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701399 |
---|---|
이칭/별칭 | 야광귀 쫓기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 상구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연호 |
[정의]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귀신이 신발을 신고 가지 못하게 신발을 엎어 놓거나 숨겨 놓는 풍속.
[개설]
신발 감추기는 덕산읍 구산리 상구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하늘에서 내려와 신발을 훔쳐가는 귀신이 신발을 신고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신발을 마루 밑 또는 방안에 감추거나 문에 체를 걸어 놓는 풍속이다. 이를 ‘야광귀 쫓기’라고도 하는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풍속이다. 설날 밤이나 정월 대보름 전날 야광귀가 신발을 신어 보는데, 제 발에 맞으면 신고 간다고 한다. 야광귀가 신발을 신고 가면 신발 주인이 불길하거나 죽는다고 하여 신발을 감추거나 엎어 놓고, 대문에는 체나 바구니를 걸어 놓는다. 체는 구멍 수가 많아 귀신이 체 구멍을 세고 또 세다가 닭이 울면 집안에 들어오지 못하고 그냥 돌아가기 때문에 사람에게 해코지를 할 수 없다는 발상에서 나온 것이다.
[연원 및 변천]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 연원은 알 수 없으나 신발 감추기 풍속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 편찬된 각종 세시기(歲時記)에 기록되어 있다. 『경도잡지(京都雜誌)』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등 대부분의 세시기에는 야광귀에게 신발을 잃어버리면 그 해의 신수가 불길하다고 하였다. 이를 막기 위해 신발을 방 안이나 마루 밑에 숨기고 대문이나 대청마루 벽 등에 체를 걸어 놓았다. 한편 『세시풍요(歲時風謠)』에는 야광귀를 쫓기 위해 저녁에 마당에서 머리털을 태우고 그 재를 마당에 뿌리는 풍속이 기록되어 있다.
[절차]
설날 밤이나 정월 대보름 전날 신발을 감추거나 엎어 놓으며, 문에 체를 걸어 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덕산읍 구산리에서는 정월 대보름 전날 신발 감추기를 행한다. 이날 밤 귀신이 신발을 신고 가는 것을 막기 위해 대문에 체를 걸어 놓고, 신발을 마루 밑에 감추거나 방 안에 들여 놓는다. 신발을 감추지 않으면 귀신이 와서 신어보고 발에 맞아 신고 가면 그 해 신수가 불길하거나 죽는다고 여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