역임했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다....
-
경기도 안산 출신의 행정가.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인조비(仁祖妃) 인열왕후의 아버지인 서평부원군 한준겸(韓浚謙)의 13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통정대부돈녕부도정(通政大夫敦寧府都正) 한긍우(韓兢愚)이다. 아버지인 학부교관(學部敎官) 한기응(韓基應)의 둘째 아들로 1907년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묘는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선영에 있다. 한중현은 안산공립보통학교[지금의 안산...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상(子尙). 할아버지는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한응인(韓應寅), 아버지는 청녕군(淸寧君) 한덕급(韓德及), 어머니는 광산김씨(光山金氏)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딸이다. 한지원은 음직(蔭職)으로 1659년(현종 즉위년) 남별전참봉(南別殿參奉)이 되었으며 1665년 제릉참봉(齊陵參奉), 1669년 사옹원봉사, 사옹원직장을 역임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한학자로 알려진 한씨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9년 5월 18일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최내옥, 김경화, 이정임, 송현정이 채록하여 1989년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 발간한 『한국학논집』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김순봉[남, 당시 73세]이었다. 이후 1990년 내고장안산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내 고장 안산』에 수록되었고, 1999...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내셔널리그 소속 축구단. 안산할렐루야축구단은 축구를 통하여 한국 축구 발전과 경기도 안산시의 체육 및 축구 발전에 기여하고, 유소년과 지도자를 양성하며, 축구의 저변 확대와 체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할렐루야축구단은 1980년 12월 20일 프로 축구단으로 창단되었다. 1986년 재정 문제로 실업팀으로 전환하였다. 1998년 국제통화...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사능(士能)·함장(含章), 호는 단원(檀園)·단로(檀老)·단옹(檀翁)·단구(丹邱, 丹丘)·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취화사(醉畵士, 醉畵史, 醉畵師)·첩취옹(輒醉翁)·농한(農漢)·농사옹(農社翁)·대우암(對右庵)·오수당(午睡堂). 증조부는 만호를 지낸 김진창(金震昌), 할아버지는 김수성(金壽星), 아버지는 김석무(金錫武)...
-
경기도 안산 지역에 있는 배가 드나드는 개의 어귀. 강이나 냇가 또는 좁은 바닷목에 배가 접안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설을 나루라고 하며 한자로는 도(渡), 진(津)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나루보다 규모가 큰 바닷가나 큰 강어귀의 접안 시설은 포(浦)라고 부르며 포보다도 규모가 더 큰 것은 항(港)으로 부른다. 또한 지리적 측면에서 나루가 강이나 냇가 등 내륙에 위치하는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과 양상동 경계에 있는 고개. 옛날에는 와동과 양상동을 오갈 때 좁은 고갯길을 넘어가야 했는데, 산을 빙빙 돌아서 넘어가야 했으므로 항아리고개라 하였다. 와동 시립공동묘지 앞의 외곽순환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안산IC를 연결하는 고개이다. 2차선 도로가 생겼다가, 현재는 4차선 도로로 확장되었다. 지대가 많이 낮아졌으며 안산 시내에서 와동 쪽으로 가는 지름길...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파행아목에 속하는 갑각류의 총칭. 게는 전 세계에 4,5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0과 183종이 분포한다. 대부분이 저서 생활을 하며 바다, 밀물 및 물가와 가까운 육지 등 다양한 곳에 서식한다. 1996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안산시 대부도 방아머리와 남4리에 조간대 생물상을 조사한 결과, 갑각류 중 칠게와 펄털콩게가 우점종으로 분포하...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소라과에 속하는 조개. 방추형인 껍데기는 높이 10㎝, 지름 8㎝ 정도이다. 껍데기는 두껍고 견고하다. 나탑(螺塔)[체층 위에 있는 층 전체]은 원뿔 모양이고, 나층(螺層)[나선 모양으로 감겨져 있는 한 층]은 7층이며 각 층은 부풀어 있다. 체층(體層)[껍데기 주둥이에서 한 바퀴 돌아왔을 때의 가장 큰 한 층]에는 5줄 내외의 굵고 낮은 나륵(螺肋)...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 있는 세 개의 무인도. 해무(海霧)가 많이 끼어 해미섬이라고 하였는데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햄섬이 되었다. 세 개의 섬 가운데 가장 큰 섬을 큰햄, 가운데 있는 섬을 가운데햄, 거북이처럼 생긴 섬을 거북햄이라고 부른다. 대부동동 남쪽 해안뿌리 밖에 있는 섬으로 경사도가 완만하고 토질이 비옥하다. 해무가 많이 낄 때면 섬 위의 소나무들만 겨우 보...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낙부(樂夫), 호는 해봉(海峯). 증조할아버지는 홍춘경(洪春卿)이고, 할아버지는 홍일민(洪逸民)이다. 아버지는 진사 홍영필(洪永弼)이며, 어머니는 조수(趙琇)의 딸이다. 첨지중추부사·예조참의를 지낸 홍처윤(洪處尹)[1607~1663]이 아들이며, 승정원도승지·형조참판을 지낸 홍수주(洪受疇)[1641~1704]가 손자이다. 홍명원(洪命元...
-
경기도 안산 지역에 묻힌 조선 후기 문신 홍명원의 시문집. 홍명원(洪命元)[1573~1623]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낙부(樂夫), 호는 해봉(海峯)이다. 1597년(선조 3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승문원정자를 비롯해 승정원동부승지 등을 거쳐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묘소는 원래 경기도 안산시 성곡동에 있었으나 안산 신도시 건설 당시 선부동으로 이장하였다. 홍명...
-
조선 후기 장유가 경기도 안산의 해산헌에서 바라본 8가지 풍경을 노래한 한시. 장유(張維)[1587~1638]는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의 무옥사건(誣獄事件)에 연루되어 파직당하자, 그로부터 12년간 안산의 군자면 장곡리 매곡[鷹谷] 해변의 본향(本鄕)에 내려와 살면서 노모 봉양과 학문 탐구에 전념한 바 있다. 당시 농사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농민들의 애환, 그리고...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공후(公厚), 호는 해석(海石). 할아버지는 형조판서를 지낸 이규현(李奎鉉)이고, 아버지는 의령현감을 역임한 이원응(李源膺)이며, 어머니는 조운성(趙雲成)의 딸이다. 이돈상(李敦相)[1815~?]은 1848년(헌종 14) 생원이 되었다. 판관으로 있으면서 1864년(고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대사간에 중용되었다. 이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가죽 피혁 전문 제조업체. (주)해성아이다는 양질의 제품 생산을 위한 시설 투자와 새로운 생산기법의 연구를 통하여 양질의 제품을 생산·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9년 3월 11일 (주)해성기업을 창립하여 무역업 등록을 했으며 2000년 (주)해성 아이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1년 수출 유망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2002년에는 제2공...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과 단원구 성곡동을 연결하는 도로. 해안로는 수인산업도로에서 분기되어 안산시 환경사업소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반월공업단지 진입 차량이 주로 통행하고 있으며, 시화호와 갈대습지공원이 인접하고 있다. 해안로의 전체 길이는 13.9㎞이며, 차선은 4차선에서 8차선까지가 있다. 도로의 폭은 20m에서 60m에 걸쳐 있다. 해안로의 주요 통과지에는 수인산업도로...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덕조(德祖), 호는 해암(海巖). 할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역임한 유명현(柳命賢), 아버지는 성균진사였던 유뢰(柳耒), 어머니 사천목씨(泗川睦氏)로 목임일(睦林一)의 딸이다. 유경종의 가문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남인계 가문으로 조부대의 유명천(柳命天), 유명현, 유명견(柳命堅), 유명전(柳命全)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경종의 시문집. 유경종(柳慶種)[1714~1784]은 진주유씨(晉州柳氏) 백참판공파(伯參判公派)의 인물로 자는 덕조(德祖), 호는 해암(海巖)이며, 18세기 안산을 기반으로 활동한 남인계 문인이다. 유경종이 생존 시기에 저술한 작품들을 모아 그 학문과 정신을 함양하고자, 1993년 진주유씨모선록편찬위원회에서 『진주유씨문헌총집(晋州柳氏文獻總輯)』 총...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경종의 시문집. 유경종(柳慶種)[1714~1784]은 진주유씨(晉州柳氏) 백참판공파(伯參判公派)의 인물로 자는 덕조(德祖), 호는 해암(海巖)이며, 18세기 안산을 기반으로 활동한 남인계 문인이다. 유경종이 생존 시기에 저술한 작품들을 모아 그 학문과 정신을 함양하고자, 1993년 진주유씨모선록편찬위원회에서 『진주유씨문헌총집(晋州柳氏文獻總輯)』 총...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교육자이자 정치인. 본관은 수원(水原), 호는 해온(海溫), 아명은 백장손, 초명은 백남훈(白南勛)이다. 아버지는 백진모(白鎭模)이다. 1885년 출생하여 1967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장하동에 있다가 1987년 가을 모란공원묘지로 이장되었다. 묘비 비문은 주요한(朱耀翰)이 짓고, 이기우(李基雨)가 썼다. 백남훈은 19세에 장연공립소학교...
