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다시 안원사에서 놀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588
한자 -安院寺-
영어의미역 Again Going at Anwonsa Temple
이칭/별칭 「중유안원사(重遊安院寺)」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안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여성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강흔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후기

[정의]

조선 후기 강흔이 경기도 안산의 안원사를 찾아가서 지은 오언율시의 한시.

[개설]

「다시 안원사에서 놀며」삼당재(三當齋) 강흔(姜俒)[1739~1775]이 안원사를 다시 찾아가 보고 느낀 감회를 적은 한시이다. 빈(頻)·인(人)·친(親)·진(陳)을 차운한 오언율시로 그의 문집인 『삼당재고(三當齋稿)』 춘(春)권에 실려 있다. 강흔강세황의 둘째 아들로서 25세 때인 1763년(영조 39)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우승지에 이르렀으나, 37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그의 아들 강이천[1768~1801] 또한 천재 소년 시인으로 이름을 날렸다.

[내용]

산중하소호(山中何所好)[산중에 어찌 좋은 곳 있으리요]

내자부언빈(來者不言頻)[오르는 사람마다 자주 말이 없네]

지견유금불(只見有金佛)[단지 금당의 부처만 볼 뿐이라고 하지만]

미증혐속인(未曾嫌俗人)[일찍이 세속의 사람들 미워하지 않았네]

임만혼안관(林巒渾眼慣)[수풀과 산봉우리 다 낯익은데]

금조각정친(禽鳥覺情親)[뭇새들도 친근한 정 느끼네]

화급시모경(火急詩摸景)[이 기막힌 절경 급히 한 수 짓고자]

회두적이진(回頭跡已陳)[머리 들어 지난 자취 더듬어 본다네]

[특징]

「다시 안원사에서 놀며」안원사에 오르는 힘든 산행 도중 변하는 마음을 잘 표현하고 있다. 첫째 절에서는 산 속에 무언가 좋은 곳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산에 올랐건만 점점 힘든 산행에 말하기조차 힘들다는 산행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둘째 절은 “절집에서 볼 것이라고는 금당의 부처뿐인데”라는 푸념도 일어났지만, “그래도 사람들을 미워하지 않는 자비의 부처가 아니겠는가”라고 하며 굳건히 산행을 계속한다는 내용이다.

셋째 절은 낯익은 나무와 봉우리에 마음이 편안해지고, 더욱이 산새들도 정답게 맞아주는 것 같아 산행을 포기하지 않았던 것에 만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마지막 절에서는 이곳의 아름다운 광경을 보고 시상(詩想)이 떠올라 지나온 길을 회상한다는 여유로움으로 끝맺고 있다.

[의의와 평가]

안원사정재골[靜齋谷], 곧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정재초등학교 뒷산에 있던 절이었는데 현재 폐사가 되었다. 이익(李瀷)강세황(姜世晃) 등 많은 문인들이 찾았던 곳으로, 안원사의 겨울 풍경은 강세황의 시 「안원사에서 자고 대설을 보다」에 잘 표현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