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문반직과 무반직에 임용된 전라북도 군산 지역 출신 관인 및 과거 합격자. 고려와 조선의 관료들은 문반 관료와 무반 관료로 나뉜다. 조선 시대에는 문반 관료와 무반 관료를 선발하는 각각의 과거(科擧) 시험이 실시되었으나, 고려 시대에는 무반 관료를 선발하는 과거(科擧) 시험은 거의 실시되지 않았다. 과거(科擧)가 아닌 취재(取才)만 실시되었을 뿐이다...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관. 강몽허(姜夢虛)는 군산 지역[옛 옥구현] 대성(大姓)인 진주 강씨 호부사공파 출신으로,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임진왜란 때 수문장으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후 선무 원종 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녹훈(錄勳)되었다. 강몽허는 진주 강씨 시조 강민첨(姜民瞻)의 13세손이고, 어사공...
-
조선 전기 군산[옛 옥구현] 지역 출신의 무관. 강응주는 조선 시대 옥구현에 세거한 진주 강씨 호부사공파 출신으로,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세조 대에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봉되었다, 문종의 비 복위를 청하는 남효온의 주장을 상소를 올려 거들었고, 왜구 및 여진족을 정벌하는 데에도 공을 세웠다. 해주 판관을 지낼 때 어려운 백성을 구휼하여 청...
-
조선 전기 군산 지역[옛 옥구현]출신의 무관. 강진문(姜進文)은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대성(大姓)인 진주 강씨 호부사공파(戶部事公派) 출신이다.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당시 공을 세워 호성 원종 공신(扈聖原從功臣)에 책봉되었으며, 옥산 서원에 배향되었다. 강진문(姜進文)의 본관은 진주이고, 자(字)는 국보(國輔)이며, 호는 죽헌(竹軒)...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관. 강진백(姜進伯)은 조선 시대 군산 지역 출신 무관이며, 옥구의 대성(大姓)인 진주 강씨 호부사공파(戶部事公派) 출신이다.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때에 만호로 있으면서 금구에서 일본군을 물리쳤으며, 이괄의 난을 평정한 공을 세우고 순절하였다.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 1등에 녹훈(錄勳)되었고, 옥산 서원에 배향...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신. 고산수(高山壽)는 군산에 세거한 제주 고씨 문충공파 참의공파 출신으로 1584년(선조 17) 별시 무과에 급제하였고, 북부 주부를 지낸 무인 관료였다. 고산수(高山壽)의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자(字)는 대립(大立) 또는 대견(太堅)이다. 아버지는 무과에 급제하고 어모장군을 지낸 사무(士武), 할아버지는 무과...
-
고려 후기 군산[옛 옥구현] 지역 출신의 문관. 고용현(高用賢)은 군산에 세거한 제주 고씨 출신으로, 고려 원 간섭 시기의 문인 관료이면서 학자였다. 문과에 급제한 이후, 한림시 독학사 등 주요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략으로부터 국가의 창고를 지키기 위해 해변에서 육지로 옮기는 정책을 실시하였고, 말년에는 고향인 전라북도 군산시 옥산면 당북리 한림동으로 내려...
-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활동한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문신. 고의충(高義忠)은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 까지 활동한 군신 출신 문인 관료로서 사온서 직장, 참의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시대 옥구에 세거한 제주 고씨 문충공파 참의공파의 파시조이다. 고의충의 자(字)는 원신(元藎)이다. 제주 고씨 옥구 입향조 고돈겸(高惇謙)의 9세손이며....
-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활동한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 문신. 고인충(高仁忠)은 고려 후기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직, 평장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성계가 조선을 개창하자 고향 옥구로 내려왔다가, 다시 처가(妻家)가 있는 완주군 고산으로 이주하여 생애를 마쳤다. 그러나 현손 고덕령이 다시 고산에서 임피로 입거하여 그 후손들이 임피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며 거...
