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 학자(文人 學者)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유인홍(柳仁洪)[1456~1519]의 호는 죽계(竹溪)이며 본관은 문화(文化)이다. 1469년(예종 1)의 증광 문과에서 급제한 뒤 영광군수(靈光郡守)를 지낸 유효장(柳孝章)의 아들이다. 유효장의 세 아들 유인호(柳仁濠), 유인홍(柳仁洪), 유인유(柳仁濡)가 모두 문과에 급제했는데, 유인홍은 그 중 둘째이다. 유인홍의 고손자 유희...
-
고려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문인. 최군옥(崔群玉)은 고려 선종[재위 1083-1094] 때 활동한 인물로 문하시랑평장사에 오르고 완산부원군에 봉해졌다. 최군옥은 전주최씨 문충공파의 시조로 다른 전주최씨인 최아계나 최순작계와는 혈통이 다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자는 경윤(景潤)이고 한익군(韓翼君)의 사위이다. 큰아들은 중의대부 밀직사사(中議大夫密直司...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문신. 유숭조(柳崇祖)[1452~1512]의 자는 종효(宗孝), 호는 진일재(眞一齋)이며, 시호(諡號)는 문목공(文穆公)이다. 본관은 전주(全州)로 1483년(성종 14)의 식년문과 급제자로 이조판서를 지낸 유빈(柳濱)의 증손자이다. 할아버지는 유경손(柳敬孫)이며, 아버지는 유지성(柳之盛)이다. 외할아버지는 안동권씨 권득(權得)이...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세거했던 문신. 이기경(李基敬)[1713~1787]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며, 자는 백심(伯心), 호는 목산(木山)이다. 이국헌(李國憲)의 증손자이고, 할아버지는 이지억(李祉億), 아버지는 이익열(李翊烈)이며, 어머니는 오대성(吳大成)의 딸이다. 이기경은 일찍부터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다. 상신(相臣) 이상진(李尙眞)의 방손으로,...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이항제(李沆齊)[1655~?]는 문묘(文廟)의 숭상과 명륜당(明倫堂)의 중요성을 강조한 완주 출신의 유학자이다. 이항제의 자는 여초(汝初)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아버지는 종사랑(從仕郞) 이익휘(李益徽)이며, 할아버지는 가선대부용양위부호군(嘉善大夫龍讓衛副護軍) 이문환(李文煥)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충의위부사과(忠義...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구영(具塋)[1584~1663]의 본관은 능성(綾城)이고, 자(字)는 영연(塋然), 호(號)는 죽유이다. 고려의 상장군 구존유(具存裕)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사직을 지낸 구세영(具世英), 할아버지는 구담(具曇), 아버지는 구대윤(具大倫)이며 어머니는 영천이씨 이수윤(李守胤)의 증손녀이다. 구영은 김장생의 문하에 수학...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유학자. 국동화(鞠東華)[1824~1890]는 완주군 비봉면에서 태어났으며, 한학(漢學)에 조예가 깊었던 유학자이다. 국동화의 본관은 담양(潭陽), 자는 백영(百英), 호는 죽헌(竹軒)이다. 국경예(鞠經禮)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국문방(鞠文邦)이고, 아들은 국태환(鞠台煥)이다. 국동화는 1824년(순조 24)에 전라...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유학자. 국태환(鞠台煥)[1846~1914]은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백도리(完州郡 飛鳳面 百島里)에서 태어났으며, 생원시 합격자로서 한학(漢學)에 조예가 깊었다. 국태환의 본관은 담양(潭陽)이며, 자는 경삼(景三), 호는 쌍괴당(雙槐堂)이다. 우국지사(憂國之士)였던 죽계(竹溪) 국명(鞠溟)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국동화(鞠東華...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구억리 출신의 학자. 권내언(權來彦)[1739~1816]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이(士貽), 호는 이우당(二憂堂)이다. 충정공(忠正公) 권대민(權大敏)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성(權珹), 할아버지는 권유경(權有經), 아버지는 권세진(權世進)이다. 외할아버지는 풍천노씨 노세붕(盧世鵬)이다. 장인은 옥천조씨 조태정(趙泰鼎)이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장선리 가척(加尺)마을에 거주한 학자. 