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2027 |
---|---|
한자 | 口碑文學 |
이칭/별칭 | 수수께끼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집필자 | 조종안 |
채록지 | 구비문학 - 군산시 옥도면 장자도 1길 70[장자도리 12-1] |
---|
[정의]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 불려지는 전설이나 속담, 민담, 민요.
[개설]
현재 군산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구비문학에 대해 2000년 군산 시사 편찬 위원회에서 발간한 『군산 시사』에 채록된 바를 살펴보면 100여 개가 실려 있다. 또한 1994년 군산 문화원이 발행한 『군산 구비문학 대계』에는 「사람 배에 쓴 묏[墓]자리」, 「네 자식을 죽인 과부」, 「부모 원수끼리 맺은 인연」, 「박문수 박어사」, 「남편을 살린 아내의 지혜」, 「사위로 삼은 머슴」, 「효자의 살인 면죄」, 「원귀에게 시달린 소금 장수」, 「도둑질한 며느리」, 「게으른 총각이 두 마누라 얻고 부자 된 이야기」 등 모두 78편의 설화[민담 포함]와 「장자 풀이」, 「칠성 풀이」, 「성주 풀이」 등 12편의 무가 (巫歌)가 실려 있다.
[전설]
군산시 소룡동에 전하는 「천방사와 소정방」, 「용당포의 전설」, 「중바위 전설」, 「내초도 금돈시굴」 등이 있고, 군산시 개정면에 「명당 써서 태어난 최호 장군」, 그리고 군산시 성산면에 「오성묘 전설」, 「채원병씨 집에 얽힌 전설」 등이 전한다. 군산시 옥도면에 「오룡묘」, 「장재미 바우와 빗겡이 바우」 등이 있고, 군산시 임피면에 「홍수래의 딸과 옥낭교」, 「임피의 명당 노와봉용」 등이 전하고 있다.
[민담]
민담에는 1982년 7월 군산시 대명동에서 채록된 「원님 놀이 하는 아이」, 「남편 원수 갚은 열녀」, 「할아버지 원수 갚은 손자」, 「고마 나루의 유래」, 「도둑놈 이야기」, 「정승 판서 집터」 등이 있다. 역시 1982년 7월에 군산시 삼학동에서 채록된 「세 사람의 재주 자랑」, 「팔자 고친 건달」, 「주인 딸과 결혼한 머슴」 등이 전한다. 한편 1989년 군산시 임피면 월하리에서 채록된 「임자가 따로 있는 명당」, 「시골 도둑과 서울 도둑」, 「전라 관찰사를 한 머슴」, 「도둑의 개과천선」, 「첫날밤에 아이를 낳은 신부」, 「박어사의 실수와 임금의 지혜」 등이 전한다. 군산시 성산면에서 1989년 채록된 「정월 대보름 오곡밥의 유래」, 「도사와 고구려의 멸망」, 「용궁에서 가져온 해인(海印)」 등이 있다. 1989년 군산시 대야면에서 채록된 「금시발복 명당」, 「어사 박문수와 효익」, 「천 냥짜리 점괘」와 역시 1989년에 군산시 서수면에서 채록된 「여우를 잡아 부자가 된 소금 장수」, 「구렁덩덩 신선비」, 「우렁에서 나온 처녀」, 「자식을 죽여 효도하려고 한 며느리」 등이 전하고 있다.
[민요]
군산 지역에 전하는 민요를 살펴보면 먼저 군산시 소룡동에서 채록된 「언문 풀이」, 「베틀가」, 「화투 풀이」, 「각설이 타령」, 「한탄가」, 「단가」, 「자장가」 등이 있다. 군산시 개정면에는 「방아 타령」, 「시집 살이」, 「장타령」, 「상여 소리」, 「상사 소리」, 「중타령」 등이 채록되어 있다. 군산시 대야면에서는 「상사 소리」, 「농가 소리」, 「만경산 타령」, 「산야 소리」, 「등짐 소리」, 「달구질 소리」 등이 채록되어 전한다. 군산시 서수면에는 「시집 살이」, 「흥갑사 댕기」 등이, 군산시 임피면에서는 「공주 금강의」, 「상여 소리」 등이 채록되었다. 군산시 성산면에는 「화투 풀이」, 「시집 살이 노래」, 「댕기 타령」 등이 채록되어 전하고 있다. 군산시 옥도면에는 「자장가」, 「상여 소리」, 「거무 타령」, 「어름마 타령」, 「쪼꾸 적삼」, 「희롱요」, 「성주 풀이」, 「농부가」, 「모심기 노래」, 「방구 타령」, 「뱃노래」 등이 채록되어 전하고 있다.
[무가]
군산 지역에 전하는 무가(巫歌)는 「지두서(指頭書)」, 「성주 풀이」, 「조상 해원 풀이」, 「손님 풀이」, 「칠성 풀이」, 「지신 풀이」, 「용왕 풀이」 등이 있으며 주된 내용은 군산 지역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서해안에서 조업 시에 풍어와 조난 사고 예방을 위한 뱃고사, 용왕굿이 가장 많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