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배전반 및 전기자동제어반 제조업체. 1972년 1월 22일 선도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79년 반월공업단지 신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으며, 1987년 선도전기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3년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99년 삼천전기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다. 2005년 충청남도 연기군에 제3공장 부지를 취득하였으며, 제1공...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중장비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성보P&T주식회사는 정밀 가공 제품과 내마모 특수강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성보공업사로 창업하였다. 1983년 성보공업주식회사를 법인 설립하고, 1987년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기계사업부를 분리 이전하였다. 1988년 성보공업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1994년 금속사업부 제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중장비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성보P&T주식회사는 정밀 가공 제품과 내마모 특수강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성보공업사로 창업하였다. 1983년 성보공업주식회사를 법인 설립하고, 1987년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기계사업부를 분리 이전하였다. 1988년 성보공업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1994년 금속사업부 제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주방용품 제조업체. PN풍년은 주방용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4년 5월 1일 세광알미늄공업사로 설립하여 1973년 세광알미늄공업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87년 반월사택 및 반월공장을 준공하고, 세광알미늄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같은 해 본사 및 공장을 반월공장으로 이전 완료하여 가동하였다. 2004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그물 속의 고기를 담을 때 부르던 어업노동요. 「바디질 소리」는 그물 속의 고기를 배 안으로 퍼 담을 때에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고기 퍼담는 소리」·「고기 퍼실는 소리」 라고도 한다. 고기를 퍼 담는 도구를 ‘바디’라고 하는데, 인천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을 때 고기를 퍼 담는 도구인 바디로 짠 그물주머니를 붙이는 데서 유래한 듯하다. 고기를 퍼 담는 같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풍도에서 어린이들이 반딧불이를 잡으며 부르던 소리. 「반디 노래」는 반딧불이를 잡으려고 반딧불이를 유혹하는 동요이다. 일반적으로 반디[개똥벌레] 노래는 잡으러 가면서 부르는 노래와 잡고 나서 가지고 놀며 부르는 노래로 대별된다. 풍도의 「반디 노래」는 전자에 속한다. 전자는 여기 물이 맑으니 이리로 오라고 유혹함과 같이 맑은 물을 소재로 하고 있고, 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그물 속의 고기를 담을 때 부르던 어업노동요. 「바디질 소리」는 그물 속의 고기를 배 안으로 퍼 담을 때에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고기 퍼담는 소리」·「고기 퍼실는 소리」 라고도 한다. 고기를 퍼 담는 도구를 ‘바디’라고 하는데, 인천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을 때 고기를 퍼 담는 도구인 바디로 짠 그물주머니를 붙이는 데서 유래한 듯하다. 고기를 퍼 담는 같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그물 속의 고기를 담을 때 부르던 어업노동요. 「바디질 소리」는 그물 속의 고기를 배 안으로 퍼 담을 때에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고기 퍼담는 소리」·「고기 퍼실는 소리」 라고도 한다. 고기를 퍼 담는 도구를 ‘바디’라고 하는데, 인천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을 때 고기를 퍼 담는 도구인 바디로 짠 그물주머니를 붙이는 데서 유래한 듯하다. 고기를 퍼 담는 같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2동에서 활 쏠 때 부르는 회청소리. 「활쏘기」는 활터에서 활을 쏠 때 사원(射員)이 관중을 하면 축하해 주는 관례로 지화자를 불러주는 노래이다. 이를 「회청」·「호청」·「활쏘기 노래」·「과녁명중 축하 노래」라고도 한다. 임원진으로는 사두(射頭)·부사두·총무·감사가 있다. 편장이나 사두를 지낸 사람에게만 ‘의관’이란 명칭을 붙여 주고, 그 밖의 사람은 이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안골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안골 지경닺는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이창문 창과 같은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를 부르고,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1989년 7...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노래. 대부도(大阜島)는 안산시 대부동으로 편입되기 이전에는 옹진군 대부면에 속해 있던 큰 섬이다. 남양 쪽에서 대부도를 바라보면 섬 같지 않고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하여 대부도라고 불렀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는 「응호 소리」·「논지심매기」·「지심매기」·「논매기」 등으로도 불린다. 대부동동의 논맴 소리에는 「논맴 양산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논을 맬 때 부르던 농업노동요. 「둘레 소리」는 한강 남쪽 경기도 지역의 고유한 논맴 소리이며, 받음구에 ‘둘레’라는 어휘를 가지고 있다. 「논매는 소리」·「논맴 소리」·「논지심 소리」라고도 부른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로는 「논맴 양산도」, 「실모 소리」, 「둘레 소리」, 「응호 소리」, 「몸돌 소리」, 「어럴럴럴 상사」, 「방아 소리」, 「얼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에서 논맬 때 부르던 소리.