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0006
한자 河川
영어음역 Hacheon
영어의미역 River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안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정우

[정의]

경기도 안산 지역의 지표면에 내린 강수가 모여 흐르는 물길.

[개설]

지표면에 내린 비나 눈은 사면(斜面)의 최대 경사 방향을 따라 흐르므로 지표면에 물길이 생기게 된다. 이 유수는 좁고 긴 요지(凹地)의 통로를 따라 흐르게 되는데, 이 물을 하천이라 부른다. 한국에서는 큰 강을 강(江), 작은 강을 천(川) 또는 수(水)로 나타내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안산 지역은 천(川)을 사용하는 하천만 있는데, 반월천·안산천·화정천·신길천이 대표적인 하천이다. 이 하천들은 수리산수암봉과 그곳에서 이어지는 산맥에서 발원하여 시화호로 흘러들어 간다. 안산시 시계 내의 하천들은 반월천 수계의 7개 소하천, 안산천안산천 수계 내의 6개 소하천과 화정천·신길천신길천 수계 내의 2개 소하천과 대부도에 위치한 4개 소하천들이 있다.

[현황]

안산천 유역은 동경 126°47′50″~126°53′50″, 북위 37°17′05″~37°22′25″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리산 수암봉에서 발원하여 시화호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유역면적은 54.75㎢이고 유로연장은 12.25㎞이다.

화정천 유역은 동경 126°47′50″~126°50′40″, 북위 37°17′45″~37°21′35″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선부3동의 마산에서 발원하여 호수공원에서 안산천과 만나 시화호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유역면적은 18.43㎢이고 유로연장은 32.59㎞이다.

신길천 유역은 동경 126°45′05″~126°48′00″, 북위 37°19′05″~37°22′05″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흥시 군자봉에서 발원하여 시화호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유역면적은 7.35㎢이고 유로연장은 9.97㎞이다.

반월천 유역은 126°53′55″~126°52′00″, 북위 37°20′22″~37°16′05″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리산에서 발원하여 시화호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유역면적은 40.90㎢이고 유로연장은 12.4㎞이다.

대부도 내에는 방죽천·뻐꾹천·분지천·영전천 등 비교적 큰 4개의 하천이 있는데, 이 하천들은 섬 내 최고봉인 황금산에서 발원한다. 황금산을 중심으로 남동부로는 분지천이, 서측에서 발원하여 남서부로는 뻐꾹천이, 북부에서 시작되어 북동부로는 영전천이, 그리고 북서부로는 방지천이 각각 흐르고 있다.

대부도 하천은 1차수 내지 2차수에 해당하는 소규모 하천으로서 유로가 2㎞ 미만에 불과하고 평시의 유량도 많지 않아 이렇다 할 하천 지형은 나타나지 않으나, 수로 주변에는 국지적으로 소규모 습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출구 부분에는 감조하천의 영향으로 소규모 기수성 습지가 발달해 있다.

[특성]

1. 하천 유역 지질

안산시 하천 유역에 분포하는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연천계에 대비되는 당천계에 해당하는 퇴적기원의 변성암류와 시대 미상의 화강암류, 중생대 퇴적암류와 이들 모든 지층을 관입한 백악기의 맥암류 및 제4기의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유역의 지반을 주로 구성하고 있는 지질을 살펴보면 신생대 제4기 충적층은 하천 연변을 따라 수지상 형태로서 엷게 발달되어 있으며, 해안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해저퇴적층으로 점토 및 실트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적 두꺼운 층을 이루고 있다.

변성암류는 유역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그 중 화강암질 편마암은 신길천·안산천 하구부인 유역 남측에 협소하게 분포하며, 대부분 석영·사장석·정장석·흑운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흑운모호상 편마암은 유역 경계 지점에 발달하여 분수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세립질로서 흑운모와 소량의 석영 및 장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운모 편암은 안산천·반월천·안산천·화정천의 종적인 유역 경계 부분에 발달되어 있으며, 세립질로서 백운모와 석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밖에 흑운모대사 편마암과 석회암이 분포하고 있다.