-
조선 후기 장유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은거하던 당시 거처하던 해장정사에 대해 쓴 기문. 장유(張維)[1587~1638]는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의 무옥사건(誣獄事件)에 연루되어 파직당하자, 그로부터 12년간 장곡리의 매곡[鷹谷] 해변 본향(本鄕)에 내려와 살면서 노모 봉양과 학문 탐구에 전념한 바 있다. 이때 그가 안산에서 거처하던 곳이 해장정사(海莊精舍)로, 그는...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 지역의 진공 물품. 안산 지방의 진공 물품에 대한 가장 빠른 기록인 1454년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따르면 지초(芝草)·약재·연밥[蓮子]을 올린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다음 기록은 1760년경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진공조에 생해(生蟹)와 납토(臘兎)에 대해 나오는데, 이는 산 게와 산토끼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184...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히드로충류와 해파리류와 유즐동물의 총칭. 해파리는 수모(水母), 해차, 저포어(樗蒲魚), 석경(石鏡), 해타(海鮀)라고도 한다. 해파리강은 십자해파리·입방해파리·관해파리·기구해파리·근구해파리의 5목으로 나누어지며, 세계에 현서종 약 200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해역에 흔한 종은 물해파리이다. 주로 해파리냉채 요리를 해서 먹는다. 몸은 보통 우산...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도장(道長), 호는 취몽헌(醉夢軒). 아버지는 형조판서 오두인(吳斗寅), 어머니는 상주황씨(尙州黃氏)로 부사를 지낸 황연(黃挻)의 딸이다. 오태주는 1679년(숙종 5) 현종의 딸인 명안공주(明安公主)와 혼인하여 해창위(海昌尉)에 봉해졌고 명덕대부(明德大夫)에 올랐다. 그 뒤 광덕대부(光德大夫)로 품계가 오르고 오위도총부도총...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히드로충류와 해파리류와 유즐동물의 총칭. 해파리는 수모(水母), 해차, 저포어(樗蒲魚), 석경(石鏡), 해타(海鮀)라고도 한다. 해파리강은 십자해파리·입방해파리·관해파리·기구해파리·근구해파리의 5목으로 나누어지며, 세계에 현서종 약 200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해역에 흔한 종은 물해파리이다. 주로 해파리냉채 요리를 해서 먹는다. 몸은 보통 우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히드로충류와 해파리류와 유즐동물의 총칭. 해파리는 수모(水母), 해차, 저포어(樗蒲魚), 석경(石鏡), 해타(海鮀)라고도 한다. 해파리강은 십자해파리·입방해파리·관해파리·기구해파리·근구해파리의 5목으로 나누어지며, 세계에 현서종 약 200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해역에 흔한 종은 물해파리이다. 주로 해파리냉채 요리를 해서 먹는다. 몸은 보통 우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보리새우과에 속하는 갑각류. 대하는 십각목 보리새우과의 갑각류로, 몸집이 큰 새우라는 뜻으로 대하(大蝦)라고 한다. 닭새우·왕새우·해하(海鰕)라고도 하며, 황해를 중심으로 남해 일부 해역에도 분포한다. 살이 많고 맛이 좋아 고급 새우에 속한다. 끌그물어구[引網漁具]를 해저에서 끌어서 고기를 잡는 트롤어업을 통하여 잡거나 양식을 한다. 주로 소금구이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섬. 일명 햄섬[해미섬]이라고도 하며 누에처럼 생겼다 하여 누에섬이라 한다. 바위섬으로 섬 위에 약간의 소나무와 잡목, 풀이 자라고 썰물 때에는 탄도와 1㎞의 시멘트로 포장된 길이 연결되어 있어 걸어서 건널 수 있다. 섬 주위에서 굴, 소라, 바지락, 낙지가 나며 연해에서는 새우, 게 등이 잡힌다. 수원이 풍부하여 식수 개발이 가능하다. 누에섬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 있는 세 개의 무인도. 해무(海霧)가 많이 끼어 해미섬이라고 하였는데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햄섬이 되었다. 세 개의 섬 가운데 가장 큰 섬을 큰햄, 가운데 있는 섬을 가운데햄, 거북이처럼 생긴 섬을 거북햄이라고 부른다. 대부동동 남쪽 해안뿌리 밖에 있는 섬으로 경사도가 완만하고 토질이 비옥하다. 해무가 많이 낄 때면 섬 위의 소나무들만 겨우 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던 상례의식요. 「행상 소리」는 장례일에 빈소로부터 장지까지 운구하며 상두꾼들이 발을 맞추기 위해 불렀던 소리이다. 이를 「운상 소리」·「상여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 지역의 「행상 소리」에는 한마디 소리와 반마디 소리, 짝패 소리, 어거리넘차 류, 비(非)넘차류 긴소리, 잦은 두마디 행상, 방아타령-A형[받음구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서 배의 안전과 풍어를 위해 배에서 지내는 제사. 뱃고사는 수신(水神)·선신(船神)에게 배의 안전과 뱃길의 수호 그리고 선원들의 무탈과 풍어를 축원하는 제의이다. 선주나 선장이 배의 안전과 풍어를 배서낭에게 비는 제사로 뱃굿·행선고사·도장굿·선망굿·배선왕굿이라고도 부른다. 바다에서 배를 부리는 뱃사람들의 불안을 없애고 풍어와 무사안전을 위해 선사시대부터...
-
경기도 안산시에서 이루어지는 정치권력, 즉 공권력을 배경으로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을 구체화하는 과정. 일반적으로 근대 국가 성립 이후 190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행정의 주된 역할과 기능은 국가의 질서 유지에 있었다. 그러나 1900년대 중반 이후로는 국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그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질서 유지 기...
-
풍도는 1432년(세종 14) 충청도 덕산현(德山縣)에 소속되었다가 1486년(성종17) 수원부로 이속되었다. 1775년(영조 51) 수원부 마정면(馬井面) 풍도리(楓島里)로 편입되었다가 1872년 수원부 장안면(長安面) 풍도리(楓島里)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부천군에 편입되었다. 1973년에는 웅진군에 편입되었으며, 19...