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의 「방아 소리」는 일반적으로 받음구에 ‘방아’라는 어휘를 가지나, 이른바 「방아 타령」의 유형과는 구별된다. 「방아 소리」·「방아 타령」에 대한 현장에서의 용어들을 살펴보면 제멋대로이고 혼란스럽다. 따라서 현 경기도 지역에서 필자가 채보한 169곡을 중심으로 분류하면, ①「방게 소리」, ②「방아 소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과 장하동에서 호미로 논맬 때 부르던 농업노동요. 「얼카덩어리」는 충청남도의 대표적인 「논맴 소리」로서, 받음구에 ‘얼카덩어리’류의 어휘를 보유하고 있다. 얼카덩어리 류는 충청남도 서부 지역인 서산·홍성·당진·예산 방면이 그 문화중심이다. 중심처에서는 호미로 논을 매면서 단순 잦은소리와 함께 느린 소리도 많이 불렀으나, 타군으로 전파되면서는 주로 군말이...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논을 맬 때 부르던 농업노동요. 「둘레 소리」는 한강 남쪽 경기도 지역의 고유한 논맴 소리이며, 받음구에 ‘둘레’라는 어휘를 가지고 있다. 「논매는 소리」·「논맴 소리」·「논지심 소리」라고도 부른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로는 「논맴 양산도」, 「실모 소리」, 「둘레 소리」, 「응호 소리」, 「몸돌 소리」, 「어럴럴럴 상사」, 「방아 소리」, 「얼카...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농업노동요. 안산 지역의 「논매는 소리」는 「논맴 소리」·「논지심 노래」 등으로 불린다. 여기에는 「논맴 양산도」·「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어럴럴럴 상사」·「방아 소리」·「얼카덩어리」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 등은 경기도 특수 지역의 소리이고, 「...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농업노동요. 안산 지역의 「논매는 소리」는 「논맴 소리」·「논지심 노래」 등으로 불린다. 여기에는 「논맴 양산도」·「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어럴럴럴 상사」·「방아 소리」·「얼카덩어리」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 등은 경기도 특수 지역의 소리이고, 「...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논을 맬 때 부르던 농업노동요. 「둘레 소리」는 한강 남쪽 경기도 지역의 고유한 논맴 소리이며, 받음구에 ‘둘레’라는 어휘를 가지고 있다. 「논매는 소리」·「논맴 소리」·「논지심 소리」라고도 부른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로는 「논맴 양산도」, 「실모 소리」, 「둘레 소리」, 「응호 소리」, 「몸돌 소리」, 「어럴럴럴 상사」, 「방아 소리」, 「얼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노래. 대부도(大阜島)는 안산시 대부동으로 편입되기 이전에는 옹진군 대부면에 속해 있던 큰 섬이다. 남양 쪽에서 대부도를 바라보면 섬 같지 않고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하여 대부도라고 불렀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는 「응호 소리」·「논지심매기」·「지심매기」·「논매기」 등으로도 불린다. 대부동동의 논맴 소리에는 「논맴 양산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서 불리는 장례의식요. 「회방아 소리」는 시신을 땅에 묻은 뒤 관을 덮은 흙을 단단히 다지며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달구질 소리」·「회다짐 소리」·「회다지는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 지방의 「회방아 소리」는 종류가 다양함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긴달고 소리」와 「잦은달고 소리」 이외에도 「우야훨훨」·「회방아 타령」·「헤이리」·「상사 소리」 등을 부른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서 석호마을 서낭님과 호랑이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8년 11월 25일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서 이덕봉[남]이 구연한 것을 이한기가 채록하여 1990년 내고장안산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내고장안산』에 수록하였다. 이후 1997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서 김완태[남, 70]가 구연한 것을 이정태가 채록하여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
-
조선 후기 강희영이 경기도 안산의 원당사에 올라 지은 오언절구의 한시. 「원당사에 올라」는 양산(諒山) 강희영(姜羲永)[1796~1867]의 문집 『양산시고(諒山詩稿)』에 실려 있는 작품이다. 강희영의 아버지 강준흠은 물론이고 아들 강우형 모두 시명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춘산근황혼(春山近黃昏)[봄 산에 황혼이 깃들고] 고사종성만(古寺鐘聲晩)[옛 절 저녁 종소리] 창해귀범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소리. 「모심는 소리」는 지역에 따라 「모심기 소리」 또는 「이앙가(移秧歌)」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요이다. 안산 지역에서는 첫째, 잦은 열소리형, 둘째, 남부 경기도의 멕받형식인 ‘저기도 하나’형의 영향이 섞여 있는 형, 셋째, 나열형 등이 수집된다. 안산시의 「모심는 소리」를 녹음한 곳은 상록구의 본오동[이경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모심기」는 지역에 따라 「모심는 소리」 또는 「이앙가(移秧歌)」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요이다. 안산 지역에서는 첫째, 잦은 열소리형, 둘째, 남부 경기도의 멕받형식인 ‘저기도 하나’형의 영향이 섞여 있는 형, 셋째, 나열형 등이 수집된다. 안산시의 「모심는 소리」를 녹음한 곳은 상록구의 본오동[이경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에서 물을 퍼 올리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용두레질 소리」는 긴 용두레로 논에 물을 퍼 올려 대면서 하던 노래이다. 이를 「물품는 소리」라고도 한다. 물을 푸는 농구(農具)에는 용두레·맞두레·무자위 등이 있다. 맞두레는 두레박 양쪽에 줄을 달아 두 사람이 가지런히 작업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무자위나 용두레는 혼자 작업이 가능하다. 1989년 7월 29...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풍도에서 어린이들이 반딧불이를 잡으며 부르던 소리. 「반디 노래」는 반딧불이를 잡으려고 반딧불이를 유혹하는 동요이다. 일반적으로 반디[개똥벌레] 노래는 잡으러 가면서 부르는 노래와 잡고 나서 가지고 놀며 부르는 노래로 대별된다. 풍도의 「반디 노래」는 전자에 속한다. 전자는 여기 물이 맑으니 이리로 오라고 유혹함과 같이 맑은 물을 소재로 하고 있고, 후...
