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500462 |
---|---|
한자 | 別望城址 |
영어공식명칭 | Byeolmangseongji |
영어의미역 | The Site of Byeolmangseong Fortress |
이칭/별칭 | 별망성 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656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신대광 |
성격 | 성지(城址) |
---|---|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 조선 전기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656
![]() |
소유자 | 국유 |
문화재 지정번호 | 경기도 기념물 제73호 |
문화재 지정일 | 1979년 9월 3일![]() |
[정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조선 전기 산성.
[개설]
별망성은 경기도 안산 지역의 해안 방어를 위하여 돌로 쌓은 산성이다. 바다에 인접해 해발 49m, 65.9m인 야산의 능선을 연결하여 석축을 쌓고 성벽을 해안까지 연접시켜 선박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해안 평산성(平山城)이다. 수군만호가 주둔하던 영(營)이지만 육상 전투까지 대비하여 배후의 산 능선까지 연결하여 비교적 큰 규모로 축조되었다. 조선 초기 남양만을 거쳐 해안으로 침입하는 왜적이 증가하자 해안 지역에 만호부를 설치하였다는 기록과 연관하여 별망성의 기능을 짐작할 수 있다.
[변천]
별망성은 조선 전기에 축조되었다. 처음에는 수군만호영(水軍萬戶營)이 있었으나 갯벌이 밀려 나가 배가 다닐 수 없게 되자, 인천의 영종포영(永宗浦營)으로 옮겼다. 이후 선박의 출입이 가능해지자 다시 경기도 안산 지역으로 옮겼다는 기록이 있다.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성벽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가 1988년에 길이 225m, 높이 1.45m, 상부 폭 2.4m, 하부 폭 10m 정도로 복원하였다.
[위치]
안산공과대학에서 해안로로 향하는 둔배미길을 가다가 좌회전하여 해안로를 따라가면 반월열병합발전소가 나오는데, 별망성지는 반월열병합발전소 맞은편 반월공단 내에 위치한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1942년 발간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의하면 원래 별망성지의 높이는 1.2m~2.1m, 둘레는 1,040m였다고 한다.
[현황]
별망성지는 1979년 9월 3일 경기도 기념물 제73호로 지정되었다. 2009년 현재 소유자는 국가이고, 관리자는 안산시이다. 해마다 안산에서는 별망성예술제를 개최하여 산신제를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