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모심는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495
영어의미역 A Song Sung When Planting Rice
이칭/별칭 「모심기 소리」,「이앙가(移秧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안산시
집필자 이소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농업노동요
형성시기 고대~조선시대
기능구분 모심는 작업
형식구분 독창|교창
박자구조 [수암동]: 3분박 4박 2마디씩 교창
가창자/시연자 김철성[1910년, 수암동]

[정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소리.

[개설]

「모심는 소리」는 지역에 따라 「모심기 소리」 또는 「이앙가(移秧歌)」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요이다. 안산 지역에서는 첫째, 잦은 열소리형, 둘째, 남부 경기도의 멕받형식인 ‘저기도 하나’형의 영향이 섞여 있는 형, 셋째, 나열형 등이 수집된다.

[채록/수집상황]

안산시의 「모심는 소리」를 녹음한 곳은 상록구본오동[이경매, 남, 1912년생]과 수암동[김철성, 남, 1910년생]이며, 단원구신길3동 능길마을[김수옥, 남, 1925년생], 대부도의 동5리[김철룡, 남, 1910년생]와 남4리[홍성호, 남, 1916년생/ 김주영, 남, 1917년생] 등이다. 이중에서 수암동에서 1989년 7월 5일에 채록한 「모심는 소리」는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안산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수암동「모심는 소리」는 잦은 열소리형에 속한다. 맞물림 가사 연결과 3분박 4박 1마디 안에 수를 두개씩 외움 및 열까지 세었다가 새로 하나를 세어나감이 일반 열소리형과 공통된다. 음역이 9도에 달하며, 매 마디의 끝은 기음이다. 두 마디씩 교대로 부르기에 알맞다. 독창 또는 교창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내용]

하나를 심어라 둘이로구나 둘간데 셋이로다/ 셋을 심어라 하 넷이로구나 넷- 간데 다섯이요/ [중략] 열을 심어라 하나로구나 새로 하나를 심었구나.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반월동 안골에 거주하는 주민 이창문[남, 1920년생]은 일찍 못자리 하는 사람이 곡우(穀雨) 때 물못자리를 하였고, 씨 뿌린 후 40일이 지나면 애벌매기를 했다고 한다. 특히 상록구 성포동 주민 박영춘[남, 1913년생]은 「모심는 소리」가 없으며, 논맬 때는 4~5명이 함께 일을 했다고 전한다.

[현황]

요즈음은 일의 능률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대부분의 농사일이 기계화됨에 따라 기계모를 심으므로, 들에서 「모심는 소리」를 부르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1995년에 시흥시로부터 편입된 보다 북쪽에 위치한 수암동「모심는 소리」는 잦은 열소리의 일반형에 속한다. 그러나 보다 남쪽에 위치한 본오동의 것은 열소리 형과 구별되며, 남부 경기도의 멕받형식적 ‘저기도 하나형’과도 다르나 후자의 영향이 더 많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