박귀엽(朴龜曄)[1769~1835]의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자는 낙서(洛瑞)이고, 호는 어은(漁隱)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박진저(朴振渚), 할아버지는 박태윤(朴太胤)이며, 아버지는 사복시정(司僕寺正) 박홍문(朴弘文)이다. 아들은 이조참판에 증직된 박능현(朴能鉉)이며, 손자는 진사 박해관(朴海寬)이...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 출신의 학자. 박승욱(朴承郁)[1703~1789]의 본관은 반남(潘南), 초명은 박숭덕(朴崇德), 자는 문숙(文叔), 호는 귀계(龜溪) 혹은 삼호재(三好齋)이다. 박승욱의 고조할아버지는 박정구(朴廷耈), 증조할아버지는 박만고(朴萬古), 할아버지는 박후계(朴后桂), 아버지는 박성규(朴聖揆)이다. 외할아버지는 생원 진천송씨 송사형(宋...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출신의 학자. 박응수(朴應壽)[1780~1844]의 본관은 반남(潘南)이고, 자(字)는 자익(子翼), 호는 국헌(菊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성규(朴聖揆), 할아버지는 박승욱(朴承郁), 아버지는 박종익(朴宗益)이다. 외할아버지는 이진발(李震發)이다. 어머니 연안이씨는 남편 박종익이 1758년(영조 34)에 사망하자 1759년에 남편을 따...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출신의 문인. 박승주(朴承周)[1714~1766]의 본관은 반남(潘南)이고, 자는 종언(從彦), 호는 창주(滄州) 혹은 귀호처사(龜湖處士)이다. 고려 말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지낸 박상충(朴尙衷)의 후손이다. 박상충은 고려 말 과거에 급제하여 예조정랑을 거쳐 성균관교관을 지냈으며, 북원의 견제하에서 친명정책을 주장하고, 판전교시사를...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박제망(朴齊望)[1822~1903]의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경화(景和), 호는 수월당(水月堂) 혹은 용암(龍巖), 초명(初名)은 제학(齊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승욱(朴承郁), 할아버지는 박종익(朴宗益)이며, 할머니 연안이씨는 남편 박종익이 1758년(영조 34) 사망하자 1759년에 남편을 따라 순절하여 정려(旌閭)를 받...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출신의 문인. 박제문(朴齊文)[1830~1860]의 본관은 반남(潘南), 자(字)는 경모(景謨), 초명(初名)은 제민(齊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승욱(朴承郁), 할아버지는 박종익(朴宗益)이며, 할머니 연안이씨는 남편 박종익이 1758년 사망하자 1759년에 남편 박종익을 따라 순절하여 정려(旌閭)를 받았다. 아버지는 감역관을 지낸 박응...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박제효(朴齊孝)[1804~1826]의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경칙(景則)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승욱(朴承郁), 할아버지는 박종익(朴宗益)이며, 할머니 연안이씨는 남편 박종익이 1758년 사망하자 1759년에 남편을 따라 순절하여 정려(旌閭)를 받았다. 아버지는 감역관을 지낸 박응수(朴應壽)이며, 어머니는 수원(水原) 사람 백사...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효자이며 한학자. 소성술(蘇星述)[1804~1879]의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자는 군삼(君三), 호는 창유재(昌裕齋)이다. 소세량(蘇世良)의 11대손으로 아들은 소휘식(蘇輝植)이며, 손자는 소학규(蘇學奎)이다. 학자이며 효자로 알려져 있다. 소성술은 어려서부터 효자로서 이름이 높았다. 완주군 용진면을 비롯한 전라도 유생들은...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송영식(宋永植)[1868~1911]의 본관은 진천(鎭川)이며, 자는 치일(致一), 호는 성재(醒齋)이다. 아버지는 1894년(고종 31)의 갑오식년시(甲午式年試) 생원시 합격자인 송순철(宋淳喆)이다. 송영식은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작은아버지 송순석(宋淳奭)으로부터 학문을 익혔다. 또한 이름난 유학자였던 구익화(具益和)와...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유영보(柳榮輔)[1776~?]의 자는 흥숙(興叔)이고,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광해군 대에 부제학(副提學), 대사간(大司諫), 형조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낸 유숙(柳潚)의 7세손이다. 아버지는 유욱(柳頊), 할아버지는 유정한(柳晶漢), 고조할아버지는 유제(柳䜞)이다. 장인은 김경우(金景愚)이다. 유영보는 1776년(영...