-
1797년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경기도 안산 지역에 묵으면서 지은 시. 1797년(정조 21) 8월 16일, 수원의 현륭원(顯隆園)으로 가는 도중 안산에 묵게 된 정조(正祖)[1752~1800]가 안산군민들의 수고를 위로하기 위해 지은 시이다. 『홍재전서(弘齋全書)』권7에 실려 있으며, 원래 제목은 「밤에 안산의 아헌에 임어하다」이다. 압운(押韻)은 연(蓮)자이고, 전(錢)·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부르던 만선의 풍어 노래. 고기잡이 조업이 끝나면 어부들은 만선(滿船)을 표시하기 위해 배에다 봉기를 달고 배 위에서 풍물을 치며 흥겹게 노래를 하고 춤을 추었는데 이를 ‘배치기’라고 한다. 「배치기 소리」는 「풍어 노래」·「봉죽 노래」 등으로 불리며, 황해도 연안과 경기만 쪽이 그 본고장으로 보인다. 흥겹기 때문에 목포, 진도군의 조도, 소흑산도까지 전파되어...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그물 속의 고기를 담을 때 부르던 어업노동요. 「바디질 소리」는 그물 속의 고기를 배 안으로 퍼 담을 때에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고기 퍼담는 소리」·「고기 퍼실는 소리」 라고도 한다. 고기를 퍼 담는 도구를 ‘바디’라고 하는데, 인천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을 때 고기를 퍼 담는 도구인 바디로 짠 그물주머니를 붙이는 데서 유래한 듯하다. 고기를 퍼 담는 같은...
-
1848년 신좌모가 경기도 안산 선영에 성묘하러 가면서 지은 한시. 담인(澹人) 신좌모(申佐模)[1799~1877]가 안산 선영에 성묘하러 가는 도중에 쓴 시로 노량진-안산-원주로 여행하며 지은 기행시인 「동협기행(東峽紀行)」 69수 중 한 편이다. 신좌모의 문집 『담인집(澹人集)』권3에는 「산초의 대조루 운을 써서 안산군수 정도화에게 주는 시(用汕樵對潮樓韻呈蓮城使君鄭道和)」라고...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삼천리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삼천리마을 지경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삼천리마을 지경 소리」와 같이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조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던 상례의식요. 「행상 소리」는 장례일에 빈소로부터 장지까지 운구하며 상두꾼들이 발을 맞추기 위해 불렀던 소리이다. 이를 「운상 소리」·「상여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 지역의 「행상 소리」에는 한마디 소리와 반마디 소리, 짝패 소리, 어거리넘차 류, 비(非)넘차류 긴소리, 잦은 두마디 행상, 방아타령-A형[받음구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던 상례의식요. 「행상 소리」는 장례일에 빈소로부터 장지까지 운구하며 상두꾼들이 발을 맞추기 위해 불렀던 소리이다. 이를 「운상 소리」·「상여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 지역의 「행상 소리」에는 한마디 소리와 반마디 소리, 짝패 소리, 어거리넘차 류, 비(非)넘차류 긴소리, 잦은 두마디 행상, 방아타령-A형[받음구가...
-
조선 후기 김응조가 경기도 안산 지방관의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로 열린 수석연(壽席宴)을 기념하여 지은 한시. 김응조(金應祖)[1587~1667]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 또는 아헌(啞軒)이다. 1623년 인조가 반정으로 즉위하자 문과에 응시하여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인조와 효종·현종 3대를 섬겼으며, 벼슬은 공조참의에 그쳤으나 문장과 덕(德...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논을 매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실모 소리」는 호미로 논맬 때에 부르던 노래로서 이를 「수암동 논맴 소리」라고도 한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로는 「논맴 양산도」, 「실모 소리」, 「둘레 소리」, 「응호 소리」, 「몸돌 소리」, 「어럴럴럴 상사」, 「방아 소리」, 「얼카덩어리」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그물 속의 고기를 담을 때 부르던 어업노동요. 「바디질 소리」는 그물 속의 고기를 배 안으로 퍼 담을 때에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고기 퍼담는 소리」·「고기 퍼실는 소리」 라고도 한다. 고기를 퍼 담는 도구를 ‘바디’라고 하는데, 인천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을 때 고기를 퍼 담는 도구인 바디로 짠 그물주머니를 붙이는 데서 유래한 듯하다. 고기를 퍼 담는 같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논을 매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실모 소리」는 호미로 논맬 때에 부르던 노래로서 이를 「수암동 논맴 소리」라고도 한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로는 「논맴 양산도」, 「실모 소리」, 「둘레 소리」, 「응호 소리」, 「몸돌 소리」, 「어럴럴럴 상사」, 「방아 소리」, 「얼카덩어리」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쌍계사에 있는 현왕도. 현왕도(現王圖)는 지옥에서 죽은 사람이 살아 있을 때 저지른 죄질(罪質)을 심판하는 염라왕을 그린 불화이다. 현왕여래(現王如來)란 명계(冥界)의 염라대왕과 같은 성격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바로 현왕탱화이다. 「쌍계사 현왕도」는 2002년 9월 16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세상 세상”으로 시작하는 아이 어르는 소리. 「세상 세상」은 노래의 주체가 성인이나 그 객체가 어린이인 동요이다. 이를 「아기 어르는 소리」라고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 시작하는 말이 세상세상, 달강달강, 들깡달깡, 들꿍들꿍, 알강달강 등 매우 다양하다. 1988년 6월 28일 안산시 본오동을 방문하여 주민 이인표[남, 63]로부터 채록하였는데, 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쌍계사에 있는 아미타회상도. 「아미타회상도(阿彌陀會上圖)」는 원래 서방정토를 관장하면서 중생들에게 무한한 안락과 수명을 보장해 주는 아미타불의 설법 장면을 그린 그림으로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에 근거한 불화이다. 「쌍계사 아미타회상도」는 쌍계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불화로, 현재는 불단에 가려 화면의 3/1밖에 볼 수 없다. 2002년 9월 16일 경...