-
조선 중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자는 행지(行之), 호는 남간(南磵). 아버지는 목장흠(睦長欽), 어머니는 진주유씨(晋州柳氏)로 유해(柳海)의 딸, 처는 각각 광주이씨(廣州李氏) 이여황(李如璜)의 딸과 파평윤씨(坡平尹氏) 윤효영(尹孝永)의 딸이다. 양부는 목대흠(睦大欽), 양모는 의령남씨(宜寧南氏)로 남위(南瑋)의 딸이다. 목행선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
-
개항기에서 현대 안산에 거주하면서 활동한 행정가이자 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구(聖九), 호는 영운(穎雲)·향석(香石)·구룡산인(九龍山人) 등이다. 1878년(고종 15) 특진관(特進官) 김흥규(金興圭)의 아들로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나, 참판 김정규(金貞圭)에게 입양되었다. 양할아버지인 김병국(金炳國)이 영의정을 지낸 바 있으며, 친어머니가 흥선대원군의 외손녀로 당대의...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일 고향 출신들의 친목 단체. 향우회는 객지에서 고향 친구나 고향이 같은 사람끼리 애향심으로 단결하여 상호간의 교류와 화합을 통해 구성원들의 복리 증진은 물론 권익을 보호하고 나아가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결성된 친목단체이다. 안산시에서의 각종 향우회의 결성은 반월공업단지 및 시화공업단지의 조성으로 인한 안산 지역의 도시화와 더불어 타 지역...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김녕(金寧), 호는 향운(香雲)이다. 1907년(순종 1)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너빌마을에서 출생하였다. 김창성(金彰聲)의 2남이며 어머니는 경주이씨 이유학(李裕鶴)의 딸이다. 1987년 사망하였고, 묘는 경기도 포천군 영중면 금주리 금주공원묘지에 있다. 김용호는 안산공립보통학교를 거쳐 경기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경기도...
-
조선 후기에서 개항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미중(美重), 호는 자헌(紫軒)이다. 시종신(侍從臣) 허신(許兟)의 아들이다. 1853년(철종 4) 출생하여 1914년 세상을 떠났다. 묘는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었으나 신도시 건설로 인하여 화장되었다. 허일은 1885년(고종 22)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891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수찬(修撰)이...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이자 서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여정(汝正), 호는 연객(烟客)·초선(草禪)·구도(舊濤). 증조부는 지평 허열(許悅)이다. 허필은 1735년(영조 11)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과 시·서·화에 전념하여 삼절(三絶)로 불렸다. 함께 교유한 이용휴(李用休), 이광환(李匡煥), 유경종(柳慶種), 강세황(姜世晃), 조중보(...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자 서화가 및 서화평론가.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광지(光之), 호는 첨재(忝齋)·노죽(露竹)·산향재(山響齋)·표암(豹庵)·표옹(豹翁). 할아버지는 강백년(姜柏年), 아버지는 강현(姜鋧),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 처는 진주유씨(晉州柳氏)와 나주나씨(羅州羅氏)이다. 아들로 진주유씨 소생인 강인(姜[人+寅])·강흔(姜俒)·강관(姜[人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가정용 살균 및 살충제 제조회사인 헨켈홈케어코리아의 제조 공장. 헨켈홈케어코리아는 홈매트, 홈키파, 컴배트 등 국내 가정용 살충제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으로 경기도 안산의 공장에서 관련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1991년 3월 한국크로락스(주)를 설립하고 4월 (주)유한과 유통계약을 체결하였다. 1995년에는 화학제품에 대한 수출...
-
영어마을은 영어권의 한 도시 마을과 비슷하게 꾸며진 장소에서 원어민 교사와 함께 생활하며 영어를 익힐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보완, 살아 있는 영어 체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2004년 8월 경기영어마을이 문을 연 데 이어, 12월 서울 풍납동에 영어마을이 조성되고, 2006년 3월 서울시 강북 지역에 수유캠프와 4월 파주영어마을이 개원...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길이 통과하는 산등성이의 낮은 부분. 고개는 산을 넘어가는 능선부로서 삼국시대부터 사람과 물자 교류의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고개는 예부터 공간과 공간을 구분하고 서로 이어주는 교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보통 고개라는 지명이 쓰이지만 이밖에도 재, 치(峙), 현(峴), 영(嶺) 등의 지명 접미사가 쓰이기도 한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현국(顯國), 호는 취애(翠崖). 할아버지는 목천현감 장일(張逸), 아버지는 형조판서 장운익(張雲翼), 어머니는 판서 박숭원(朴崇元)의 딸이다. 형이 우의정 장유(張維)이다. 장신은 안산 장곡리[현 시흥시 군자면 장곡리]에서 태어났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때 형 장유와 함께 당시 궁궐을 수비하던 장인 이흥립(李興立...
-
1945년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경기도 안산 지역의 역사. 1945년 광복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회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미국과 소련의 분할 점령으로 인한 분단, 한국전쟁, 자본주의의 발전, 민주화운동 등을 경험하는 역사 속에서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여 이제는 통일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안산 지역 또한 급격한 도시화의 진행과 함께 현대적 요소를 두루 갖추며 1...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원지(元之), 호는 현석(玄石)·서석(瑞石). 할아버지는 부사직 한경남(韓敬男), 아버지는 우의정 한응인(韓應寅)이다. 사위로 선조의 열째 아들 흥안군(興安君) 이제(李瑅)가 있었으나 이괄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한인급은 경기도 안산 월곡면 사사리(沙士里)[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태어났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현세(顯世), 호는 지산(芝山). 증조부는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 할아버지는 윤지함(尹之諴), 아버지는 호조좌랑 윤엄(尹儼), 어머니는 예조판서 김주(金澍)의 딸이다. 윤민일은 형 윤민헌(尹民獻)과 같이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88년(선조 21) 생원과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596년 별...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이숙(頤叔), 호는 현재(玄齋)·묵선(墨禪). 증조부는 영의정 심지원(沈之源), 할아버지는 심익창(沈益昌), 아버지는 포도를 잘 그렸던 심정주(沈廷胄), 외할아버지는 포도와 인물을 잘 그렸던 정유승(鄭惟升)이다. 사촌형의 아들 심욱진(沈郁鎭)을 양자로 들였다. 심사정 가문은 할아버지 심익창의 과옥(科獄)[조선시대 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종이컵 및 식품용기 제조업체. 현진제업주식회사는 종이컵 및 식품용기를 모든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위생적이고 환경 친화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1979년 6월 창립과 더불어 종이컵 성형기 2대를 설치·가동했으며 1983년에는 반월공장을 완공하였다. 1986년 종이컵 성형기 개발에 성공했으며 1991년 폴리에틸...
-
조선 후기 안산 지역에 거주하였던 효자이자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현필(顯弼).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김창근(金昌根)이고, 어머니는 열녀 밀양박씨이다. 김세철은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둔배미에서 살았으며, 음직으로 의금부도사를 역임하였다. 아버지가 중병을 앓을 때 허리띠를 풀지 않고 옆에서 지극한 정성으로 간병하였다. 아버지의 병세가 더욱 악화되자 어머니와 함께...
