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652
한자 動物相
영어음역 Dongmulsang
영어의미역 Fauna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안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주영

[정의]

경기도 안산시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모든 종류.

[개설]

안산시는 경기도 서남부[동경 126도 20분~126도 55분, 북위 37도 10분] 지역으로 남쪽으로는 화성시, 북쪽으로는 시흥시, 동쪽으로는 안양시와 접하고 있다. 대부도(大阜島)·육도(六島)·풍도(豊島) 등 기타 부속 도서를 포함하며 서해와 맞닿아 있으며 간조 시 형성되는 넓은 갯벌에는 연체동물 및 갑각류를 포함한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서식하고 있어서 이를 먹이로 삼는 수조류(水鳥類)의 대규모 집단을 관찰할 수 있다.

바닷가가 인접해 있는 지리적 특성 상 안산시 주변으로는 시흥시의 군자봉(君子峰)[198.4m]과 마산(麻山)[246.2m], 수리산(修理山)[474.8m], 화성군 매송면의 칠보산(七寶山)[238.8m] 등 해발 100~200m 사이의 낮은 산이 대부분이다. 주요 하천으로 반월천·안산천·신길천·새방죽천 등 4개 하천이 있으며, 반월천의 지류(支流)로 건건천과 안산천의 지류인 화정천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안산시는 구릉·갯벌·서해·시화호·도서(島嶼) 등 다양한 자연 지리적 조건이 고루 발달해 있는 지역으로 비교적 다양한 동물군을 접할 수 있다. 그러나 급속한 도시 개발로 인한 환경 파괴 등으로 인해 동물상이 단순화해지고 있으며, 개체수도 감소하였다.

[포유류]

우리나라의 포유류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포함하여 총 7목 25과 63속 95종(109종 및 아종)으로, 안산시 일원에서는 총 6목 11과 16종이 확인된 바 있다. 그 중 다수 출현하는 종은 청설모[청서(靑鼠), 학명: Sciurus vulgaris]와 설치류(齧齒類, Rodent)였으며, 탐문조사를 통하여 대부도 황금산 근처에서 멧돼지[학명: Sus scrofa], 대부도 해안가 갈대밭 부근에서 보노루 또는 복작노루라고도 하는 고라니[학명: Hydropotes inermis], 인가 주변에서 고슴도치[학명: Erinaceus europaeus], 그리고 소수의 족제비[학명 : Mustela sibirica]가 출현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집박쥐[학명: Pipistrellus abramus]와 관박쥐[학명: Rhinolophus ferrumequinum] 50여 마리가 관찰되었으며, 두더지[학명: Talpa micrura]와 멧토끼[학명: Lepus sinensis]의 흔적이 발견된 바 있다.

[조류]

우리나라에서 조사 기록된 372종의 조류 가운데 텃새는 48종으로 우리나라 조류의 대부분이 철새라고 할 수 있다. 안산시 일원에서는 총 15목 32과 112종의 조류가 확인되었으며 텃새 24종, 겨울철새 22종, 여름철새 41종, 나그네새 24종 및 미조 1종이었다. 1996년 3월부터 12월 사이에 관찰된 조류 중 천연기념물은 총 5종으로 붉은배새매·황조롱이·소쩍새·개리·검은머리물떼새 등이었다.

1. 황조롱이[학명: Falco tinnunculus interstinctus(Horsfield), 영명: Kestrel]

황새목 매과의 조류로 천연기념물 제323호로 지정되어 보호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번식하는 텃새로 도시나 시골의 마을 부근에서 서식하며, 강가의 암벽이나 건물의 벽 사이에서 번식한다. 몸길이는 수컷이 약 30㎝, 암컷이 약 33㎝이다. 수컷은 눈 밑에 검은 세로줄이 있으며 머리와 꼬리가 회색이다. 꼬리 끝에 검고 흰 줄이 있고 붉은빛을 띤 갈색의 등에 검은 점이 있다. 반면 암컷은 등과 같이 머리와 꼬리도 붉은 갈색에 검은 점이 있다.

2. 검은머리물떼새[학명: Haematopus ostralegus(Swinhoe), 영명: Oystercatcher]

도요목 검은머리물떼새과의 조류로 천연기념물 제326호로 지정되어 있다. 몸길이 약 45㎝, 날개길이 23~28㎝이다. 머리와 가슴 등은 검고 배와 어깨, 허리 및 날개와 꼬리의 일부는 희다. 부리와 다리는 붉은 색이며 부리는 길지만 두껍지 않다. 희귀한 텃새로 번식기에는 무인 도서의 암초가 있는 곳, 하구의 삼각주, 해안의 자갈밭·갯벌 등지에서 서식하며, 하천의 모래밭이나 하구의 삼각주에서 월동한다. 4~5마리가 무리를 이루며, 해산 연체동물이나 게류 및 작은 어류를 먹는다.