-
조선 후기 김응조가 경기도 안산 지방관의 수석연을 기념하여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김응조(金應祖)[1587~1667]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 또는 아헌(啞軒)이다. 1623년 인조가 반정으로 즉위하자 문과에 응시하여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인조와 효종·현종 3대를 섬겼으며 벼슬은 공조참의에 그쳤으나 문장과 덕(德)이 훌륭한 영남 남인(南人)...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그물 속의 고기를 담을 때 부르던 어업노동요. 「바디질 소리」는 그물 속의 고기를 배 안으로 퍼 담을 때에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고기 퍼담는 소리」·「고기 퍼실는 소리」 라고도 한다. 고기를 퍼 담는 도구를 ‘바디’라고 하는데, 인천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을 때 고기를 퍼 담는 도구인 바디로 짠 그물주머니를 붙이는 데서 유래한 듯하다. 고기를 퍼 담는 같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논매는 작업을 할 때에 부르던 농업노동요. 「몸돌 소리」는 논매는 작업을 끝낼 즈음에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에염싸는 소리」라고도 한다. 논을 매는 것은 잡초를 제거하는 일이며, 여러 사람이 나란히 늘어서서 앞으로 나아가며 일을 한다. 그런데 논매기의 마무리는 중간에 있는 사람들은 그대로 서 있거나 속도를 늦추고, 양끝에 서 있는 사람들은 보다 서둘러 나아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던 상례의식요. 「행상 소리」는 장례일에 빈소로부터 장지까지 운구하며 상두꾼들이 발을 맞추기 위해 불렀던 소리이다. 이를 「운상 소리」·「상여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 지역의 「행상 소리」에는 한마디 소리와 반마디 소리, 짝패 소리, 어거리넘차 류, 비(非)넘차류 긴소리, 잦은 두마디 행상, 방아타령-A형[받음구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노래. 대부도(大阜島)는 안산시 대부동으로 편입되기 이전에는 옹진군 대부면에 속해 있던 큰 섬이다. 남양 쪽에서 대부도를 바라보면 섬 같지 않고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하여 대부도라고 불렀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는 「응호 소리」·「논지심매기」·「지심매기」·「논매기」 등으로도 불린다. 대부동동의 논맴 소리에는 「논맴 양산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모심기」는 지역에 따라 「모심는 소리」 또는 「이앙가(移秧歌)」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요이다. 안산 지역에서는 첫째, 잦은 열소리형, 둘째, 남부 경기도의 멕받형식인 ‘저기도 하나’형의 영향이 섞여 있는 형, 셋째, 나열형 등이 수집된다. 안산시의 「모심는 소리」를 녹음한 곳은 상록구의 본오동[이경매...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소리. 「모심는 소리」는 지역에 따라 「모심기 소리」 또는 「이앙가(移秧歌)」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요이다. 안산 지역에서는 첫째, 잦은 열소리형, 둘째, 남부 경기도의 멕받형식인 ‘저기도 하나’형의 영향이 섞여 있는 형, 셋째, 나열형 등이 수집된다. 안산시의 「모심는 소리」를 녹음한 곳은 상록구의 본오동[이경매...
-
조선 후기 강희영이 경기도 안산의 원당사에 올라 지은 오언절구 한시. 원당사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수리산에 있던 절로서 안산 사람들의 기도처로 유명한 곳이었으나 현재는 폐사되었다. 안산의 문인들이 자주 찾으며, 이곳을 소재로 지은 시도 여러 편 있는데, 「다시 원당사에 올라」도 그 중 하나이다. 강희영의 문집 『양산시고(諒山詩稿)』에 실려 있다. 양산(諒山) 강희영(姜羲永...
-
조선 후기 강흔이 경기도 안산의 안원사를 찾아가서 지은 오언율시의 한시. 「다시 안원사에서 놀며」는 삼당재(三當齋) 강흔(姜俒)[1739~1775]이 안원사를 다시 찾아가 보고 느낀 감회를 적은 한시이다. 빈(頻)·인(人)·친(親)·진(陳)을 차운한 오언율시로 그의 문집인 『삼당재고(三當齋稿)』 춘(春)권에 실려 있다. 강흔은 강세황의 둘째 아들로서 25세 때인 1763년(영조 3...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노래. 대부도(大阜島)는 안산시 대부동으로 편입되기 이전에는 옹진군 대부면에 속해 있던 큰 섬이다. 남양 쪽에서 대부도를 바라보면 섬 같지 않고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하여 대부도라고 불렀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는 「응호 소리」·「논지심매기」·「지심매기」·「논매기」 등으로도 불린다. 대부동동의 논맴 소리에는 「논맴 양산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지경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천병희 창과 같은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1989년 7월 29일 안산시 수암동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지경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천병희 창과 같은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1989년 7월 29일 안산시 수암동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안골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안골 지경닺는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이창문 창과 같은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를 부르고,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1989년 7...