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E010103
지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종현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진호

안산에서 시화방조제를 건너 대부도에 이른 뒤 1㎞ 가량 남쪽으로 내려오면 구봉유원지로 가는 이정표가 나온다. 이 이정표를 따라 다시 1㎞ 가량 바닷가 쪽으로 따라가면 구봉이[일명 구봉리, 법정동으로 종현 마을 8통 6반]에 이른다. 구봉이는 대부도 북단에 자리 잡은 산들로 연결되어 있는데, 정상부가 96.5m 가량으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바다와 접해 있다.

봉우리가 아홉 개로 된 구봉이는 원래 구봉이섬이었다. 김복동 옹에 따르면 1950년대 초반 구봉염전이 만들어지면서 주변에 제방을 쌓아서 돈지섬과 함께 모두 육지가 되었다고 한다.

구봉이섬이라고는 하지만 제방을 쌓기 전에도 물이 빠질 때에는 땅이 드러나 사람들이 걸어 다녔다. 이때는 구봉이 부근이 종현 마을 사람들에게는 보물창고였다. 마을 사람들이 먹는 고기며 굴 등은 이곳에서 잡는 것만으로도 넉넉했기 때문이다.

구봉이 해안에 서 있는 두 개의 선돌을 마을 사람들은 구봉이 선돌이라고 한다.

큰 바위는 할아버지바위, 작은 바위는 할머니바위라고 부른다. 할아버지바위는 위가 넓어 팔짱을 끼고 할머니바위를 호위하는 모습이다. 할머니바위는 아래가 좁아 마치 흔들바위같이 생겼으나, 파도가 아무리 치고 바람이 불어도 흔들리는 일은 없다. 이 바위가 구봉이 어장을 지켜주는 바위라고 전해진다.

구봉이 선돌 쪽에는 ‘선돌살[구봉이 돌살]’이라고 부르는 돌살이 있었는데, 고기 잡는 살을 맬 때 고기가 너무 많이 들어 살에 물이 빠지지 않았을 정도였다고 한다.

구봉이에는 절벽에서 자연 약수가 흐르는데, 이 약수를 마시면 종기나 땀띠 등이 낫는다고 전한다. 마을 사람들은 이 약수를 하늘에서 주는 물이라고 해서 천연물이라고 부른다.

전에는 이곳에서 만신들[무녀를 높여 부르는 말]이 굿을 하기도 했다. 1980년대까지는 일반인들도 이곳에서 정성을 들였다고.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이곳 약수의 영험은 종현 마을 주민보다는 다른 마을 사람에게 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천연물 약수가 생긴 시기는 일제강점기로, 당시 인천항을 축조할 때 일본인들이 이곳을 채석장으로 이용하여 돌을 캐갔다고 한다. 그런데 당시 채석장에서 일하던 사람 중에 힘 좋은 중국 사람이 큰 바위에 구멍을 뚫자 그 구멍에서 약수가 쏟아져 나왔다고 한다.

약수가 나오는 곳은 근처에 기암괴석이 많아 풍광이 좋은 곳으로, 종현 마을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릴 때 자주 소풍을 가던 곳이라고 한다. 그런데 1970년대 새마을운동을 하면서 물이 솟아나던 바위 구멍에 파이프를 설치하자 물의 양이 줄었단다.

돈지섬은 구봉이 염전 저수지 서쪽에 있는 새의 둥지처럼 생긴 작은 섬이다. 섬의 생김새로 인해 원래는 둥지섬이라고 불리다가 둥지섬이 변음되어 ‘돈지섬’으로 불린다고 전한다. 홍성웅 씨에 의하면, 돈지섬도 구봉이처럼 밀물 때는 갯고랑으로 바닷물이 들어와 섬이 되고 썰물 때에는 땅이 드러나 사람들이 걸어 다녔다고 한다. 그러나 서호염전이 만들어지면서 제방을 쌓고 흙을 메워 이제는 과거에 섬이었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는 대부도의 조그만 산봉우리가 되었다.

[정보제공]

  • •  김복동(남, 1936년생, 대부북동 거주, 종현 마을 노인회장)
  • •  홍성웅(남, 1941년생, 대부북동 거주, 전 대부면 부면장)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