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457
한자 城隍堂
영어음역 Seonghwangdang
영어의미역 Village Shrine
이칭/별칭 서낭당,서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안산시
집필자 김지욱

[정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셔 놓은 제당.

[개설]

성황당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서낭을 모셔 놓은 신당이다. ‘서낭당’, ‘서낭’이라고도 한다.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 놓은 돌무더기 형태로, 그 곁에는 보통 신목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이곳을 지날 때는 그 위에 돌 세 개를 얹고 세 번 절을 한 다음 침을 세 번 뱉으면 재수가 좋다는 속신이 있다. 안산 지역에서는 잿머리성황당과 군자성황당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연원]

성황당은 성읍을 수호해주는 수호신앙으로 중국 북제시대(北齊時代)에 출현하여 송대(宋代)에 크게 번창했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고려 문종 때라고 한다. 이때부터 각 주부현(州府縣)마다 성황을 위하였고, 조선시대에도 수호신으로 호국이라는 의미를 담아 국행(國行)과 민간에서 신앙하였다. 때문에 이미 오래전부터 있었던 우리 고유 신앙인 ‘서낭’을 한자로 ‘성황(城隍)’으로 기록하게 됨으로써 양자가 쉽게 융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형태]

성황당은 기와지붕에 잘 지은 당집이거나, 한 칸 규모의 소박한 당집에 ‘성황당’, ‘서낭당’ 이라고 현판을 달기도 한다. 그 안에는 토지지신(土地之神), 성황지신(城隍之神) 등의 신을 모시고 있으며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마을 공동제의를 행한다. 그 외에 마을 어귀에 위치하면서 하당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는 서낭당을 포함하면 그 형태는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서낭나무에 잡석을 쌓아 놓은 누석단이 있고, 이 신수(神樹)에 백지나 청색·홍색·백색·황색·녹색 등의 오색 비단 헝겊을 잡아맨 형태, 잡석을 쌓아 놓은 누석단 형태, 서낭나무와 당집이 함께 있는 형태, 입석(立石) 형태 등이다.

[내용]

1. 잿머리성황당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산76번지에 위치한 잿머리성황당은 해봉산 정상에 자리 잡고 있다. 매년 음력 10월 3일 오전 10시에 무당들이 중심이 되는 당굿의 형태로 제를 지내고 있다. 일반적인 성황당이 한 마을 단위만의 제액초복(除厄招福)을 기원하는 신당(神堂)에서 발생된 것에 반해 잿머리성황당의 유래전설은 독특하다.

고려 제6대 성종[982~997] 때 내부시랑 서희(徐熙)가 송나라 사신으로 가는 길에 폭풍우를 만났는데 꿈에 나타난 혼령[경순왕인 김부대왕의 비 홍씨와 친정어머니 안씨]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 사당을 짓고 제를 지내준 후 무사히 임무를 수행했다는 이야기이다. 제당에는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의 비(妃) 홍씨와 장모인 안씨를 모시고 있다. 1990년에 현재의 당집을 복원하여 제7회 성곡동 잿머리 성황제를 성대하게 치룬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군자성황당

안산시와 시흥시 경계에 위치한 군자봉 정상에 자리 잡고 있는 군자성황당은 마을을 지켜 주는 서낭신[성황신]을 모셔 놓은 신당으로, 매년 음력 10월 초 3일에 제를 지낸다. 서낭신을 맞이한 후 산 아래에 있는 당(堂)에서 김부대왕(金傅大王)[경순왕]을 비롯한 신격(神格)들을 위하는 굿을 벌인다.

군자성황제는 고려 초기부터 거행되기 시작했다고 전해지며,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과 관련된 유래가 있다. 군자성황당은 시흥·안양·안산 지역은 물론 전국의 무속인들이 많이 찾는다. 그 외 안산 지역의 마을 공동체 신앙은 산신제가 주를 차지하고 도당제·당제·정제 등이 전승되고 있다. 상록구 일동 응달말에서 서낭제가 있었으나 1978년에 소멸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