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삼천리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삼천리마을 지경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삼천리마을 지경 소리」와 같이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조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삼천리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삼천리마을 지경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삼천리마을 지경 소리」와 같이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조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안골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안골 지경닺는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이창문 창과 같은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를 부르고,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1989년 7...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건축노동요. 「지경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다지면서 여럿이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집터다짐 소리」·「터다짐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도에서는 천병희 창과 같은 지경류를 부르지만 경상도에서는 차류 또는 망깨류, 전라도에서는 상사류, 충청북도에서는 지점류를 부른다. 1989년 7월 29일 안산시 수암동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2동에서 활 쏠 때 부르는 회청소리. 「활쏘기」는 활터에서 활을 쏠 때 사원(射員)이 관중을 하면 축하해 주는 관례로 지화자를 불러주는 노래이다. 이를 「회청」·「호청」·「활쏘기 노래」·「과녁명중 축하 노래」라고도 한다. 임원진으로는 사두(射頭)·부사두·총무·감사가 있다. 편장이나 사두를 지낸 사람에게만 ‘의관’이란 명칭을 붙여 주고, 그 밖의 사람은 이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부르던 만선의 풍어 노래. 고기잡이 조업이 끝나면 어부들은 만선(滿船)을 표시하기 위해 배에다 봉기를 달고 배 위에서 풍물을 치며 흥겹게 노래를 하고 춤을 추었는데 이를 ‘배치기’라고 한다. 「배치기 소리」는 「풍어 노래」·「봉죽 노래」 등으로 불리며, 황해도 연안과 경기만 쪽이 그 본고장으로 보인다. 흥겹기 때문에 목포, 진도군의 조도, 소흑산도까지 전파되어...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부르던 만선의 풍어 노래. 고기잡이 조업이 끝나면 어부들은 만선(滿船)을 표시하기 위해 배에다 봉기를 달고 배 위에서 풍물을 치며 흥겹게 노래를 하고 춤을 추었는데 이를 ‘배치기’라고 한다. 「배치기 소리」는 「풍어 노래」·「봉죽 노래」 등으로 불리며, 황해도 연안과 경기만 쪽이 그 본고장으로 보인다. 흥겹기 때문에 목포, 진도군의 조도, 소흑산도까지 전파되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던 상례의식요. 「행상 소리」는 장례일에 빈소로부터 장지까지 운구하며 상두꾼들이 발을 맞추기 위해 불렀던 소리이다. 이를 「운상 소리」·「상여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 지역의 「행상 소리」에는 한마디 소리와 반마디 소리, 짝패 소리, 어거리넘차 류, 비(非)넘차류 긴소리, 잦은 두마디 행상, 방아타령-A형[받음구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풍도에서 어린이들이 반딧불이를 잡으며 부르던 소리. 「반디 노래」는 반딧불이를 잡으려고 반딧불이를 유혹하는 동요이다. 일반적으로 반디[개똥벌레] 노래는 잡으러 가면서 부르는 노래와 잡고 나서 가지고 놀며 부르는 노래로 대별된다. 풍도의 「반디 노래」는 전자에 속한다. 전자는 여기 물이 맑으니 이리로 오라고 유혹함과 같이 맑은 물을 소재로 하고 있고, 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2동에서 활 쏠 때 부르는 회청소리. 「활쏘기」는 활터에서 활을 쏠 때 사원(射員)이 관중을 하면 축하해 주는 관례로 지화자를 불러주는 노래이다. 이를 「회청」·「호청」·「활쏘기 노래」·「과녁명중 축하 노래」라고도 한다. 임원진으로는 사두(射頭)·부사두·총무·감사가 있다. 편장이나 사두를 지낸 사람에게만 ‘의관’이란 명칭을 붙여 주고, 그 밖의 사람은 이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노래. 대부도(大阜島)는 안산시 대부동으로 편입되기 이전에는 옹진군 대부면에 속해 있던 큰 섬이다. 남양 쪽에서 대부도를 바라보면 섬 같지 않고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하여 대부도라고 불렀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는 「응호 소리」·「논지심매기」·「지심매기」·「논매기」 등으로도 불린다. 대부동동의 논맴 소리에는 「논맴 양산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3동 능길마을에서 논매기를 할 때 부르던 노래. 「논맴 양산도」는 전라남도 화순군 방면이 문화 중심인 논맴 소리로, 일반 민요 「양산도」나 한강 이북 경기 지방의 「논김 양산도」 등과는 구별된다. 「논맴 양산도」는 남쪽 지방의 소리가 안산시까지 전파된 것이다. 화순형 「논맴 양산도」류가 전라북도 남원군 아영면,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에서도 수집된다. 경기도...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논매는 작업을 할 때에 부르던 농업노동요. 「몸돌 소리」는 논매는 작업을 끝낼 즈음에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에염싸는 소리」라고도 한다. 논을 매는 것은 잡초를 제거하는 일이며, 여러 사람이 나란히 늘어서서 앞으로 나아가며 일을 한다. 그런데 논매기의 마무리는 중간에 있는 사람들은 그대로 서 있거나 속도를 늦추고, 양끝에 서 있는 사람들은 보다 서둘러 나아가...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농업노동요. 안산 지역의 「논매는 소리」는 「논맴 소리」·「논지심 노래」 등으로 불린다. 여기에는 「논맴 양산도」·「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어럴럴럴 상사」·「방아 소리」·「얼카덩어리」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 등은 경기도 특수 지역의 소리이고, 「...