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군산문화대전 > 군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내용(문화·교육) > 문화·예술 > 문화 시설
-
전라북도 군산 지역의 향토 문화 창달을 위해 문화 및 사회 교육 사업을 실시하는 비영리 특수 법인체. 군산문화원은 지역 고유 문화의 보존 및 계승 발전, 향토사의 조사·연구 및 사료의 수집, 그리고 지역 문화 행사 개최, 지역 전통 문화의 교류, 사회·문화·예술·교육 및 기타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군산 지역의...
-
전라북도 군산시 나운동에 있는 복합 문화 시설. 군산시민문화회관은 1989년에 개관한 군산시의 유일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크고 작은 행사와 지역 문화 예술인들의 발표의 장으로 활용되었다. 군산시민문화회관은 지역의 문화, 예술의 발전을 도모하고 문화 예술인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1989년 건립되었다. 1989년 개관한 이래 군산시의 복합 문...
-
전라북도 군산시 지곡동에 있는 문화 예술 공연 및 전시 공간. 군산을 대표하는 문화 예술 공간으로 군산 예술의 전당이라는 명칭도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선호도 조사와 전국 공모를 통해 정하였다. 군산예술의전당[Gunsan Arts Center]은 시민에게 풍요로운 문화 향유 기회 제공과 품격 높은 문화 도시 조성을 위해 건립되었다. 2009년 7월 2...
-
전라북도 군산시 내흥동에 있는, 작가 채만식을 기리기 위해 설립한 문학관. 채만식 문학관은 작가 백릉 채만식의 문학 업적을 기리고 창작 저작물과 유품 등을 수집하여 상설 전시하고자 2001년 3월 10일 개관하였다. 소설 「탁류」의 무대인 금강 주변에 자리한 채만식 문학관에서는 일제 강점기 채만식에 관한 각종 자료 및 친필 원고, 개항 100주년 자료 등을 전...
극장
-
개항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군산에 존재한 극장과 극장 공연 문화. 일제 강점기 군산은 금만 평야가 쏟아내는 막대한 곡식을 일본으로 반출(搬出)하기 위한 수탈 전진 기지로 기획되면서 근대 도시로 성장하였다. 금만 평야는 동진강 하류에 형성된 김제 평야와 김제, 군산, 익산 그리고 완주에 걸친 만경강(萬頃江) 하류에 형성된 만경 평야를 아우르는 말이다. 주요 곡창 지대인 금만 평야의...
-
1929년 군산시 개복동에 세워진 극장. 군산극장은 죽성동에 설립된 군산좌의 후신으로, 1930년대부터 조선인 거주지 개복동에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일제 강점기 군산극장은 조선인 공론장(公論場) 기능을 수행하면서 일제의 조선인 차별에 저항하고 조선인 생활 이익을 도모하는 장소로 이용되었다. 해방 이후 적산(敵産)으로 처리된 군산극장은 여러 주인의 손을 거치면서 1960년...
-
일제 강점기 군산시에서 개관한 전라북도 최초의 극장. 군산 지역에 처음으로 극장이 등장한 연도는 분명하지 않다. 윤정숙의 연구와 1914년 조선 총독부 철도국이 발행한 『호남선 선로 안내』에 따르면, 명치좌(明治座)와 군산좌(群山座)가 1906년에서 1914년 사이에 개관한 것으로 추정된다. 명치좌는 조계지(租界地) 형성에 따라 격자형으로 구획된 군산의 도심 명치통[19...
-
일제 강점기 군산 개복동에 세워진 극장. 희소관은 전북 도내 최초 상설 영화관으로 1920년대 초반 군산시 개복동에서 개관하였다. 희소관은 일본인 중심 상권이 형성된 도심과 근접하였으며, 100여m 거리에 1930년부터 영업을 시작한 군산 극장[군산좌 후신]과 함께 일제 강점기 지역의 양대 극장으로 기능하였다. 1899년 개항한 군산은 1906년에 이르러 인구수가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