[곤충류]

경기도 안산시에서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곤충은 총 12목 67과 204종이었다. 각 목별로는 잠자리목 2과 9종, 사마귀목 1과 4종, 메뚜기목 6과 26종, 바퀴목 1과 1종, 집게벌레목 2과 14종, 노린재목 8과 25종, 매미목 6과 9종, 풀잠자리목 1과 1종, 딱정벌레목 17과 50종, 벌목 17과 37종, 파리목 8과 19종, 나비목 6과 18종으로 딱정벌레목이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냈다.

딱정벌레목의 경우 키가 낮은 관목 또는 초지에서 발견되는 잎벌레, 무당벌레, 바구미와 같은 종류가 대형 교목을 주서식지로 하는 대형의 종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안산시에 수령이 많은 교목림이 거의 없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부동 풍도에서 사슴벌레와 같은 다수의 대형 딱정벌레가 채집된 바 있다.

벌목의 경우에는 대모벌·쌍살벌·말벌·호리병벌·구멍벌과 같은 포식성 벌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파리목의 경우 대체적으로 고른 종수를 보이고 있으나 들꽃에서 쉽게 관찰되는 꽃등에류가 조금 우세한 분류군으로 보여진다. 특히 메뚜기목의 경우 전체 한국산으로 기록된 메뚜기목에 속한 종의 33%가 확인되어 안산시 면적 대비 종수 비에서 매우 높은 출현도를 보인 바 있다.

[어류]

안산 연안에서는 가자미류 및 넙치·서대·참돔·민어·농어·망둥어·양태·볼락·숭어 등을 비롯하여 복어류 및 전어·삼치·학꽁치·준치·상어·가오리 등이 관찰된 바 있다. 종수는 모두 52종으로 봄철에 28종, 여름철에 32종, 가을철과 겨울철에 19종으로, 여름철에 출현종이 가장 높고 겨울철이 가장 낮았다. 중요 우점종은 망둥어 종류인 풀망둑과 참서대·청멸·동갈양태로 서해 연안의 일반적인 출현종과 비슷하였다.

서해의 일반적인 해역에 비하여 안산 연안에 서식하는 종은 종수에서는 거의 보통 수준이지만 양적인 부분은 다소 빈약하다고 한다. 안산 연안 어류의 특징으로는 풀망둑을 비롯한 망둥어류가 주요 종이라는 것과 겨울철에 산란되어 봄철에 치어기 상태로 상업적 어획이 이루어지는 흰베도라치가 매우 높게 출현하고 있는 점이다. 그리고 다소 맑은 물에서 어획되는 보구치·복섬·학꽁치·게르치·궁제기서대 등이 어획되는 점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담수어류]

안산시의 하천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총 16종으로 평생 민물에서만 사는 1차담수어가 13종[81.3%], 주로 담수에 살지만 일시적으로 해수에서도 견뎌낼 수 있는 2차담수어가 1종[6.3%], 담수와 해수를 왕래하며 사는 주연성 담수어가 2종[12.5%]으로 1차담수어가 매우 우세한 것으로 드러났다. 1차담수어로는 버들치·피라미·왜물개·참붕어·붕어·잉어·미꾸리·미꾸라지·참종개·쌀미꾸리·메기·버들붕어·드렁허리 등이 발견되었다. 2차담수어로는 송사리가 확인되었으며, 주연성 담수어는 얼룩동사리와 등황밀어가 관찰되었다.

[고유종]

어느 일정한 지역에 있어서 해당 지역의 생물상을 특징짓고 있는, 그 지역에서 종 분화가 일어나서 그 지역에만 서식하고 있는 생물을 고유종[특산종]이라고 정의한다. 안산시 반월천에서는 미꾸리과의 참종개와 동사리과의 얼룩동사리 등 2종의 한반도 고유종[특산종]이 확인되었다.

참종개는 미꾸리과에 속하는 한반도 고유종[특산종]으로 주로 하천 중류의 하상에 자갈이 많은 여울에 서식한다. 얼룩동사리는 동사리과에 속하는 한반도 고유종[특산종]으로, 하천 중·하류의 하상에 큰 돌이 많거나 수초가 나 있는 곳에 주로 서식한다. 강한 육식성을 지니고 있어서 어류, 수서 곤충 등 소동물을 탐식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