-
영동고속국도 월곶 I.C에서 시화공단 방향으로 접어들어 옥구고가도로를 넘으면 오이도를 거쳐 시화방조제를 만나게 되는데, 이곳을 건너면 나오는 곳이 대부도이다. 종현 마을이 속해 있는 대부도는 경기만 중앙부의 섬으로 인천항과는 24.1㎞밖에 떨어져 있지 않을 정도로 가깝다. 지난 1994년 1월 시화방조제 공사로 육지와 연결된 연륙도(連陸島)가 되면서 수도권 관광지로 개발...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형중(亨仲). 할아버지는 통사랑 최정언(崔挺彦), 아버지는 최두(崔㞳), 어머니는 여주이씨(驪州李氏)로 부사직 이상공(李尙恭)의 딸이다. 최극태는 1672년(현종 13) 29세의 나이에 무과 별시에 병과로 합격하였다. 그 뒤 숙종이 즉위한 1674년에 왕의 시위, 전령, 부신(符信)의 출납을 맡아보던 선전관이 되었다. 1675년(숙종...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참서대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참서대는 설어(舌魚) 또는 혜저어(鞋底魚), 우설어(牛舌魚), 설대어, 서대, 서대기라고도 한다. 종류로는 참서대, 개서대, 각시서대 등이 있다. 몸길이는 약 27㎝이다. 긴 타원 모양이며, 옆으로 납작하고 눈은 작고 왼쪽에 치우쳐 있다. 주둥이 끝은 둥글고 입은 눈 아래에서 배지느러미 쪽으로 심하게 굽어 있다. 등지느러...
-
조선 후기 안산에서 활동한 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경명(景命), 호는 혜환재(惠寰齋). 아버지는 이침(李沈), 어머니는 초계정씨(草溪鄭氏) 정약(鄭鑰)의 딸과 한양조씨(漢陽趙氏) 조구석(趙九錫)의 딸, 처는 진주유씨(晋州柳氏) 유헌장(柳憲章)의 딸이다. 아들은 이가환(李家煥)이다. 이잠(李潛), 이익(李瀷)이 숙부이며 이맹휴(李孟休)가 종제(從弟)이다. 이용휴는 현재의...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구언(九言), 호는 호은(壺隱)·호곡(壺谷). 할아버지는 관찰사를 지낸 홍명원(洪命元)이고, 아버지는 예조참의를 지낸 홍처윤(洪處尹)이다. 홍수주(洪受疇)[1641~1704]는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간원정언·사간원헌납을 역임하였으며, 1684년 사헌부장령으로 재직 중 붕당 문제로 파직되어 경흥(慶...
-
경기도 안산 지역 인근 바다에서 서식하는 연체동물. 호독어는 갑오징어목 꼴뚜기과의 연체동물로 유어(柔魚), 골독어, 망조어(望潮魚), 장어, 반소, 꼴뚜기라고도 한다. 오징어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크기가 작으며, 서해의 얕은 바다에서 많이 잡힌다. 주로 젓갈을 만들어 먹는다. 좌우 대칭으로 몸통은 길쭉하며 뼈는 얇고 투명하며 각질로 되어 있다. 다리는 10개이며, 다리를 포함한 몸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이 바로 된 민주적인 어린이, 자기 학습력을 기르는 자주적인 어린이, 취미와 소질을 키우는 창의적인 어린이, 즐겁게 생활하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81년 12월 20일 24학급의 호동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3년 3월 2일 6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85년 9월 1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고,...
-
경기도 안산 지역 인근 바다에서 서식하는 연체동물. 호독어는 갑오징어목 꼴뚜기과의 연체동물로 유어(柔魚), 골독어, 망조어(望潮魚), 장어, 반소, 꼴뚜기라고도 한다. 오징어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크기가 작으며, 서해의 얕은 바다에서 많이 잡힌다. 주로 젓갈을 만들어 먹는다. 좌우 대칭으로 몸통은 길쭉하며 뼈는 얇고 투명하며 각질로 되어 있다. 다리는 10개이며, 다리를 포함한 몸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산. 일본과 청나라가 아산만에서 교전할 때에 청인들이 망을 보던 산이라 하여 호망산(胡望山)이라 불렀는데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후망산이 되었다고 한다. 한편 옛날에 풍도 주민들이 산에 올라 바다에 해적이 출몰하는지 망을 보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풍도의 아낙네들이 전라도로 세곡을 실으러 간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이 산에 올라 망을...
-
조선 후기 장유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은거하면서 농민의 생활 가운데 하나인 호미씻이를 노래한 한시. 장유(張維)[1587~1638]는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의 무옥사건(誣獄事件)에 연루되어 파직당하자, 그로부터 12년간 안산의 군자면 장곡리 매곡[鷹谷] 해변의 본향(本鄕)에 내려와 살면서 노모 봉양과 학문 탐구에 전념한 바 있다. 당시 농사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농...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과 단원구 고잔동에 걸쳐 있는 도시근린공원. 호수공원은 2000년 1월 19일부터 한국수자원공사가 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 3월 26일 문을 열었다. 고잔신도시가 건설되기 전부터 있던 고잔저수지를 보존하고 주변에 다양한 체육 시설과 공연장, 광장, 갈대습지, 산책로 등을 꾸미는 방식으로 조성되었다. 총 면적은 649,224㎡이다. 느티나무·은행나무·잣나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시민운동장. 신도시운동장은 2003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선용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2007년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안산도시공사에 위탁, 관리를 맡겼다. 총 면적은 19,647㎡이다. 축구장·롤러광장·테니스장 등의 체육 시설과 각종 운동 기구 및 편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특히, 주요 경기 시설인...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구언(九言), 호는 호은(壺隱)·호곡(壺谷). 할아버지는 관찰사를 지낸 홍명원(洪命元)이고, 아버지는 예조참의를 지낸 홍처윤(洪處尹)이다. 홍수주(洪受疇)[1641~1704]는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간원정언·사간원헌납을 역임하였으며, 1684년 사헌부장령으로 재직 중 붕당 문제로 파직되어 경흥(慶...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논김이나 밭김을 매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김매기 소리」는 거의 논매는 소리들이다. 이를 논맴 소리·밭매는 소리·지심 노래 등으로도 부른다. 안산 지역의 논김매는 소리로는 ①「논맴 양산도」, ②「실모 소리」, ③「둘레 소리」, ④「응호 소리」, ⑤「몸돌 소리」, ⑥「어럴럴럴 상사」, ⑦ 「방아 소리」, ⑧「얼카덩어리」 등이 있다. 밭김매는 소리는 따로 없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논을 맬 때 부르던 농업노동요. 「둘레 소리」는 한강 남쪽 경기도 지역의 고유한 논맴 소리이며, 받음구에 ‘둘레’라는 어휘를 가지고 있다. 「논매는 소리」·「논맴 소리」·「논지심 소리」라고도 부른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로는 「논맴 양산도」, 「실모 소리」, 「둘레 소리」, 「응호 소리」, 「몸돌 소리」, 「어럴럴럴 상사」, 「방아 소리」, 「얼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숙박 시설. 미라마호텔은 안산 시민 및 방문객을 위한 숙박 및 연회 개최 장소의 제공을 위해 1996년 5월 9일 경기도로부터 관광사업 계획승인을 받은데 이어 8월 10일 부지를 매입하여 12월 14일 개관했으며 1997년 2월 4일 관광숙박업 등록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지하 2층 지상 8층의 건물로 지하 1층은 주차장, 1층은 연회장, 2층...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혼인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일련의 의례. 혼례의 과정은 흔히 의혼(議婚)·납채(納采)·납폐(納幣)·친영(親迎)이라는 네 개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물론 신식혼례를 하더라도 이 절차가 완전히 생략되지는 않아 사주와 함을 보내는 정도로 남아 있으며, 친영은 완전히 변형되어 예식장에서 예식을 마치고 바로 폐백(幣帛)을 올린 후 신혼여행을 가는 것으로 바뀌었다. 안산에...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혼인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일련의 의례. 혼례의 과정은 흔히 의혼(議婚)·납채(納采)·납폐(納幣)·친영(親迎)이라는 네 개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물론 신식혼례를 하더라도 이 절차가 완전히 생략되지는 않아 사주와 함을 보내는 정도로 남아 있으며, 친영은 완전히 변형되어 예식장에서 예식을 마치고 바로 폐백(幣帛)을 올린 후 신혼여행을 가는 것으로 바뀌었다. 안산에...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혼인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일련의 의례. 혼례의 과정은 흔히 의혼(議婚)·납채(納采)·납폐(納幣)·친영(親迎)이라는 네 개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물론 신식혼례를 하더라도 이 절차가 완전히 생략되지는 않아 사주와 함을 보내는 정도로 남아 있으며, 친영은 완전히 변형되어 예식장에서 예식을 마치고 바로 폐백(幣帛)을 올린 후 신혼여행을 가는 것으로 바뀌었다. 안산에...
