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하늘 천 땅 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A020201
지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신대광

마을이 처음 생긴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화정동 너빌 마을에서는 조상들의 충효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평상시에는 시제를 지낼 때 후손들에게 선조들의 얼과 정신에 대해 가르쳤다고 한다. 그리고 그 뜻을 이어가기 위해 작은 마을이지만 근대 이전에는 여러 개의 서당을 운영하면서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도록 애썼다.

조선시대에 서당은 가르침과 배움이 시작되는 곳이었다.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牧民心書)』예전(禮典)에 “한 고을에 수십 개의 마을이 있는데, 대약 4~5개의 마을에는 반드시 서재[서당]가 하나 있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전국 각 군현에 서당이 상당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화정동에도 오래 전 부터 서당이 여러 군데 있었다. 먼저 너빌 마을의 서당 중 가장 유명한 곳은 김준권이란 사람의 집 사랑채에서 운영된 서당이다[현재 이 집은 이장규 씨 소유이다]. 이곳에서 7~9세까지 공부한 김연권 전 통장에 따르면, 당시 약 15~20명의 학동이 공부를 하였는데, 주로 『천자문』과 『동몽선습(童蒙先習)』 등을 배웠다고 한다. 훈장은 아랫보대[현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에 살던 김찬이라는 분이었다. 또 다른 서당은 김녕김씨 집안에서 직접 운영하던 곳으로, 집안 어른인 김형복 할아버지가 김응규 씨네 사랑방에서 운영한 서당이었다.

서당 공부는 대개 암기식 공부였다. 훈장이 한 문장을 주면 적어도 100번 이상 읽고 완전히 암기하여 훈장 앞에서 통과를 해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 화정동에 있던 서당도 이와 같았으리라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서당에서는 보통 7~8세의 어린 남자아이들이 입학하여 공부를 시작하였다. 이들은 대략 15~16세가 되면 서당의 교육 과정을 마치게 되는데, 간혹 더 늦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김연권 전 통장의 사례처럼 이 지역의 학동들도 대개 비슷한 나이에 서당에 입학하여 공부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에는 서당 공부를 마치고 나면 공립보통학교에 입학을 하였다. 그러나 당시는 보통학교에 입학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우선 경제적으로 학비를 부담해야 했기 때문에 어려운 형편에 있던 사람들은 입학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고, 입학을 원하더라도 지원자가 많아 시험을 통과해야만 들어갈 수 있었다. 당시 이 지역에는 안산공립보통학교가 있었는데, 서당에서 공부를 마치면 자연스레 안산공립보통학교에 입학을 하였다고 한다 . 또한 당시에는 안산공립보통학교에서는 4학년 과정까지만 가르쳤기 때문에 군포에 있는 보통학교에 다시 들어가 5, 6학년 과정을 마쳐야 했다.

한편 고주물 마을의 경우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박순기 옹은 고주물에 있던 서당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억하고 있었다. “이 마을에 살던 내 친구 정완종이라는애가 있는데 그 친구 아버지가 훈장을 하셨어. 그리고 그 분이 돌아가시고 나서 너빌에 사시던 박용호라는 분이 이곳 고주물까지 오셔서 훈장을 하셨지. 나중에는 다른 분한테 배웠어. 그 때 같이 공부한 학생은 한 20~30명 정도였으니까 꽤 많았지. 그때 배운 것은 주로 『천자문』, 『명심보감(明心寶鑑)』 같은 것이었고, 일부는 『소학(小學)』하고 『통감(通鑑)』도 배웠어. 나도 일찍 서당에 들어가서 공부를 했는데 서당 공부를 마치고 더 이상 공부를 안했지. 그때는 모두들 형편이 어려워 보통학교에 입학을 못했어. 그런데 나중에 화정간이학교가 세워져서 들어갔는데 그때 서당에서 배운 내용이 공부하는 데 큰 도움이 됐어.”

그리고 덧붙여 고주물에 있는 김종환 씨의 사랑방에서도 서당이 운영되었다고 전한다. 이 서당은 해방 후에도 계속 운영되어 오랫동안 학동들을 가르치는 산실 역할을 했다고 한다.

[정보제공]

  • •  박순기(남, 1926년생, 화정동 거주, 화정동 전 통장)
  • •  김연권(남, 1929년생, 화정동 거주, 화정동 전 통장)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