-
조선 후기 군산 지역 출신의 문신. 구종록(具鍾祿)은 임피에 거주하면서 1835년(헌종 1)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이후 보령 군수, 대사간, 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보령 군수 재직 시 선정을 베풀었다. 구종록의 본관은 능성이다. 자(字)는 덕노(德老)이고, 호(號)는 옥호(玉湖)이다. 『문음진신보(文蔭縉紳譜)』와 『진신팔세보(縉紳八世譜)』에 아버지는...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신. 김여함(金汝諴)은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에 세거한 김해 김씨 장사군파(長沙君派)[무장 김씨] 출신으로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 판관을 지냈다. 정유재란 때에 노량 해전에서 이순신과 함께 일본군과 싸우다가 적의 화살에 맞고 전사하였다. 이후 선무 원종 공신에 녹훈(錄勳)되었다. 김여함은 김해 김씨 시조...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관. 김완(金浣)은 조선 시대 옥구현에 세거한 경주 김씨 참의공파 출신으로, 1594년(선조 27) 무과에 급제하였고, 훈련원 봉사, 광흥창 주부 등을 지냈으며, 정유재란 때 일본군과 싸워 공을 세웠고, 1596년 이몽학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워 청난원종공신(淸難原從功臣) 1등에 녹훈(錄勳)되었다....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문관. 김우추(金遇秋)는 옥구에 세거한 고성 김씨 초당공파 출신으로 1699년(숙종 25)에 식년시 생원시 합격하였고, 1705년(숙종 31)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성균박사, 육조 좌랑, 이조 정랑, 춘추관 기주관, 동부 승지, 홍문관 교리, 구례 현감, 평해 군수, 순천 부사 등을 지냈다. 김우추(金遇秋)의...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 무신. 김이태(金以泰)는 군산에 세거한 개성 김씨 쌍봉리파 출신의 무과 급제자이자 무인이다. 김이태는 개성 김씨 시조 김용주(金龍珠)의 15세손이고, 개성 김씨 쌍봉리파 옥구 입향조 김윤신(金允信)의 7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판관을 지낸 김일덕(金一德)이고, 할아버지는 무과에 급제한 김운(金雲)이며, 아버지는 무과에 급...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관. 김천록(金天祿)은 옥구에 세거한 김해 김씨 장사공파[무장 김씨] 출신으로 해주 판관을 지냈으며, 남원성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죽은 뒤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김천록의 자(字)는 천수(天壽)이며, 초휘(初諱)는 효침(孝忱)이며, 호(號)는 난수제(蘭秀齊)이다. 김해 김씨...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관. 김확(金鑊)은 조선 시대 군산에 세거한 경주 김씨 참의공파 출신으로, 1676년(숙종 2)에 무과에 급제하고 용양위 부사과를 지냈다. 김확의 본관은 경주이고, 자(字)는 여기(汝器)이다. 군산 지역[옛 옥구현]에 세거한 경주 김씨 참의공파 입향조 김생수(金生水)의 9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충순위(忠順衛) 어모...
-
고려 후기 군산도 출신의 무신. 김희제는 고려 고종 때의 무인으로 군산도 출신이나 조상을 따라 개성으로 이주하여 적을 옮겼다. 『고려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그의 관직 생활은 3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개성으로 이주한 지 오래지 않아 낮은 관직인 산원(散員)에서 시작해 충청도 안찰사(按察使)까지 직책이 상승한 시기다. 이때 청백하다는 평판을 받으며 장군으로 전임...
-
조선 전기 군산[옛 옥구현] 지역 출신의 무관. 두사순은 군산 지역에 세거한 두릉 두씨 가문 출신으로 비인 현감과 강령 현감으로 있을 때에 선정을 베풀어 고을 백성들로부터 칭찬이 자자하였다. 두사순(杜思順)은 두릉 두씨 시조 두경령(杜慶寧)의 14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군산에 세거한 두릉 두씨 옥구 입향조 두승손(杜承孫)이며, 할아버지는 효행으로 세상에 널리...
-
조선 시대 군산[옛 옥구현] 지역 출신의 무관. 두정란(杜廷蘭)은 조선 시대 군산 지역에 세거한 두릉 두씨 가문 출신으로 임진왜란 직전에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로 있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나라를 지킴에 충정을 다하였으며, 조헌과 함께 금산(錦山)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두정란은 조선 시대 옥구현에 세거한 두릉 두씨 가문 출신으로, 두릉 두씨 시조 두...
