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501200 |
---|---|
한자 | 安山漁村民俗博物館 |
영어공식명칭 | Ansan Fishing Village Folk Museum |
이칭/별칭 | 어촌민속박물관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717[대부황금로 7]![]()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심수정 |
성격 | 박물관 |
---|---|
설립연도/일시 | 2007년 2월 16일![]() |
설립자 | 안산시청 |
전화 | 032-886-0126|032-886-291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있는 어촌민속박물관.
안산어촌민속박물관은 안산 어촌 지역의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 민속과 어업 문화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 안산 지역의 새로운 관광 소득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관하였다.
안산시가 경기도 어촌관광종합개발사업과 연계하여 2006년 3월 11일 안산시립어촌민속전시관으로 개관하였다. 2007년 2월 16일 제1종 전문박물관으로 등록되었다. 2007년 6월 1일 안산도시공사가 위탁 운영을 시행하였으며, 2008년 1월 22일 안산어촌민속박물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안산어촌민속박물관에서는 안산 지역의 어촌민속 문화 자료를 수집·보존하고 연구·전시하고 있다. 전시실은 안산의 역사와 생태 환경, 어업 문화, 어촌의 민속을 주제로 한 3개의 상설전시실과 어린이상설체험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서해어종·열대어종 2개의 대형 수족관과 민물고기수족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밖에 3D입체영상실과 해양·공룡·민속·역사와 관련한 다양한 도서 자료가 비치된 도서자료실이 있다.
2009년 현재 안산어촌민속박물관의 제1전시실에서는 ‘안산시의 역사와 생태 환경’을 주제로 한 안산시 해양 유적 관련 유물과 공룡 발자국 화석·공룡알 화석 등을 전시하고 있다. 대부도 인근 지역의 패총, 해양 방어 유적 등에서 발굴된 유물들을 통해 선사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화의 변천을 살펴볼 수 있으며, 공룡 집단의 서식처였던 시화호의 생태 환경 및 서해안의 물때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제2전시실에는 ‘어업 문화’를 주제로 한 갯벌을 둘러싼 어촌의 삶과 어업에 관해 전시되어 있다. 세계 5대 갯벌 가운데 하나인 서해안 갯벌의 특징을 살펴보고, 갯벌 생태계를 구성하는 갯벌 생물들에 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다. 또한 갯벌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어민들의 모습과 다양한 어업 문화를 살펴볼 수 있다.
제3전시실은 안산의 어촌 민속을 재현한 공간으로, 바다와 함께한 어민의 삶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바다라는 자연을 상대하는 어민들의 특성이 잘 나타나는 풍어제를 알아보고, 어촌의 「어로요」를 직접 들어 보면서 어민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다.
어린이상설체험전시실은 서해안의 생태 환경과 어업 문화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게 구성하여 직접 만지고 체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밖에 연 2회 이상의 기획전·특별전을 개최하며, 온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다채로운 체험학습이 운영되고 있다.
안산어촌민속박물관의 총 면적은 7,500㎡이고, 건물은 2,569.46㎡의 지상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관 시간은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매주 월요일과 매년 신정·설날·추석에는 휴관한다. 안산시 대부도 탄도항에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