-
고려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인물. 홍균비는 남양홍씨(南陽洪氏)로 고려 후기 삼별초의 대몽항쟁 시기에 남양(南陽)[현 경기도 안산 지역]에 살았던 인물이다. 1270년(고려 원종 11) 5월 임유무(林惟茂)가 제거되면서 100여 년간 이어져 왔던 무인정권은 막을 내리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왕정복고와 더불어 몽고와 강화(講和)가 이뤄져 개경으로 환도하였다. 하지만 삼별초가 이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낙부(樂夫), 호는 해봉(海峯). 증조할아버지는 홍춘경(洪春卿)이고, 할아버지는 홍일민(洪逸民)이다. 아버지는 진사 홍영필(洪永弼)이며, 어머니는 조수(趙琇)의 딸이다. 첨지중추부사·예조참의를 지낸 홍처윤(洪處尹)[1607~1663]이 아들이며, 승정원도승지·형조참판을 지낸 홍수주(洪受疇)[1641~1704]가 손자이다. 홍명원(洪命元...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홍명원의 묘. 홍명원[1573~1623]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낙부(樂夫), 호는 해봉(海峯)이다. 진사 홍영필(洪永弼)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경력 조수(趙琇)의 딸이다.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승문원에 들어가 홍문록(弘文錄)에 올랐다. 1603년에 예조정랑이 되었으며, 동부승지가 되었다가 부모를 모시기 위하여 광주목사...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정치인. 홍성복은 1898년(고종 35) 경기도 화성 반월[지금의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홍성복은 여주 신흥학교에서 보통학교 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경기도 시흥군 반월면의회 제1대 및 제2대 의장으로 활동하면서 행정 개선과 복지 건설에 이바지하였다.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의회의 운영 체계를 강화하고 질서 확립에 진력하였으며, 행정부를 독려하여 면민...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효녀. 중종 대의 명신 홍춘경(洪春卿)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경기관찰사를 역임한 홍명원(洪命元)[1573~1623]이다. 지중추부사·예조참의 등을 지낸 홍처윤(洪處尹)[1607~1663]과는 남매지간이다. 홍소저(洪小姐)는 어려서부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아버지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매우 슬퍼하였다. 집안사람들이 장지(葬地)를 논의한 끝에 군자면...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구언(九言), 호는 호은(壺隱)·호곡(壺谷). 할아버지는 관찰사를 지낸 홍명원(洪命元)이고, 아버지는 예조참의를 지낸 홍처윤(洪處尹)이다. 홍수주(洪受疇)[1641~1704]는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간원정언·사간원헌납을 역임하였으며, 1684년 사헌부장령으로 재직 중 붕당 문제로 파직되어 경흥(慶...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순칠은 1877년(고종 14)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출생하여 1932년 사망하였다. 현재 안산시 단원구 와동체육공원에 기념비가 있다. 홍순칠은 1919년 3월 29일 시흥군 수암면 와리에서 독립 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여 태극기를 제작하고 주민을 규합하는 일에 참여하였다. 다음날인 3월 30일 비립동에 집결하기로 하여 주민들에게...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홍어는 가장 흔한 가오리류의 일종으로 황해와 남해에서 많이 잡히며, 상업적 가치가 높은 어종으로 삭혀서 막걸리와 곁들여 먹는 홍탁이 유명하다. 이외에 회, 구이, 찜, 포 등으로 먹기도 한다. 우리나라 해역을 비롯하여 일본, 동중국해, 오호츠크해 등지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1.5m 정도이다. 몸은 마름모꼴로 폭이 넓고, 머...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홍어는 가장 흔한 가오리류의 일종으로 황해와 남해에서 많이 잡히며, 상업적 가치가 높은 어종으로 삭혀서 막걸리와 곁들여 먹는 홍탁이 유명하다. 이외에 회, 구이, 찜, 포 등으로 먹기도 한다. 우리나라 해역을 비롯하여 일본, 동중국해, 오호츠크해 등지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1.5m 정도이다. 몸은 마름모꼴로 폭이 넓고, 머...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홍원(弘遠). 할아버지는 찰방(察訪)을 지낸 박여헌(朴黎獻)이고, 아버지는 판관을 지낸 박충생(朴忠生)이다. 박창(朴敞)[1578~?]은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서 태어났으며, 군수를 지냈다. 묘소는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다....
-
일제강점기 안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홍원표는 1875년(고종 12) 경기도 화성에서 출생하여 1919년 3·1운동 당시 부천군 대부면 동리[지금의 안산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1962년 사망하였다. 홍원표는 3·1 독립 선언이 있은 후 전국 각지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함성이 높아지자 이에 적극 호응하여 3월 31일 부천군 대부면에 사는 김윤규(金允圭)·노병상(盧秉相)과 영전리...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홍장(弘章), 호는 옥포(玉圃)이다. 선조의 부마 진안위(晉安尉) 유적(柳頔)의 12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진형(柳進馨), 아버지는 유승철(柳承哲), 어머니는 남양홍씨이다. 1919년 4형제 중 둘째로 지금의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서 출생하였으며, 1981년 사망하였다. 묘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선영에 있다. 유문...
-
개항기 안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아버지는 홍호민이다. 홍정희(洪貞羲)[1863~1907]는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뜻을 거스르는 일이 없었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애통해하며 묘소 앞에 여막을 짓고 시묘하였다. 3년 동안 한 번도 집에 내려오지 않았으며 고기도 입에 대지 않았다. 효행이 고을에 알려지고 조정에 보고되어 1893년(고종 30) 정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에서 효자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홍정희 선생의 효자문」은 안산시 향토유적 제19호로 지정된 흘곶동의 홍정희(洪貞羲) 효자문(孝子門)에 대한 이야기로 설화이기 보다는 실제 이야기인 효성담이다. 실제로 그의 효행이 조정에 알려져 고종이 효자정문을 하사했다고 한다. 1985년 옹진군에서 옹진군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으며, 후손 홍범의로부터 이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에 있는 개항기 홍정희의 효자문. 홍정희(洪貞羲)[1863~1907]는 본관이 남양(南陽)이며, 아버지는 홍호민이다. 어릴 때부터 성격이 온순하고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정성을 다하여 봉양하였으며, 부모의 뜻을 거스르는 법이 없었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깊이 애통해 하며 묘소 앞에 여막(廬幕)을 지어 놓고 3년 동안 거처하였다. 육식을 입에 대...