-
조선 시대 군산[옛 옥구현] 지역 출신의 무관. 두정협(杜廷莢)은 군산 지역에 세거한 두릉 두씨 가문 출신으로, 부장(副將)으로 있을 때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일본군에 맞서 힘껏 싸웠다. 1592년 8월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가 이끄는 일본군에 점령당한 금산성(錦山城)을 탈환하기 위해 싸우다가 의병장 조헌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두정협의 호(號)는 수...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관. 문계명(文繼明)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남도 순천에서 병마사 안위와 같이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문계명의 자(字)는 광희(光熙)이다. 남평 문씨 시조 문다성(文多省)의 32세손이고, 옥구 입향조 문헌(文獻)의 7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선교랑 직장을 지낸 문상(文祥)이고, 할아버지는 봉사(奉事)를 지낸...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문신. 문승사(文承泗)는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에 세거한 남평 문씨 시중 공파 출신으로 1570년(선조 3) 식년시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573년(선조 6)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관직은 성균관 학유, 이조 정랑 등을 지냈다. 문승사의 본관은 개령(開寧)이고, 자(字)는 성원(聖源)이다. 남평 문씨 시조...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문관. 문승수(文承洙)는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에 세거한 남평 문씨 시중공파 출신으로 1570년(선조 3) 식년시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573년(선조 6)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문과 급제 이후 학유, 이조 정랑 등을 지냈다. 문승수의 본관은 개녕(開寧)[남평 문씨 분파]이고, 자(字)는 덕원(德源)이다...
-
조선 전기 군산[옛 옥구현] 지역 출신의 문관. 반석평(潘碩枰)은 옥산면에서 나고 자랐으며, 아버지가 사망하자 어머니를 따라 서울로 올라가 열심히 공부하여,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이어서 1507년(중종 2)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예조 참판, 성절사, 공조 참판, 병마 절도사, 팔도 관찰사, 형조 참판, 한성 판윤, 경연 특진관,...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임피현] 출신의 문관. 양권(梁權)은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임피현]에 세거한 남원 양씨 이조판서공파 출신으로, 1401년(태종 1)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이후 홍문관 교리, 이조 판서, 홍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양권은 남원 양씨 용성군파 시조 태자 중윤을 지낸 양주운(梁朱雲)의 8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태자 정을 지낸...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관. 오경상(吳景祥)은 옛 옥구현에 세거한 장흥 오씨 한성 판윤공파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에 일본군과 싸워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 전쟁 이후 공을 인정받아 선무원종공신 2등에 책봉되었다. 오경상은 장흥 오씨 시조이며 고려 고종 때에 몽골족을 토벌한 공로로 장흥군에 봉군된 오현필(吳賢弼)의 17세손이고, 함양 오씨 시...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문관. 오적(吳勣)은 군산 지역[옛 옥구현]에 세거한 장흥 오씨 한성 판윤공파 출신으로, 1681년(숙종 7)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창악 찰방, 울진 현감, 문천 군수, 기사관, 동궁 훈도 등을 지냈다. 오적은 장흥 오씨 시조이며, 고려 고종 때에 몽골과 전쟁에서 전공을 세워 공로로 장흥군에 봉군된 오현필(吳賢弼)...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문관이자 학자. 이세현(李世賢)은 군산 지역에 세거한 경주 이씨 상서공파 출신으로 1681년(숙종 7) 식년시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691년(숙종 17)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예조 좌랑을 지냈고, 율곡 이이와 성혼을 문묘에 모실 것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상소문 등 유고가 남아 있다. 이세현의 본...
-
조선 전기 군산 지역[옛 임피현] 출신의 문신. 이식(李湜)은 옛 임피현에 거주하면서 1447년(세조 29) 식년시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이후 선무랑으로 있으면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관직은 수원 부사와 사간원 헌납을 지냈다. 이식(李湜)은 전의 이씨 시조 이도(李棹)의 13세손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정용위 낭장(精勇衛郎將)을 지낸...
