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079
한자 李永道
이칭/별칭 정운(丁芸)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민병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6년 10월 22일연표보기 - 이영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6년 5월 - 이영도 『죽순』 창간호에 「제야」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54년 - 이영도 첫 시조집 『청저집』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68년 - 이영도 오누이 시조집 『석류』발간
몰년 시기/일시 1976년 3월 6일연표보기 - 이영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4년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산에 있는 금정 공원에 이영도 시비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6년 - 이영도 유고 시집 『언약』 발간
출생지 이영도 출생지 - 경북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이영도 거주지 - 대구광역시
수학|강학지 밀성 보통학교 - 경상남도 밀양시
묘소|단소 이영도 묘소 - 경남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 선영
성격 시인|수필가|교육자
성별
본관 경주
대표 관직|경력 중앙 대학교 강사|부산 어린이집 관장

[정의]

경상북도 청도 출생의 시조 시인이며 수필가.

[개설]

이영도(李永道)[1916∼1976]는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동 259번지에서 태어났다. 1945년 첫 시조 「제야」를 써서 1946년 5월 『죽순』 창간호에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등단하였다. 시조 시인 이호우의 여동생으로, 오빠와 함께 민족시의 현대화에 크게 공헌한 문학인이다.

[가계]

본관은 경주이고, 선산 군수였던 아버지 이종수(李鍾洙)와 어머니 구봉래(具鳳來) 사이의 1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이호우 시인의 누이로 슬하에 1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이영도는 밀양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대구 여자 고등 보통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37년 대구시의 명문 부호 박기주(朴基澍)와 혼인하였으나 해방되던 해에 남편과 사별하고 그 후로 시조에 눈뜨게 되었다. 1945년 첫 시조 「제야」를 써서 1946년 5월 『죽순』 창간호에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등단하였고 통영 여자 중학교, 부산 남성 여자 고등학교 등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이영도는 몇 차례 폐침윤 발병으로 마산 결핵 요양원에서 요양하기도 하였다. 1956년에는 부산 여대 강사, 1964년에는 부산 어린이집 관장으로 부임하여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였다. 1967년에는 서울로 이사해서 중앙 대학교에서 강의를 맡기도 하였으며 한국 여류 문학인회, 한국 시조 시인 협회를 통해 많은 활동을 하였다. 1976년 3월 6일 향년 6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이영도는 1954년 첫 시조집 『청저집(靑苧集)』을 발간하였고, 1958년에는 첫 수필집 『춘근집(春芹集)』을 발간하였다. 이어 1966년 수필집 『비둘기 내리는 뜨락』을 발간하였고 제8회 눌원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1968년 오빠 이호우와 두 권으로 된 오누이 시조집 『비가 오고 바람이 붑니다』를 발간하였는데, 이영도 시집편은 『석류』였다. 1969년 5월에는 이영도의 호를 딴 ‘정운 시조 문학상’이 제정되었고, 1971년에는 시 해설을 곁들인 수필집 『머나먼 사념의 길목』을 발간하였다. 만년에는 중앙 대학교 예술 대학에서 문예 창작을 강의하는 외에 한국 시조 작가 협회 부회장, 한국 여류 문학인회 부회장으로 활동하였다.

세상을 떠난 후에 이영도의 문학적 역량을 재평가하는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타계하던 1976년에 유고집으로 시조집 『언약』과 수필집 『나의 그리움은 오직 푸르고 깊은 것』이 간행되었고, 1994년에는 부산 금정 공원에 시비가 세워졌다. 또한 고향 청도에서 ‘이영도 시조 문학상’이 제정되고 2003년에는 고향 마을 앞에 시비[표제: 달무리]가 세워졌으며 2006년 30주기에 발맞춰 시조 전집 『보리 고개』가 발간되었다. 이영도의 시조와 수필은 섬세하고 단아한 언어 조합으로 한국인의 전통 서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묘소]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 산31번지 선영에 오빠 이호우 곁에 묻혔다.

[상훈과 추모]

이영도는 부산 지역 문화와 사회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66년 제8회 눌원 문화상을 수상하였고, 그를 추모하는 이영도 시조 문학상이 제정되어 지금까지도 시상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