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에서 논맬 때 부르던 소리.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의 「방아 소리」는 일반적으로 받음구에 ‘방아’라는 어휘를 가지나, 이른바 「방아 타령」의 유형과는 구별된다. 「방아 소리」·「방아 타령」에 대한 현장에서의 용어들을 살펴보면 제멋대로이고 혼란스럽다. 따라서 현 경기도 지역에서 필자가 채보한 169곡을 중심으로 분류하면, ①「방게 소리」, ②「방아 소리」,...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과 장하동에서 호미로 논맬 때 부르던 농업노동요. 「얼카덩어리」는 충청남도의 대표적인 「논맴 소리」로서, 받음구에 ‘얼카덩어리’류의 어휘를 보유하고 있다. 얼카덩어리 류는 충청남도 서부 지역인 서산·홍성·당진·예산 방면이 그 문화중심이다. 중심처에서는 호미로 논을 매면서 단순 잦은소리와 함께 느린 소리도 많이 불렀으나, 타군으로 전파되면서는 주로 군말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3동 능길마을에서 논매기를 할 때 부르던 노래. 「논맴 양산도」는 전라남도 화순군 방면이 문화 중심인 논맴 소리로, 일반 민요 「양산도」나 한강 이북 경기 지방의 「논김 양산도」 등과는 구별된다. 「논맴 양산도」는 남쪽 지방의 소리가 안산시까지 전파된 것이다. 화순형 「논맴 양산도」류가 전라북도 남원군 아영면,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에서도 수집된다. 경기도...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2동에서 활 쏠 때 부르는 회청소리. 「활쏘기」는 활터에서 활을 쏠 때 사원(射員)이 관중을 하면 축하해 주는 관례로 지화자를 불러주는 노래이다. 이를 「회청」·「호청」·「활쏘기 노래」·「과녁명중 축하 노래」라고도 한다. 임원진으로는 사두(射頭)·부사두·총무·감사가 있다. 편장이나 사두를 지낸 사람에게만 ‘의관’이란 명칭을 붙여 주고, 그 밖의 사람은 이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서 불리는 장례의식요. 「회방아 소리」는 시신을 땅에 묻은 뒤 관을 덮은 흙을 단단히 다지며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달구질 소리」·「회다짐 소리」·「회다지는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 지방의 「회방아 소리」는 종류가 다양함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긴달고 소리」와 「잦은달고 소리」 이외에도 「우야훨훨」·「회방아 타령」·「헤이리」·「상사 소리」 등을 부른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서 불리는 장례의식요. 「회방아 소리」는 시신을 땅에 묻은 뒤 관을 덮은 흙을 단단히 다지며 부르는 노래이다. 이를 「달구질 소리」·「회다짐 소리」·「회다지는 소리」라고도 한다. 경기 지방의 「회방아 소리」는 종류가 다양함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긴달고 소리」와 「잦은달고 소리」 이외에도 「우야훨훨」·「회방아 타령」·「헤이리」·「상사 소리」 등을 부른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2동에서 활 쏠 때 부르는 회청소리. 「활쏘기」는 활터에서 활을 쏠 때 사원(射員)이 관중을 하면 축하해 주는 관례로 지화자를 불러주는 노래이다. 이를 「회청」·「호청」·「활쏘기 노래」·「과녁명중 축하 노래」라고도 한다. 임원진으로는 사두(射頭)·부사두·총무·감사가 있다. 편장이나 사두를 지낸 사람에게만 ‘의관’이란 명칭을 붙여 주고, 그 밖의 사람은 이름...
-
조선 후기 경기도 안산에서 활동한 이익의 시문집. 이익(李瀷)[1681~1763]이 죽은 지 11년 뒤인 1774년(영조 50) 조카 이병휴(李秉休) 등에 의해 필사본으로 초고 편집이 일단 70권 규모로 완성되었다. 1795년 채제공에 의해 목판본 간행을 추진한다는 통문까지 돌렸으나 간행되지는 못하였고, 이후 42년 뒤인 1827년에 안정복의 문인 황덕길(黃德吉)과 이익의 증손 이...
-
안산향토사연구소에서는 2008년 8월 19일과 20일에 걸쳐 풍도를 방문하여 향토사 연구 및 자료 조사 활동을 벌였는데, 그때 이곳 토박이 고상호 [76세] 옹이 선대로부터 물려받아 소장하고 있던 고문서들을 열람, 조사할 수 있었다. 고상호가 고문서들은 연대별로 기록되거나 작성된 것들이어서 남양부, 수원부, 부천부 등으로 여러 차례 관할구역이 변동되었던 대부도와 풍도의...
-
경기도 안산시에서 지역 및 농촌 발전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회단체. 4-H는 1914년에 미국에서 처음 조직되었으며 지식[head]·덕성[heart]·근로[hand]·건강[health]을 상징하는 네 영어 단어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들어진 명칭이다. 1920년 무렵에는 유럽 각국에서도 조직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아시아 각국에서도 조직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한국의 경우 1...
-
경기도 안산시에서 지역 및 농촌 발전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회단체. 4-H는 1914년에 미국에서 처음 조직되었으며 지식[head]·덕성[heart]·근로[hand]·건강[health]을 상징하는 네 영어 단어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들어진 명칭이다. 1920년 무렵에는 유럽 각국에서도 조직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아시아 각국에서도 조직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한국의 경우 1...
-
풍도에는 마을을 상징하는 은행나무가 두 그루 있다. 2003년 6월 16일 안산시 보호수 제22호와 제23호로 지정된 두 그루 은행나무는 마을 뒷산인 후망산 중턱에 자리잡고 서서 마을 해안을 바라보고 있다. 수령 5~6백 년으로 추정되는 이 은행나무들은 661년 나당연합군의 장수로 왔던 소정방(蘇定方)이 귀국하던 도중 풍도의 풍광에 반하여 한 달 동안 머물며 심어 놓았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내셔널리그 소속 축구단. 안산할렐루야축구단은 축구를 통하여 한국 축구 발전과 경기도 안산시의 체육 및 축구 발전에 기여하고, 유소년과 지도자를 양성하며, 축구의 저변 확대와 체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안산할렐루야축구단은 1980년 12월 20일 프로 축구단으로 창단되었다. 1986년 재정 문제로 실업팀으로 전환하였다. 1998년 국제통화...