-
개항기 안산 출신의 정치가.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성숙(聲肅)이며, 호는 우정(羽亭)이다. 남양홍씨 남양군파 32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치섭(洪致燮)이고, 아버지는 홍재원(洪在源)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외아들로 태어났다. 홍종우(洪鍾宇)[1850~1913]는 몰락한 양반 가문에서 출생하여 어린 시절 경제적으로 빈곤한 생활을 하였으며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전라남도 고금도로...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지임(之任), 호는 안분재(安分齋). 할아버지는 진사 홍영필(洪永弼)이고, 아버지는 경기관찰사를 지낸 홍명원(洪命元)이며, 어머니는 윤민준(尹民俊)의 딸이다. 경기도관찰사·승정원도승지·형조참판 등을 역임한 홍수주(洪受疇)[1641~1704]가 아들이다. 홍처윤(洪處尹)[1607~1663]은 1639년(인조 17) 알성문과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홍처윤의 묘와 묘갈. 홍처윤(洪處尹)[1607~1663]의 자는 지임(之任), 호는 안분재(安分齋),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경기관찰사 홍명원(洪命元)의 아들로, 어머니는 부호군 윤민준(尹民俊)의 딸이다.1650년(효종 1)에는 응교로 춘추관 편수관이 되어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이해 지평이 되어 영의정 김자...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민어는 면어(鮸魚), 회어(鮰魚), 개우치, 홍치, 어스래기라고도 한다. 회와 민어구이, 민어어채, 민어전, 민어조림, 민어지짐이, 민엇국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몸길이는 최대 90㎝ 넘게 성장한다. 몸은 긴 방추형으로 약간 납작하다.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띤 회색이며 배 쪽으로 갈수록 옅어진다.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 후반...
-
고려 후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인물. 홍택은 남양홍씨(南陽洪氏)로 고려 후기 삼별초의 대몽항쟁 시기에 남양(南陽)[현 경기도 안산 지역]에 살았던 인물이다. 1270년(고려 원종 11) 5월 임유무(林惟茂)가 제거되면서 100여 년간 이어져 왔던 무인정권은 막을 내리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왕정복고와 더불어 몽고와 강화(講和)가 이뤄져 개경으로 환도하였다. 하지만 삼별초가 이에...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홍어는 가장 흔한 가오리류의 일종으로 황해와 남해에서 많이 잡히며, 상업적 가치가 높은 어종으로 삭혀서 막걸리와 곁들여 먹는 홍탁이 유명하다. 이외에 회, 구이, 찜, 포 등으로 먹기도 한다. 우리나라 해역을 비롯하여 일본, 동중국해, 오호츠크해 등지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1.5m 정도이다. 몸은 마름모꼴로 폭이 넓고, 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과 성포동 경계에 있는 고개. 예로부터 학이 많이 노닐던 고개라 하여 학고개라 하였고, 보통 화고개라 불렀다. 상록구 이동 꽃마을과 성포동 노적봉 사이에 있는 도로로,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왕복 8차선 도로가 되어 현재는 학고개라 부르는 사람이 거의 없다. 안산시 중앙로에서 수인산업도로로 진입하는 IC가 되었으며, 현재는 지대가 많이 낮아져 고개의 모습은 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복합 휴식 공간. 고잔신도시의 호수공원이 인공적인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면, 화랑유원지는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화랑유원지는 사람과 자연과 철새들이 함께하는 자연 휴식 공간이자 가벼운 레포츠 활동이 가능한 복합 휴식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화랑유원지는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과 체력 단...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이웃을 사랑하며 예절바른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자주인], 깊이 생각하며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즐겁게 생활하며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된 마음, 바른 행동, 새로운 생각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육성’이다. 1992년 2월 28일 화랑국민학교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소속 사찰. 화림선원은 수리산(修理山) 연봉(連峰)인 은룡산(隱龍山) 또는 계향산(桂香山)으로 불리는 산의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원래 「고지도(古地圖)」에 표시된 것처럼 ‘첨성’이라 하였으나 후에 ‘점성’으로 변하여 ‘점성(占星)의 약수암(藥水庵)’이라 불렀다. 한편 화림선원은 인근 산에서 나는 산골[한방에서 자연동...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신기한 바가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화수분 바가지」는 화수분처럼 쓰고 또 써도 줄지 않는 바가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흔히 세간에서는 쓰고 또 써도 줄지 않는 것을 화수분이라고 하는데, 그 단어의 유래는 이러하다. 옛날 중국의 진시황이 만리장성을 쌓을 때의 일이다. 회를 개려면 굉장히 많은 물을 써야 하는데, 일일이 길어다 쓸 수가 없었으므로 높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 있는 자연마을. 고주물은 밀양박씨가 처음 터를 잡은 마을로, 안산시 화정영어마을[옛 화정초등학교] 앞에 있는 우물이 풍수로 보아 매화꽃이 떨어지는 형국[梅花落地形]이고, 오랜 옛날 이곳에서 선화(仙花)라는 꽃이 피어서 꽃우물이라 했으며, 또한 매화꽃이 피었다 하여 꽃우물이라 했다고 한다. 그 후 마을 이름도 우물 이름을 따 꽃우물이라 하였는데, 점차...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1904년 화정교회가 설립되었으나 1919년 3월 30일 안산 비석거리 만세운동에 교인 10여 명이 참여했다는 이유로 일제에 쫓기게 되면서 약 10여 년간 교회가 폐쇄되기도 하였다. 1950년 6·25 전쟁 중에 교회 건물이 소실되었다. 1956년의 천막교회, 1960년에 현 위치로 이전하여 지은 목조 예배당, 198...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화정리에서 화정동이 되었다. 화정리는 자연마을인 고주물이 풍수지리로 보아 매화꽃이 떨어지는 형국으로, 예전 이곳에 있던 큰 우물에서 아름다운 꽃이 피었다 하여 꽃우물[花井]이라 하였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에 안산군 잉화면 화정리·광곡리 지역으로 1914년 시흥군 수암면 화정리가 되었다. 1989년 시흥시 화정동이 되었고, 1991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 있는 수령 470년의 보호수 두 그루. 느티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를 맺으며 10월에 익는다. 잎은 계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 있는 수령 490년의 보호수. 느티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를 맺으며 10월에 익는다. 잎은 계유(鷄油)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 있는 수령 350년의 보호수. 향나무는 측백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우리나라 중부 지방 이남 및 울릉도를 비롯하여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상나무,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향나무는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목재를 가공하여 향으로도 이용한다. 정원수, 공원수로 많이 심는다. 화정동 향나무는 높이 18m, 가슴높이 둘레 3m, 나무갓 너비 5m이다. 지상...
-
화정동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주민들은 김녕김씨와 밀양박씨 집안사람들이다. 두 집안은 비슷한 시기에 입향했는데, 먼저 뿌리 내리고 산 사람은 김녕김씨(金寧金氏) 가문의 김충주(金忠柱)로, 조선 전기의 일이다. 김충주의 자는 광보(狂甫), 호는 탄옹(炭翁)이다. 공조판서 김문기(金文起)의 손자로, 아버지는 거창현감을 지낸 김현석(金玄錫)이며, 어머니는 동복오씨였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마산(麻山)에서 발원하여 화정동·선부동·초지동을 흘러 시화호로 흘러드는 하천. 화정동의 꽃우물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평균 연강수량은 1,181㎜로서 한반도 평균보다 다소 낮은 편이다. 기온은 1월 평균기온 -0.1℃, 8월 평균기온 26.1℃로서 연평균기온은 12.9℃이다. 기온의 연교차는 26.2℃ 정도로서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의 특성을 보인다. 바람...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의숙(儀叔), 호는 화천(花川).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경익(李景翼)이다. 이수봉은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났다. 1733년(영조 9) 진사가 되었고, 1740년(영조 16) 문과에 급제한 뒤 지평, 정언, 장령, 헌납, 사간, 집의 등을 역임하였다. 재직 시 평안병사 이일제(李日躋)가 성을 쌓을 때 백성들한테 재물을...
