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옥동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30001
한자 玉洞琴
이칭/별칭 군자금(君子琴)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미술과 공예
지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호로 131 성호박물관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영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가 생년 시기/일시 1662년연표보기 - 이서 출생
작가 몰년 시기/일시 1723년연표보기 - 이서 사망
창작 시기/일시 18세기 초 - 이서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10월 22일연표보기 - 옥동금 국가민속문화재 제28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옥동금 국가민속문화재 재지정
소장처 성호박물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호로 131
성격 악기
양식 전통 거문고, 길이 175cm, 높이 26cm
작가 옥동(玉洞) 이서(李漵)[1662~1723]
재질 오동나무
소유자 안산시
관리자 성호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정의]

옥동(玉洞) 이서(李漵)가 연주하던 18세기에 제작된 거문고.

[개설]

이서(李漵)[1662~1723년]는 성호(星湖) 이익(李瀷)[1681~1763년]의 셋째 형이다. 그가 연주하던 거문고로 여주이씨(驪州李氏) 문중에 전해지다가 2011년 안산시에 기증되어 경기도 안산시 성호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14년 10월 22일 국가민속문화재 제28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옥동금 은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붙여 길이 175cm, 높이 23cm의 장방형으로 제작되었다. 현재 거문고 앞판의 6개의 현(絃)과 함께 봉미(鳳尾)·부들·학슬(鶴膝)·안족(雁足)·귀루(鬼淚)·십육괘(十六棵)·현침(絃枕)·좌단(坐團)이 전반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다.

[내용]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1855~1907년]의 문집인 『수당집(修堂集)』 권1 「군자금가(君子琴歌)」에 의하면, 옥동금은 금강산 만폭동의 벼락 맞은 오동나무로 장인(匠人) 문현립이 제작하였으며, 당시에는 ‘군자금(君子琴)’이라 불렀다. 옥동 이서의 친필을 집자(集字)한 ‘玉洞’이라는 글자와 효언(孝彦) 윤두서(尹斗緖)[1668~1715년]의 아들인 낙서(駱西) 윤덕희(尹德熙)[1685~1776년]가 쓴 시(詩)가 새겨져 있다.

[의의와 평가]

제작 시기와 사용자가 분명한 유물로 역사적·사료적 가치가 높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거문고인 탁영금(濯纓琴)[15세기 제작, 보물 제 957, 대구박물관 소장] 이후 근대로 발전하기 전까지 거문고 구조 변천의 중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03.11 내용 수정(현행화) [상세정보] 소장처 성호기념관 → 소장처 성호박물관 -------------------------------------------------- [개설] 성호기념관에 → 성호박물관에 2020.02.25. 명칭 변경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