2. 하천 유역 토양

안산시 하천 유역 토양은 해안지에 분포되어 있는 간척지 토양과 해안 평탄지에 분포되어 있는 토양, 구릉지 및 산록지에 분포하는 토양, 구릉지와 산악지에 분포하는 토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천 하류는 과거 간석지를 간척한 간척지 토양이 분포하며, 해안 평탄지는 염류토·회색토·충적토가 분포한다. 이 토양은 배수가 불량하고 토양 반응이 매우 약한 산성 내지는 중성이며, 염기치환 용량과 염기포화도가 높은 미사식양질 내지 식질토로 이루어져 있다.

하천 중류는 과거 벼농사가 행해지는 곳으로 적황색토·회색토·충적토 등이 분포하는데, 배수는 약간 불량하고 자갈·돌 등이 포함되어 있는 미사질식토 내지 미사토이다. 하천 상류는 암쇄토·변성 퇴적암 및 편암 계열의 토양으로 배수가 양호하고, 배수가 매우 양호한 식양질 내지 사양토로 덮여 있다. 이 토양은 토층의 발달이 약하고 토층의 두께가 엷은 것이 특징이다.

3. 하천 유역 토지 이용 현황

안산천 주변의 토지 이용 현황을 보면, 총 토지 자원 54.75㎢ 중 임야 면적이 34.35㎢로 62.7%를 차지하며, 농경지 면적은 7㎢으로 12.8%를 차지한다. 이 중 논 면적이 2.02㎢, 밭 면적이 4.98㎢이고, 대지 면적과 기타 면적이 11.57㎢와 1.83㎢로 21.1%, 3.4%를 각각 점유하고 있다.

화정천 주변은 총 토지 자원 18.43㎢ 중 임야 면적이 11.60㎢으로 63%를 차지하며, 농경지 면적은 1.42㎢로 7.7%을 차지한다. 이 중 논 면적이 0.28㎢, 밭 면적이 1.14㎢이고, 대지 및 기타 면적이 4.74㎢와 0.67㎢로 25.7%, 3.6%를 각각 점유하고 있다.

반월천 주변은 총 토지 자원 40.90㎢ 중 임야 면적이 20.02㎢으로 48.9%를 차지하고, 농경지 면적은 14.44㎢로 35.3%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논 면적이 8.89㎢, 밭 면적이 5.55㎢이고, 대지 면적 및 기타 면적이 1.29㎢와 5.15㎢로 3.2%, 12.6%를 각각 점유하고 있다.

신길천 주변은 총 토지 자원 7.35㎢ 중 임야 면적이 2.38㎢로 32.4%를 차지하고, 농경지 면적은 2.96㎢으로 40.3%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논 면적이 0.79㎢, 밭 면적이 2.17㎢이고, 대지 면적 및 기타 면적이 1.77㎢와 0.24㎢로 24.1%, 3.2%를 각각 점유하고 있다.

4. 수질

안산시 하천의 수질을 보면, 안산천은 BOD 2.6㎎/l·COD 5.0㎎/l·부유물질12.4㎎/l이며, 화정천은 BOD 3.5㎎/l·COD 5.1㎎/l·부유물질 6.5㎎/l이다. 반월천은 BOD 10.4㎎/l·COD 3.9㎎/l·부유물질 10.44㎎/l이며, 신길천은 BOD 17.2㎎/l·COD 13.2㎎/l·부유물질 17.2㎎/l로, 안산천화정천에 비해 반월천신길천의 오염 정도가 더 크다.

하천 오염의 주원인은 생활하수[57%]와 산업 폐수[42.8%] 및 가축 폐수[0.2%] 등의 오염원이 미처리되어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기 때문으로, 쓰레기·농약·비료 등의 기타 오염원에 의해 수질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최근 환경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쾌적한 공간 조성에 대한 국민의 욕구가 커지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도 안산시에서는 도시 지역에 인접한 안산천화정천의 갈수기 건천화 방지, 악취 발생 억제 및 소하천 정비 사업 등 하천 수질을 개선하여 쾌적한 도시 공간 조성에 기여하고자 하천정비사업을 시행 중에 있다.

5. 하천 생태계

안산시 하천 생태계 중 하천변에 출현하는 식생으로는 갯버들·분버들과 같은 버드나무와 목본식물을 비롯해서 마디풀과의 좁은잎미구라낙시·여뀌·고마리, 십자화과의 나도냉이·속속이풀·냉이 등과 닭의장풀, 달뿌리, 쑥 등도 나타난다. 하천 인근 경작지와 주거지 변에는 벼, 보리, 수수 등이 재배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