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안산문화대전 > 안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자취(문화유산) > 유형유산 > 유물
-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나무·돌·쇠 등으로 부처의 형상을 표현한 상. 안산 지역에는 안원사·원당사·수암사 등 조선시대 사찰이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폐사되어 절터만 남아 있다. 안산의 전통 사찰로는 화림선원과 쌍계사가 있으며, 쌍계사에 목조아미타불상이 있다. 칠보사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석가여래좌상·동자상 등이 전한다. 쌍계사 목조아미타불상은 제작 시기가 조선 후기로 추정되며, 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쌍계사 극락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도금 불상. 쌍계사 극락보전의 목조여래좌상은 높이 92㎝로 좁은 어깨에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는 소라 모양의 나발(螺髮)이 촘촘하고,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肉髻)가 높이 솟아 있으며, 이마 위에 타원형의 중앙계주(中央髻珠)와 정수리에 원통형의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있다.쌍계사 목조여래좌상...
-
경기도 안산시의 사찰에 봉안된 부처·보살·성현들의 그림. 안산의 탱화는 쌍계사에 있는 6개의 그림이 유일하다. 현재 단원구 대부동 대금산 쌍계사에는 19세기 이후에 제작된 아미타불탱화·현왕탱화·신중탱화·지장탱화·독성탱화·산신탱화 등이 6개의 불화가 있다. 화기(畵記)가 있는 불화는 현왕탱화·신중탱화·지장탱화이며, 아미타불탱화는 원래 있었으나 현재 파손되었다. 쌍계사는 17세기 후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쌍계사에 있는 현왕도. 현왕도(現王圖)는 지옥에서 죽은 사람이 살아 있을 때 저지른 죄질(罪質)을 심판하는 염라왕을 그린 불화이다. 현왕여래(現王如來)란 명계(冥界)의 염라대왕과 같은 성격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바로 현왕탱화이다. 「쌍계사 현왕도」는 2002년 9월 16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쌍계사에 있는 아미타회상도. 「아미타회상도(阿彌陀會上圖)」는 원래 서방정토를 관장하면서 중생들에게 무한한 안락과 수명을 보장해 주는 아미타불의 설법 장면을 그린 그림으로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에 근거한 불화이다. 「쌍계사 아미타회상도」는 쌍계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불화로, 현재는 불단에 가려 화면의 3/1밖에 볼 수 없다. 2002년 9월 16일 경...
-
일제강점기 유원성이 경기도 안산 부곡 일대의 팔경을 그린 8폭 병풍. 유원성(柳遠聲)[1851~1945]은 1851년 안산 부곡동에서 태어났으며, 개천군수에 올랐으나 1905년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한 일제의 침략 야욕이 본격화되자 1907년 모든 관직을 버리고 독서에만 몰입하였다. 「부계팔경도(釜溪八景圖)」는 일제에 고향땅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일념으로 그가 몸담고 있던 부곡 지방...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 출신 김류의 초상화. 김류는 조선 후기의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김여물의 아들이다. 자는 관옥(冠玉), 호는 북저(北渚),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1623년 거의대장(擧義大將)에 추대되어 이귀·신경진(愼景禛)·이괄(李适) 등과 인조반정을 일으켰으며, 이 공으로 병조참판에 제수되고, 곧 병조판서로 승진되어 대제학을 겸하는 동시에 승평부원군(昇平府院君)에 봉...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 성호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상의의 초상. 이상의(李尙毅)[1560~1624]는 문신이자 서예가로 본관은 여주(驪州)이다. 문과 급제 후 이조 판서, 공조 판서, 대사헌 등의 벼슬을 거쳤고 사신으로 명나라에도 두 차례 다녀왔다.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했던 공적으로 1613년(광해군 5) 위성공신(衛聖功臣)이 되었다. 1613년 형난공신...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 성호 이익 기념관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하진의 친필 서첩. 『이하진 필적 천금물전』은 조선의 명필로 유명한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아버지인 매산(梅山) 이하진(李夏鎭)이 1680년께 쓴 10첩 친필 서첩이다. ‘천금물전(千金勿傳)’은 천금을 주더라도 남에게 이 책을 주지 말라는 뜻이며, 자손에게 천금을 물려주지 말고 학식과 덕망을 물려주라는 뜻으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청주한씨 충정공파 문중 사당에서 소장하고 있는 한응인의 초상화와 재실 유물. 한응인 영정 및 재실 유물 일괄은 조선 선조 때 문신으로 활약한 한응인(韓應寅)[1554~1614]의 초상화 한 점과 초상화를 모셔 두었던 사당 안에 남아 있는 9점의 목제 제사 도구들이다. 초상화는 한응인이 호성원종 공신에 책록되었을 때인 17세기 초 도화서 서원에 의해 그려...
-
옥동(玉洞) 이서(李漵)가 연주하던 18세기에 제작된 거문고. 이서(李漵)[1662~1723년]는 성호(星湖) 이익(李瀷)[1681~1763년]의 셋째 형이다. 그가 연주하던 거문고로 여주이씨(驪州李氏) 문중에 전해지다가 2011년 안산시에 기증되어 경기도 안산시 성호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14년 10월 22에 중요민속문화재 제 283호로 지정되었다. 옥동금은 오동나무와 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