-
경기도 안산시에서 매년 가을 개최했던 과학기술 박람회. 안산시는 2000년 국내외 신기술과 신제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안산신기술산업박람회를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개최한 이래로, 매년 한 차례씩 제품의 전시·판매와 행사 위주로 단원전시관에서 개최하였다. 2008년에는 국책연구기관, 민간연구기관, 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참여하는 안산테크노페스티벌[ATF]로 명칭이 변경되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었던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기 제조업체. (주)에이티티는 풍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기를 개발하여 친환경적이면서 고효율 에너지 사업을 전문적으로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4월 1일 (주)에이티티로 설립되었다. 2007년에는 인천 부평에 공장을 설립하여 제품생산을 시작하였다. 2008년 6월 경기테크노파크에 입주하였고, 그해 9월 풍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있었던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기 제조업체. (주)에이티티는 풍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기를 개발하여 친환경적이면서 고효율 에너지 사업을 전문적으로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4월 1일 (주)에이티티로 설립되었다. 2007년에는 인천 부평에 공장을 설립하여 제품생산을 시작하였다. 2008년 6월 경기테크노파크에 입주하였고, 그해 9월 풍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페인트 제조업체. (주)노루케미칼은 특화된 기능성 페인트·도료 및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5년 12월 대한오브세트잉크로 설립되었다. 1989년 7월주식회사켐코를 설립하고, 같은 해 10월 반월공업단지에 생산공장을 준공하였다. 1993년 3월 시화공업단지 내에 본사·공장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95년 4월 켐코페인트...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는 페인트 제조업체. (주)노루케미칼은 특화된 기능성 페인트·도료 및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5년 12월 대한오브세트잉크로 설립되었다. 1989년 7월주식회사켐코를 설립하고, 같은 해 10월 반월공업단지에 생산공장을 준공하였다. 1993년 3월 시화공업단지 내에 본사·공장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95년 4월 켐코페인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최고화질의 3D 모니터 및 TV 제조업체. (주)에프엠디는 세계최초로 FPR방식의 LCD 3D 모니터를 생산한 회사로서, 여러 개의 3D 관련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한 3D 관련 원천 기술의 확보를 통하여 최첨단 디스플레이 영상기술 개발과 새로운 영상 기술문화 제공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3월 6일 (주)애드뷰로 설립되어 2007년 3월...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산업기술단지. 경기테크노파크는 기업·대학·연구소 등의 인적·물적 자원을 일정한 장소에 집적시키고 연구 개발, 창업 보육, 인력 양성, 정보 교류, 시험 생산 지원 등 복합적인 기업 지원 서비스를 통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쟁력을 높일 목적으로 조성된 토지·건물·시설의 집합체이다. 경기 지역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지역...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케이블 제조업체. 일광전자재료는 품질·환경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사전적이며 예방적인 활동을 수립하며, 품질 향상과 생산량 증가를 위해 노력하고, 확실한 판매망 구축 및 신제품 개발 지원 확대를 통하여 전자통신 부품용 리드와이어와 알루미늄와이어, 통신케이블선재 분야에 앞장서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3년 삼아전자재료로 설립되었다가 1995년 일광...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철강 제조업체. (주)아이에스스틸은 냉간압연강판·산세강판·용융아연도금강판·전기아연도금강판·철강 등을 가공·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1년 4월 14일 익산철강(주)로 설립되었다. 1989년 무역업 허가를 받았다. 1995년 전라북도 김제공장을 설립하였다. 2002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연합철강공업(주) 경인 지역 코일센터를 설립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직물 및 편조원단 염색가공 전문 제조업체. 케이엠에프는 국내 섬유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고부가가치 섬유소재인 환편물[circulaknit]의 개발 등 자연섬유, 화학섬유 직물 등의 염색가공 기술 개발 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꾸준한 신기술을 개발을 통하여 환편물의 감량, 염색, 기모, shearing, sanding 공정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 있었던 교육부 직속 특수교육 관련 기관. 국립특수교육원은 한국 특수교육의 중추 기관으로서 특수교육에 관한 실험·연구, 특수교육 학습 자료의 개발·보급, 특수교육 담당 교원의 연수, 특수교육 정보 제공 등의 과제를 수행하여 장애 학생에게도 적절한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4년 5월 16일 대통령령 제14264호로 국립특수교육원 설립 인...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에 있는 천연 가스 산업의 기초 기술 및 이용 기술 개발 연구 기관.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은 「한국가스공사법」에 의거하여 천연 가스 및 에너지 관련 연구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자 설립되었다. 1988년 12월 기업 부설 연구소로 과학기술처로부터 인가를 받았고, 1990년 5월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으로 개원하였다. 1999년 10월 국가 지정 연구실[배관연구센...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었던 해양 과학기술 연구 개발 기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종합적인 해양 개발 정책 수립 및 추진을 위한 해양 자원 개발, 해양 환경 보전, 해양 오염 방지 등 해양 과학기술 증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73년 10월 30일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부설 해양개발연구소로 설립되었고, 1981년 1월 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부설 해양연구소로 개...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연구소.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산업기술 향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으로 지난 40여 년간 시험평가 기술개발 및 국제 품질인증 획득 지원을 해왔으며, 산업 현장에 필요한 각종 기술 지원 업무에 주력하여 종합 시험인증기관으로 발전해 왔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안산시험연구센터는 기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있는 수도권 대기 환경 관리 및 조사·분석 기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수도권의 대기 환경 관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집행하고, 자동차 산업 및 대기 배출량 등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여 환경 개선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설립되었다. 