-
조선 후기 이익이 경기도 안산 화포에 은거하며 지은 17수의 한시. 화포(花浦)는 옛날의 성곶(聲串), 곧 오늘날의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이다. 칠언절구인 「화포잡영17수(花浦雜詠十七首)」는 문예미에서도 뛰어난 작품으로 『성호선생전집(星湖先生全集)』권4에 실려 있다. - 제1수- 야우번분옥사림(夜雨翻盆沃四林)[밤비 억수로 내려 온 숲을 살찌우고] 조래제색희난금(朝來霽色喜難禁)[아침...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2동에서 활 쏠 때 부르는 회청소리. 「활쏘기」는 활터에서 활을 쏠 때 사원(射員)이 관중을 하면 축하해 주는 관례로 지화자를 불러주는 노래이다. 이를 「회청」·「호청」·「활쏘기 노래」·「과녁명중 축하 노래」라고도 한다. 임원진으로는 사두(射頭)·부사두·총무·감사가 있다. 편장이나 사두를 지낸 사람에게만 ‘의관’이란 명칭을 붙여 주고, 그 밖의 사람은 이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 있는 산. 황금산(黃金山)은 대부도의 주산으로, 황금이 매장되었다고 유래되어 붙여진 명칭이다. 일제강점기 때에는 금광이 있었으나 현재는 폐광되었다. 황금산은 높이 167.7m이며, 대부도의 섬 중앙에 있다. 지질은 노년기 지형으로 심한 구조 운동을 받았으며 많은 습곡과 단층을 발달시키고 있다. 황금산과 이어지는 산지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이어져 있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에서 나무귀신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황금산의 나무귀신」은 마을 사람들이 신성시하는 황금산의 향나무는 가지를 꺾는 것 조차도 금기시 하는데, 아내는 오히려 나무를 완전히 베어서 화를 자초했다는 향나무귀신의 신령스런 식물신이담이다. 즉 마을 주민에게 교훈으로 삼고자 신성한 나무를 베는 것을 자기 자식의 목숨과 바꾸는 것으로 징벌하고 있다. 19...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에서 나무귀신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황금산의 나무귀신」은 마을 사람들이 신성시하는 황금산의 향나무는 가지를 꺾는 것 조차도 금기시 하는데, 아내는 오히려 나무를 완전히 베어서 화를 자초했다는 향나무귀신의 신령스런 식물신이담이다. 즉 마을 주민에게 교훈으로 삼고자 신성한 나무를 베는 것을 자기 자식의 목숨과 바꾸는 것으로 징벌하고 있다. 19...
-
대부도의 최고봉은 섬 중앙부에 있는 해발고도 167.7m의 황금산이다. 이 산을 중심으로 100m 내외의 소규모 구릉성 산지가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이러한 산세의 방향은 탄도에서 시작하여 불도를 거쳐 대부도 북서단의 구봉이[해발고도 96.5m]까지 연결되어 있다. 대부도의 산세는 험하지 않으나 평지의 규모가 크지 않고, 대개 산지의 골짜기를 따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스테인리스 전문 제조업체. (주)황금에스티는 연구개발 기업, 미래를 향해 도전하는 기업, 사회에 기여하는 기업, 노와 사 그리고 고객 모두가 만족하는 기업이라는 경영철학과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스테인리스 업계를 선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2년 2월 4일 황금스테인레스절단판매공사로 설립되어 1986년 (주)황금스테인레...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바람에 의하여 하늘 높이 올라간 미세한 모래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황토를 우토(雨土)·토우(土雨)라 적었으며, ‘흙비’라고도 불렀다. ‘황사(黃砂)’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이다. 황사에 관한 최초 기록은 174년, 곧 신라 아달라왕 21년으로, ‘우토(雨土)’라는 표현이 처음으로 등장...
-
경기도 안산 출신의 행정가.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황학수(黃鶴秀)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노아지(盧阿只)이다. 1928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153번지[시흥대로 65-13]에서 출생하였다. 1995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다. 황천성은 군자초등학교를 거쳐 인천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1964년 문교부 총무과장을 지내고, 이...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백합과에 속하는 조개. 가무락조개는 이매패강 백합목 백합과에 속하는 조개로, 황합(黃蛤)·모시조개·가막조개·가무라기라고도 한다. 맛이 좋아 다양한 요리에 쓰이는 중요한 수산 자원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홍콩, 필리핀, 남동 중국해와 타이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껍데기 높이와 지름은 각각 5~6㎝ 정도이다. 전체적으로 둥글고 두껍다. 껍데기 색깔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 조기는 흔히 참조기, 보구치, 수조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1.5㎝가량의 것은 물강다리, 9㎝가량의 것은 강다리, 15㎝가량의 것은 세레니, 15㎝ 이상의 것은 조기 등 크기에 따라 다르게 부른다. 또한 소금에 절여서 말린 것을 굴비라고 한다. 석수어(石首魚), 참조기, 보구치, 수조기, 석두어(石頭魚), 강어, 황...
-
경기도 안산시에서 활동하는 아라비아의 예언자 무하마드를 따르는 종교. 이슬람교는 그리스도교, 불교와 함께 세계 3대 종교의 하나이며 ‘알라 이외에 신은 없다’는 것을 신조로 하는 유일신 신앙이다. 유럽에서는 무하마드교로, 중국에서는 회회교(回回敎) 또는 청진교(淸眞敎)로, 우리나라에서는 이슬람교 또는 회교(回敎)라 부르며 신도는 무슬림이라고 한다. 경전은 코란으로 전지전능(全知全能...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서 불리는 장례의식요. 「회방아 소리」는 시신을 땅에 묻은 뒤 관을 덮은 흙을 단단히 다지며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달구질 소리」·「회다짐 소리」·「회다지는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 지방의 「회방아 소리」는 종류가 다양함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긴달고 소리」와 「잦은달고 소리」 이외에도 「우야훨훨」·「회방아 타령」·「헤이리」·「상사 소리」 등을 부른다...
-
조선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회부(晦夫), 호는 계산초로(溪山樵老). 증조부는 김원행(金元行), 할아버지는 김이직(金履直)이고, 아버지는 목사(牧使) 김인순(金麟淳)이며, 어머니는 신일식(申日式)의 딸이다. 당대 세도가의 출신으로서 동생 김문근(金汶根)은 철종의 장인으로 영은부원군(永恩府院君)에 봉하여졌고, 두 아들 김병학(金炳學)·김병국(金炳國)은 모...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민어는 면어(鮸魚), 회어(鮰魚), 개우치, 홍치, 어스래기라고도 한다. 회와 민어구이, 민어어채, 민어전, 민어조림, 민어지짐이, 민엇국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몸길이는 최대 90㎝ 넘게 성장한다. 몸은 긴 방추형으로 약간 납작하다.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띤 회색이며 배 쪽으로 갈수록 옅어진다.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 후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던 자연마을. 해안가에 있던 마을로 바닷물이 들어오면 이곳에 이르러 급히 돌아가므로 도란말[廻村]이라 불렀다고 한다. 성두리는 잿머리[城頭]라 하여 골우물·벌말·안말·도란말을 총칭하는데, 이는 도란말에 있는 성황당을 신성시하여 주변에 성(城)을 쌓고 마을 주민들이 대대로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안산에 전래되던 동제(洞祭) 대부분은 폐동과...
-
평면 위에 색과 선을 사용한 여러 가지 형상의 표현과 관련된 경기도 안산 지역의 조형예술. 화가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해 평면 위에 양감·질감·공간·운동감·빛 등을 표현하며 이로써 그가 전달하고자 하는 대상의 실제 모습이나 초자연적인 현상, 서사적 주제 또는 추상적 형상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화가에 의해서 그렇게 표현된 작품을 회화라고 한다. 경기도 안산은 지금도 그 숨결이 느껴...
