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군산문화대전 > 군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민속) > 생활 > 의생활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생활 속에서 착용해 온 의복 및 이와 관련한 풍속이나 경향.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일상복으로 착용하였던 한복의 소재는 여름에는 모시·삼베·광목·무명·옥양목 등 명주를 제외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었다. 봄과 가을에는 무명·광목·옥양목·명주, 겨울에는 무명·광목·옥양목과 명주에 솜을 넣어 입었다. 일상복으로는 광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상을 당했을 때 입는 옷차림. 상례복은 한 인간의 죽음을 엄숙하고 정중하게 모시는 상례 절차에서 입는 예복으로, 망자에게 입히는 수의(壽衣)와 상주나 복인이 입는 상복(喪服)이 있다. 수의는 상례에서 염습(殮襲)할 때 망인에게 입히는 옷으로, 보통 돌아가시기 전에 미리 준비해 두었다. 남자의 수의는 장단, 바지, 저고리, 속바지, 속저고리, 도포...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일상생활이나 작업할 때 입는 전통 복식. 일상복은 평상복이라고도 하며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입는 옷이다. 전통적으로 국민의 대다수인 농민, 공인, 상인, 어민 등 일반 민중은 항상 흰옷을 입었다. 남자는 흰 무명으로 만들어진 저고리, 바지, 조끼, 두루마기 등을 입었고 여자는 역시 흰 무명으로 만든 치마와 저고리를 입었다. 여름철에는 높은 습도와...
-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제사 드릴 때 입는 옷. 제례는 조상 숭배의 의례로서 제사라고도 한다. 조선 시대 지배층에서 시작된 유교식 제례는 개항기에 이르러서는 서민에까지 보급·확산되었다. 1945년 해방 후의 제례는 조상 숭배 의례의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절차에서 많은 변화를 보였다. 군산 지역에서는 제사를 지낼 때 남자는 깨끗이 세탁한 명주나 광목으로 이...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혼인할 때 신랑과 신부가 입는 옷. 혼례는 성이 다른 남녀가 부부 관계를 맺을 때 행하는 서약 의식이나 혼인의 예절을 뜻하며, 혼례 복식은 이러한 혼례 의식에서 착용하는 옷과 수식을 말한다. 조선 시대에는 우리나라 고유의 풍습에 따라 전통 혼례식을 올렸다. 신부의 예복은 궁궐에서 공주가 착용했던 녹색 원삼이나 자수가 화려하게 수놓아진 활...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설을 맞이하여 새로 장만하거나 만들어 입는 옷. 예로부터 설날 아침에 입는 옷과 신발 등을 ‘설빔’이라 했다. 『열양세시기(冽陽歲時記)』「원일조(元日條)」는 ‘세비음(歲庇陰)’, ‘세장(歲粧)’이라 적었다. 한 해를 맞이하는 새날 아침에는 어머니의 정성이 가득 담긴 고운 설빔을 입고 조상과 이웃에게 새해 인사를 했다. 1970년대 들어서 기성복이...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사람이 죽어 염습(殮襲)할 때 시신에게 입히는 옷차림. 우리나라의 염습 제도는 중국 『예기(禮記)』의 영향을 받았고 14세기부터는 주희의 『가례(家禮)』가 본격적인 조선 시대의 예의 기준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국조 오례의(國朝五禮儀)』의 완성에 따라 사서인(士庶人)의 상례 절차 및 그에 따른 염습의·염습 제구를 신분에 따라 법적으로 규정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