2002년 4월 수도권 대기질 개선 추진 기획단이 발족하였고, 같은 해 7월 수도권 대기질 개선 특별 대책[...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주방용품 제조업체. PN풍년은 주방용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4년 5월 1일 세광알미늄공업사로 설립하여 1973년 세광알미늄공업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87년 반월사택 및 반월공장을 준공하고, 세광알미늄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같은 해 본사 및 공장을 반월공장으로 이전 완료하여 가동하였다. 2004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주방용품 제조업체. PN풍년은 주방용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4년 5월 1일 세광알미늄공업사로 설립하여 1973년 세광알미늄공업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87년 반월사택 및 반월공장을 준공하고, 세광알미늄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같은 해 본사 및 공장을 반월공장으로 이전 완료하여 가동하였다. 2004년...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에스앤에스금속(주)은 자동차 부품과 산업용 부품·선박 부품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8년 서흥실업(주)로 설립되었다. 1979년 고려특수밸브공업(주)를 설립하였다. 1984년 (주)서흥금속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 법인 분할에 의거하여 서흥단조공업(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500t 단조 프레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에스앤에스금속(주)은 자동차 부품과 산업용 부품·선박 부품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8년 서흥실업(주)로 설립되었다. 1979년 고려특수밸브공업(주)를 설립하였다. 1984년 (주)서흥금속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 법인 분할에 의거하여 서흥단조공업(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500t 단조 프레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있는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안산캠퍼스.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318-18[통일로37길 60]에 본교를 두고 있고, 안산캠퍼스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 715-5에 있다.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는 1997년 2월 사이버서울문예대학으로 개교하였다. 2001년 11월 4년제 정규 학사학위 과정 인정을 받아, 2002년 3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벨로스 제조업체. (주)에스제이엠은 자동차·플랜트·건축 부문에 사용되는 고품질의 벨로스(Bellows)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3월 31일 성진기공(주)로 설립되었다. 1979년 11월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1989년 9월 일본 칼소닉(Calsonic)사와 합작 법인을 설립하였다. 1991년 8월에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는 벨로스 제조업체. (주)에스제이엠은 자동차·플랜트·건축 부문에 사용되는 고품질의 벨로스(Bellows)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3월 31일 성진기공(주)로 설립되었다. 1979년 11월 반월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1989년 9월 일본 칼소닉(Calsonic)사와 합작 법인을 설립하였다. 1991년 8월에는...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반도체 검사장비용 PCB 제조업체. 에스엠전자(주)는 반도체 검사장비용 PCB·저유전율보드[Impedance Board, Hi-Tg Board]·고다층 PCB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9월 2일 주양엔지니어링으로 설립되었다. 1996년 10월 외층제조라인을 증설하였고, 1999년 9월 반월공업단지로 공장을 이전하였다. 200...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있는 반도체 검사장비용 PCB 제조업체. 에스엠전자(주)는 반도체 검사장비용 PCB·저유전율보드[Impedance Board, Hi-Tg Board]·고다층 PCB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2년 9월 2일 주양엔지니어링으로 설립되었다. 1996년 10월 외층제조라인을 증설하였고, 1999년 9월 반월공업단지로 공장을 이전하였다. 200...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었던 도료 관련 제조업체. 에스에스씨피(주)는 모바일용 페인트·자동차용 페인트·전자/가전용 페인트·FA용 페인트와 잉크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3년 5월 삼성화학공업(주)로 설립되었다. 1985년 7월 삼성화학페인트(주)를 설립하였으며, 1987년 제1 R&D센터를 설립하였다. 1996년 제2 R&D센터를 설립하였다. 1999년 1...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에 있었던 도료 관련 제조업체. 에스에스씨피(주)는 모바일용 페인트·자동차용 페인트·전자/가전용 페인트·FA용 페인트와 잉크를 제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3년 5월 삼성화학공업(주)로 설립되었다. 1985년 7월 삼성화학페인트(주)를 설립하였으며, 1987년 제1 R&D센터를 설립하였다. 1996년 제2 R&D센터를 설립하였다. 1999년 1...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도로 전광 표지 제조업체. (주)에스티씨네트웍스는 최첨단 멀티미디어 영상 기술을 응용한 항공기 운항 정보 시스템, 고속도로 정보 표지판,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 등을 연구·개발 및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6월 1일 (주)비츠로테크놀로지로 설립되었다가 2002년 1월 (주)에스티씨로 법인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 4월 본사 및 연...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던 도로 전광 표지 제조업체. (주)에스티씨네트웍스는 최첨단 멀티미디어 영상 기술을 응용한 항공기 운항 정보 시스템, 고속도로 정보 표지판,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 등을 연구·개발 및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1년 6월 1일 (주)비츠로테크놀로지로 설립되었다가 2002년 1월 (주)에스티씨로 법인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 4월 본사 및 연...
-
화정동 519번지에 들어서 있는 화정영어마을은 안산시에서 정책적으로 세운 영어 교육기관으로, 원래 화정초등학교가 있던 자리에 세워졌다. 안산화정영어마을이 건립된 경위를 간략하게 살펴보자. 2004년 5월 안산시는 (구)화정초등학교 폐교에 대한 무상 임대 계약을 체결하고 10월에 영어 마을 조성 및 운영 계획을 보고하였다. 이후 2005년 10월 리모델링 공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