-
조선 중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세거했던 문신. 유응원(柳應元)의 자는 극기(克己)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1531년(중종 26)에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에 장흥부사(長興府使)를 지낸 유세화(柳世華)의 손자이자 유회(柳會)의 아들이다. 유세화의 동생 유세무(柳世茂)도 1552년(명종 7)에 식년문과에 급제했다. 유응원은 1613년(광해군 5) 증광문과(增廣文...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에서 은둔했던 문인. 유종흥(柳宗興)[1652~?]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자는 진보(振甫)이고, 호는 월곡(月谷)이다. 광해군 대에 대사간(大司諫)과 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을 지낸 유숙(柳潚)의 증손으로, 부제학(副提學) 유간(柳藖)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별좌(別坐) 김자건(金自鍵)의 딸이다. 유종흥의 조카 유건(柳謇)은 1729...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학자. 임낙풍(林樂豊)[1797~1866]의 본관은 조양(兆陽)이며, 자는 경재(慶哉)이고, 호는 한천재(寒泉齋)이다. 아버지는 임상우(林尙愚)이다. 동생은 임낙관(林樂觀)과 임낙성(林樂晟)이다. 아버지 임상우와 함께 효자로 알려져 있다. 임낙풍은 1885년(고종 22)에 정려(旌閭)가 내렸다. 후손 임학수(林學洙),...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학자. 임상우(林尙愚)[1761~1823]의 본관은 조양(兆陽)이며, 자는 민첨(民瞻)이고, 호는 우곡(愚谷)이다. 아버지는 임광흡(林光洽)이며, 아들은 임낙풍(林樂豊)이다. 임상우는 완주군 구이면 총명리(完州郡 九耳面 聰明里) 출신의 학자로, 아들 임낙풍(林樂豊)과 함께 효자로 알려져 있다. 음양복서(陰陽卜筮), 의약...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학자. 임유한(林有瀚)[1821~1900]의 본관은 조양(兆陽)이고, 호는 호양재(湖陽齋)이다. 임유한은 조선 후기인 1821년(순조 21)에 태어나서 1900년에 사망했으며, 한학자로 활동하였다. 임유한의 문집 『호양재사고(湖陽齋私稿)』 1책이 전한다. 내용은 시(詩), 서(書), 상량문(上樑文) 등이 수록...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조옥승(曺玉承)[1828~1892]의 호는 월은(月隱)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할아버지는 진사(進士) 조명계(曺命啓)이고, 아버지는 진사 조석리(曺錫履)이다. 조옥승은 『신암우재월은세고(信菴愚齋月隱世稿)』가 전하는 것으로 보아 신암 조헌승과 우재 조호승이 친족관계인 것으로 보이나, 자세하지 않다. 조옥승은 한말의...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조헌승(曺憲承)[1813~1860]의 호는 신암(信菴)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조헌승은 『신암우재월은세고(信菴愚齋月隱世稿)』가 전하는 것으로 보아 우재 조호승과 월은 조옥승이 친족관계인 것으로 보이나, 자세하지 않다. 조헌승의 문집(文集)으로 『신암집(信菴集)』 필사본(筆寫本) 1책을 『신암우재월은세고(信菴愚齋月...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학자. 조형승(曺亨承)[1854~1916]의 자는 하경(夏卿), 호는 만오(晩塢)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선 후기와 근대에 활동한 한학자이다. 아버지는 조석희(曺錫羲)이다. 조형승은 충익공 조문택(曺文澤)의 후손으로 문학에 조예가 깊고 성품이 인자했다. 참봉(參奉)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886년(고종 2...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조호승(曺暠承)[1819~1954]의 호는 우재(愚齋)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완주군 비봉면 월곡리(完州郡 飛鳳面 月谷里) 출신이다. 조호승은 『신암우재월은세고(信菴愚齋月隱世稿)』가 전하는 것으로 보아 신암 조헌승과 월은 조옥승이 친족관계인 것으로 보이나, 자세하지 않다. 조호승의 문집으로 『우재집(愚齋集)』 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학자이자 문인화가. 최명룡(崔命龍)[1567~1621]은 조선 중기의 한학자로 어려서부터 비범해서 12세에 아버지 상을 당했는데 집례를 어른처럼 의젓하게 하므로 모두 탄복했다고 한다. 이정기의 문하에 있을 때 이정기가 말하기를 “최씨의 자제가 나를 가르치러 왔다”고 하며 탄복했다고 한다. 그 후 신중경의 문하에서 수업한 뒤 변산의 절...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현에 거주한 학자. 한진석(韓晉錫)[1833~1909]은 조선 후기의 학자로 자는 경삼(景三)이며, 호는 송은(松隱)으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아버지는 무과 급제자 한봉교(韓鳳敎)이고, 어머니는 이양억(李瀁檍)의 딸이다. 작은아버지인 생원(生員) 한영교(韓永敎)에게 입후되었다. 한진석은 1870년(고종 7) 사마시에 합격했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구사리 출신의 문신. 홍남립(洪南立)[1606~1679]의 자는 탁이(卓爾), 호는 화곡(華谷) 또는 구사재(九思齋)이다. 1606년(선조 39)에 완주군 이서면 구사리에서 태어났다. 구사리는 지금 전주시 덕진구 동산동 산자락 동쪽 근처이다.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1399년(정종 1)의 식년문과 급제자 홍석주(洪錫疇)는 홍남립의 8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