-
조선 후기 장유가 경기도 안산 지역에 은거하면서 목격한 농민의 수확하는 장면을 노래한 오언율시의 한시. 장유(張維)[1587~1638]는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의 무옥사건(誣獄事件)에 연루되어 파직당하자, 그로부터 12년간 안산의 군자면 장곡리 매곡[鷹谷] 해변의 본향(本鄕)에 내려와 살면서 노모 봉양과 학문 탐구에 전념한 바 있다. 당시 농사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
조선 후기 안산에서 활동한 왕후. 본관은 덕수(德水). 아버지는 조선시대 한문학 4대가 중 한 사람인 신풍부원군(新豊府院君) 장유(張維), 어머니는 안동김씨(安東金氏)로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딸, 남편은 효종(孝宗)이다. 자녀로 현종(顯宗), 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淑明公主), 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淑敬公主) 등 1남 5녀를 두었다. 오빠가...
-
전통시대 안산 지역에서 부모를 섬기는 데 정성을 다한 자녀. 효(孝)는 예로부터 백행(百行)의 근본으로 강조되었으며, 가정질서의 기본이 됨은 물론 국가를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되었다. 효에 대하여 『소학(小學)』에서는 ‘부모를 지성으로 섬기는 것’이라 하였고, 『논어(論語)』에서는 ‘예(禮)에 어긋남이 없게 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또한 『효경(孝經)』의 첫 장에...
-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화정동도 마을 청년들이 도시로 떠나가면서 청년들의 수가 많이 줄었다. 그들 나름대로는 자신의 길을 찾아 떠났지만 부모님과 고향에서의 추억은 오랜 타지 생활에도 잊히지 않는다. 오히려 타지에 살면서 나름대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 노력하게 되고, 고향과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해 노력하게 되는 것이다. 너빌이 고향인 사람들을 중심으로 ‘광곡청년회’라는 조직...
-
너빌 마을 회관에서 북쪽 마하산 정상을 바라보며 작은 오솔길을 따라 계곡을 따라가면 가파른 산으로 올라가는 시작 지점, 곧 안산시 화정동 산58번지에 고송정(枯松亭)이 있다. 고송정은 세조 2년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했다가 참화를 당한 김문기(金文起)의 손(孫)인 김충주(金忠柱)가 살던 자리이다. 김충주는 조부 김문기, 부친 김현석(金玄錫)이 참화를 당하자 밤중에...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자승(子升), 호는 후곡(後谷). 증조부는 창릉참봉 나세걸(羅世傑), 할아버지는 성균관전적 나익(羅瀷), 아버지는 성균관학유 나윤침(羅允忱)이다. 나급은 1576년(선조 9) 생원시에 합격한 후 사직참봉에 제수되었다가 1585년에 식년문과에 갑과 3등으로 급제하여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에 제수되었다. 그후 한성부참군, 병조좌랑, 성균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있는 산. 일본과 청나라가 아산만에서 교전할 때에 청인들이 망을 보던 산이라 하여 호망산(胡望山)이라 불렀는데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후망산이 되었다고 한다. 한편 옛날에 풍도 주민들이 산에 올라 바다에 해적이 출몰하는지 망을 보아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풍도의 아낙네들이 전라도로 세곡을 실으러 간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이 산에 올라 망을...
-
조선시대 안산 출신의 무신이자 효자.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후이(厚而)·중빈(仲賓). 초명은 김처관(金處觀)이다. 조선 전기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에 오르고 연성군(蓮城君)에 봉해진 김정경(金定卿)의 후손이다. 김처곤(金處坤)은 오로지 효를 다하기 위하여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몸소 농사를 짓고 물고기를 잡아 부모를 봉양하였다. 그러나 부모의 뜻이 여기에...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십완목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 오징어는 오적어, 남어, 흑어(黑魚)라고도 하며, 우리가 주로 먹는 살오징어와 갑오징어로 구분된다. 무침이나 순대, 회, 탕, 포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몸은 머리와 몸통·다리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촉완(觸腕)[긴 두 다리]과 8개의 다리가 있다. 배 쪽에 있는 깔때기는 외투막 속의 바닷물이나 배설물·생식물...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던 흑연광산. 흑연은 육각의 판상결정체로 산출되는데, 결정의 크기에 따라 인상흑연(鱗狀黑鉛)과 토상흑연(土狀黑鉛)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크기이고, 후자는 미세한 것으로 육안 또는 현미경으로도 결정의 식별이 어렵다. 인상흑연은 결정편암이나 편마암과 함께 산출되며, 흔히 그것에 수반되는 석회암 속에 산재한다. 흑연하면 제일 먼저...
-
옛날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부녀자의 산후 또는 체력 유지를 위해 흑염소탕을 만들어서 약용으로 이용해 왔다. 이 때문에 흑염소는 일반 축산물과는 달리 주로 약용으로 길러 왔다. 흑염소 재배는 IMF 한파 이후 계속되는 경제적 불황에도 큰 타격을 받지 않고 국내 부존자원인 산지의 초목류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축산 폐수로 인한 규제가 불필요하여 가장 한경...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에 있는 자연마을. 대부도 남쪽의 끝 뿌리이므로 흘곶(訖串)이라고 한다. 송곳처럼 뾰족하게 생긴 고래뿌리, 쪽박솔섬뿌리, 메추리섬뿌리, 서근여, 강거래뿌리 등이 바다로 뻗어 나가 있다. 1871년 제작된 대부도 지도에도 흘곶으로 표기된 것으로 보아 매우 오래된 마을로 여겨진다. 흘곶동에는 주로 논과 밭이 많았고 굴 양식이 성행하였으나 지금은 주민 대부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바람에 의하여 하늘 높이 올라간 미세한 모래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황토를 우토(雨土)·토우(土雨)라 적었으며, ‘흙비’라고도 불렀다. ‘황사(黃砂)’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이다. 황사에 관한 최초 기록은 174년, 곧 신라 아달라왕 21년으로, ‘우토(雨土)’라는 표현이 처음으로 등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에 있던 자연마을. 해적들이 대부도를 침범하여 약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적선 망을 보던 곳이라 하여 망선리(望船里)라 하였고, 후대로 오면서 변음이 되어 망생이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망선리의 어감이 좋지 않다고 하여 흥성리(興成里)로 이름을 바꾸었다. 대부도와 선재도를 잇는 선재대교가 시작되는 해변 마을로 대부남동 남5통 지역의 일부이다. 바닷가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사료 전문 제조업체. 1967년 1월 흥성사료공사로 설립되었으며 1968년 공장 시설을 증설하였다. 1970년 10월 흥성사료공업주식회사로 법인화했으며 1972년 흥성광주시험농장을 설립하였다. 1979년 컴퓨터 중앙제어에 의한 완전자동기계 시설과 Silo 4기 시설을 갖췄으며 1981년 벌크시스템을 도입하였다. 1982년 흥성 이천 시험농장을 설...
-
고려 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희기(希起). 아버지는 찬성사 오준(吳濬)이다. 오천(吳蕆)[1255~1332]은 1276년(충렬왕 2) 문과에 급제하였고, 1318년(충숙왕 5) 중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쳐 삼사의 좌윤과 개성부좌윤에 이르렀다. 묘소는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있다가, 1983년 전라북도 김제군 월촌면 신월리로 이장되었다....
-
조선 전기 안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희명(希明), 호는 저헌(樗軒). 할아버지는 천령부원군(天嶺府院君) 박영창(朴永昌)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을 지낸 박유(朴瑜)이다. 박여헌(朴黎獻)은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서 태어났으며, 1530년(중종 25) 찰방을 지냈다. 묘소는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