-
고려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 문관이자 옥구 임씨의 시조. 임개(林槩)는 옥구 임씨 시조이고, 옥구 출신이다.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하였으며, 고려 시대 순종, 선종, 헌종, 숙종, 예종 등 다섯 임금 재위 기간에 대신을 역임하였다. 『동국 여지 승람(東國與地勝覽)』 옥구현 상신(相臣) 조에 수록되어 있다. 임개의 후손들은 고려 시대 옥구에 세거하였는데, 조선 시...
-
고려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문관. 임유문(林有文)은 본관이 옥구이고, 옥구 출신이다. 고려 헌종 때에 관직에 진출하여 헌종, 숙종, 예종, 인종 등 네 임금을 섬겼으며, 관직이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이르렀다.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옥구현 상신(相臣) 조(條)에 수록되어 있다. 옥구 임씨의 시조이며,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낸 임개(...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관. 전언룡(田彦龍)은 군산에 세거한 담양 전씨 참판공파 참의공파 출신으로 무과에 급제한 이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수문장으로써 일본군과 맞서 싸워 여러 차례 공을 세웠고. 이후 그 공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3등에 녹훈되었다. 전언룡은 담양 전씨 시조 전득시(田得時)의 12세손이고, 야은(野隱) 전록생(田祿生)...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무신. 전영방(田永方)은 담양 전씨 옥구 입향조 전윤평(田允平)의 현손으로, 1594년(선조 27)에 무과에 응시하여 급제하였으며, 이후 수문장이 되어 정유재란 때에 일본군과 맞서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이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었고, 옥산 서원에 배향(配享)되었다. 전영방은 담양 전씨 시조 전득시(田得時)...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임피현] 출신의 문관. 채겸길(蔡謙吉)은 임피에 세거한 평강 채씨 소감공파 출신으로, 1612년(광해 4) 증광시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616년(광해 8)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에는 통훈대부(通訓大夫)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知製敎兼經筵試讀官), 춘추관 기주관(春秋館 記注官) 등을...
-
조선 시대 군산 지역[옛 임피현] 출신의 무관. 최산립(崔山立)은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崔致遠)의 18세손이고, 경주 최씨 임피 입향조이자 이조좌랑을 지낸 최근운(崔墐雲)의 7세손이다. 증조 할아버지는 경흥 진관 조산포 병마 만호, 평안도 병마 우후 등을 지낸 최한정(崔漢禎)이고, 할아버지는 최냉(崔冷)이며, 아버지는 최문상(崔文尙)이다. 외할아버지는 윤홍(尹泓)[본관...
-
조선 전기 군산[옛 임피현] 지역 출신의 무관. 최상은 옛 임피현에 세거한 경주 최씨 가계 출신으로, 1583년(선조 16) 별시 무과에 급제하였고, 조산 첨사를 지냈다. 최상(崔湘)의 자(字)는 청원(淸源)이다.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崔致遠)의 16세손이고, 경주 최씨 임피 입향조이자 이조 좌랑을 지낸 최근운(崔墐雲)의 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증직으로 통...
-
조선 시대 군산[옛 임피현] 지역 출신의 무관. 최충검(崔忠儉)은 조선 시대 임피현에 세거한 경주 최씨 가계 출신으로, 1583년(선조 16) 별시 무과에 급제하였고, 이후 관직이 밀양 부사에 이르렀다. 최충검(崔忠儉)의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字)는 군실(君實) 또는 도정(道正)이다.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崔致遠)의 17세손이고, 경주 최씨 임피 입향...
-
조선 전기 군산[옛 임피현] 지역 출신의 무관. 임피현에 세거한 경주 최씨 출신인 최호(崔湖)는 1574년(선조 7)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2년 후인 1576년(선조 9) 무과 중시에서는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무관직을 거친 뒤에 임진왜란이 일어난 해에는 함경도 병마 절도사와 충청도 수군절도사가 되었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여 청난공신 2등에 책봉되었다. 정유재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