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0406
한자 大阜別抄
영어음역 Daebubeolcho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대부남동|대부북동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여성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연도/일시 고려 후기
시행연도/일시 고려 후기
폐지연도/일시 고려 후기

[정의]

고려 후기 대부도에서 조직된 별초군.

[개설]

별초란 반란이나 전쟁 등 비상시 정규군을 대신해 특별히 가려 뽑은 군대를 가리킨다. 별초에 관한 기록으로는 1174년(명종 4) 조위총(趙位寵)의 반란을 토벌할 때 전봉별초(前鋒別抄)가 결성되었으며, 1202년(신종 5) 경주별초군이 난을 일으켰다는 자료가 남아 있다. 또한 1216년(고종 3) 거란 침입을 막을 때 별초군 100여 명이 파견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제정경위 및 목적]

무신의 난 이후 국가의 공병(公兵)이 약화되자 별초군이 크게 발달하였다. 특히 몽골과 전쟁을 수행할 때는 각 지방에서 별초군이 조직되었는데, 일반 농민들을 대상으로 조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지역 지리와 사정에 밝았기 때문에 결사대 및 선봉대 구실을 하면서 많은 공을 세웠다.

대부도에서 발견된 육곡 고려 고분군을 통해 당시 안산만 주변에 해상 세력이 있었고, 이들은 중국과 해상을 통해 활발한 교류를 한 상인 집단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볼 때, 안산 지역이 군사적 요충지 기능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상업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난 지역으로 몽골군의 주요 주둔지이었을 가능성도 추정된다. 대부별초는 조직이나 규모 등에 대해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없으나, 대부도의 주민들이 몽골군과 맞서기 위하여 조직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1256년(고종 43) 4월 대부별초군이 인주(仁州)[현 인천광역시] 근처의 소래산[299m] 아래에서 몽골군 100여 명을 격파하였다. 또한 개경에서 몽골에 대항하는 봉기 소식이 전해지자 대부도 주민들도 궐기하여 몽골인 6명을 살해하였다.

[의의와 평가]

소래산은 현재 경기도 시흥시와 인천광역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소래산 아래에서 몽골군 100여 명을 패퇴시켰다는 사실로 보아 그들이 몽골의 주력 부대가 아닐지라도 대부별초가 외적의 침략에 끝까지 저항하였음을 보여 준다. 안산시에 대몽항쟁 유적으로 별망성(別望城) 터가 있고, 삼별초를 이끈 김통정(金通精)의 설화가 전하는 사실을 볼 때 대부별초가 삼별초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