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0485
한자 韓應寅墓域
영어공식명칭 Haneunginmyoyeok(Tomb of Han Eungin)
영어의미역 The Grave of Han Eungin
이칭/별칭 한응인 선생 묘역과 신도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산 86-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신대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5년 8월 7일연표보기 - 한응인묘역 경기도 기념물 제15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한응인묘역 경기도 기념물 재지정
성격 묘역
건립시기/일시 조선 후기
관련인물 한응인
높이 79㎝[비신]|143㎝[가첨석]|145㎝[기대]
소재지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산 86-6 지도보기
소유자 청주한씨 충정공파 문중
문화재 지정번호 경기도 기념물

[정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한응인의 묘역.

[개설]

한응인(韓應寅)[1554~1614]은 조선 선조(宣祖)[1552~1608] 때 문신으로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白拙齋),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부사직 한경남(韓敬男)의 아들로 태어났다. 1576년(선조 9)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알성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으로 뽑혔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1546~1589]의 모반 사건을 적발하여 그 공으로 호조참의에 오르고 승지를 지냈다.

1590년 평난공신(平難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임진왜란 때 요동에 건너가 원병의 급속한 출병을 요구하였고, 이여송(李如松)[?~1598]이 원군을 이끌고 오자 접반관(接伴官)으로 이여송을 맞이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이조판서·호조판서·병조판서를 거쳐 1607년(선조 40) 우의정에 올랐다.

[위치]

한응인묘역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을 지나는 국도 42호선 수인산업도로에서 수원 방향 좌측으로 마을 안쪽에 있다.

[변천]

한응인묘역은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으나 정확한 건립 연도는 알 수 없고, 신도비는 1642년(인조 20) 건립되었다. 1994년 묘역을 새로 정비하면서 묘비의 기대(基臺) 부분과 상석·향로석·계체석 등의 석물을 교체·설치하였다.

[형태]

묘의 봉분은 단분으로 부인 전주이씨(全州李氏)와의 합장묘이며, 장대석을 이용하여 2단으로 방형의 호석(護石)을 둘렀다. 봉분 앞에는 묘비·혼유석·상석·향로석이 가까이 모여 있고, 묘역 앞 좌우에는 망주석과 문인석이 1쌍씩 배열되어 있다.

신도비(神道碑)는 묘역의 50m 우측 전방에 위치하는데, 우진각지붕형 지붕돌[가첨석(加檐石)]·비신(碑身)·기대(基臺)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의 높이는 79㎝, 너비는 23㎝, 두께는 179㎝이고, 가첨석의 높이는 143㎝, 너비는 95㎝, 두께는 58㎝이며, 기대의 높이는 145㎝, 너비는 100㎝, 두께는 59㎝이다. 신도비의 양식적 특징은 가첨석의 하단부 건물에 기둥 석부와 지붕 사이에 있는 공포(拱包)의 형상을 조각해 놓음으로써 압박감을 덜어 주어 안정감 있게 보이도록 한 것이다.

[금석문]

신도비의 비문은 김류(金鎏)가 짓고 한인급(韓仁及)이 글씨를 썼으며, 김광현(金光炫)이 전액(篆額)을 썼다.

[현황]

1995년 8월 7일 경기도 기념물 제15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2009년 현재 소유자 및 관리자는 청주한씨 충정공파 문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